목차
1. 현재 전 세계적으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세요.
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우리나라의 주요 사회문제 5가지를 선정하시어 요약 기술하세요.(건강문제, 빈곤문제, 일자리문제, 교육문제, 돌봄문제 등)
②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시대(코로나19 극복 이후 다가올 새로운 시대·상황을 이르는 말)에 우리들의 삶에 어떠한 변화가 있을까요? 5가지 정도를 선정하시어 요약 기술 해 보세요.
2.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바다의 미세먼지라고 하는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해양생태계를 심각하게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세요.
① 플라스틱은 무엇인가?
② 미세플라스틱은 무엇인가?(원인 포함)
③ 미세플라스틱의 현황(지구에서, 바다에서)
④ 미세플라스틱 위험성(어류, 사람 인체)
⑤ 미세플라스틱의 방지 대책
3. 기후 온난화에 대하여 기술하세요.
① 기후 온난화는 무엇인가?
② 기후 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③ 기후 온난화의 대책은 무엇인가?
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우리나라의 주요 사회문제 5가지를 선정하시어 요약 기술하세요.(건강문제, 빈곤문제, 일자리문제, 교육문제, 돌봄문제 등)
②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시대(코로나19 극복 이후 다가올 새로운 시대·상황을 이르는 말)에 우리들의 삶에 어떠한 변화가 있을까요? 5가지 정도를 선정하시어 요약 기술 해 보세요.
2.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바다의 미세먼지라고 하는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은 해양생태계를 심각하게 오염시키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세요.
① 플라스틱은 무엇인가?
② 미세플라스틱은 무엇인가?(원인 포함)
③ 미세플라스틱의 현황(지구에서, 바다에서)
④ 미세플라스틱 위험성(어류, 사람 인체)
⑤ 미세플라스틱의 방지 대책
3. 기후 온난화에 대하여 기술하세요.
① 기후 온난화는 무엇인가?
② 기후 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③ 기후 온난화의 대책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인가?
19세기 후반으로 관측되는 온난화가 중점되며, 현대 온난화의 원인이 온실가스의 증가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산업 발달에 의해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농업 발전은 숲을 파괴하고 온실효과의 영향을 더 키우게 됐다. 현재 기후변화에 의한 정부간 패널에서 인정한 견해로는 19세기 후반 이후의 지구 연평균기운이 0.6도 정도 상승했으며, 20세기 전반까지 자연활동이 온난화를 유도했으나 20세기 후반부터는 인류의 활동이 온난화를 유발했다고 보고 있다. 아직까지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온실기체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다.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고 인류 산업화와 함께 그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메테인이나 수증기도 대표적인 온실기체이며, 현대에 사용하기 시작한 프레온 가스가 한 분자당 온실효과를 가장 크게 일으킨다. 인류의 숲 파괴와 함께 환경오염으로 산호초가 줄어드는 것도 기후온난화 현상을 심하게 만든다는 가설이 있으며, 나무나 산호가 줄어들면서 공기 중 이산화탄소가 자연계에서 흡수하지 못해 이산화탄소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태양 방사선이 온도 상승에 영향을 미치며, 오존층 감소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라는 가설은 있으나 온실효과 외 뚜렷한 과학적 합의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③ 기후 온난화의 대책은 무엇인가?
기후변화 원인인 온실가스의 배출을 감축시키고 온실가스 흡수원의 확대하는 완화와 함께 기후변화로 나타나는 각 부문별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해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적응이 상호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체계적 대응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온실 가스의 배출에 대한 정보 통계를 확립하며 온실가스 배출 부문의 기준배출량을 확보하여 국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및 CDM과 같은 시장메카니즘 등 선진 수단 도입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에너지기술 개발을 통해 대응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축을 위한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에너지사용의 효율성 제고도 필요하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 및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지역난방 보급의 확대와 에너지 절약형 제품을 많이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대한 대응으로 적극적으로 환경 경영 실천이 요구된다. 그 외에도 대중교통 이용하기, 승용차 요일제, 불필요한 전등 소등하기, 전기기구 구매시 에너지 효율등급 1등급 구매하기, 분리수거하기, 실내온도 적절하게 유지하기 등이 있다.
4. 참고문헌
1) 김진희(Jinhee Kim). \"코로나19 유행의 건강형평성, 건강도시에서의 함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4 (2020): 81-89.
http://www.riss.kr/link?id=A107082875
2) 남재현,and 이래혁. \"코로나19의 영향은 모두에게 동등한가? -종사상 지위별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2.4 (2020): 215-241.
http://www.riss.kr/link?id=A107142926
3) 김태완,and 이주미. \"코로나 시대의 소득불균형 심화와 정책적 대응.\" 보건복지포럼 290.- (2020): 20-33.
http://www.riss.kr/link?id=A107178059
4) 이영란(Lee Youngran),류정민(Ryu Jungmin),and 한기순(Han Ki-Soon). \"언론 기사를 통해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의 방향성 : 위기 속 ‘창의성 교육’의 역할.\" 창의력교육연구 20.4 (2020): 65-85.
http://www.riss.kr/link?id=A107176879
5) 최아라. \"코로나19, 아동돌봄 쟁점과 과제.\" 인문사회 21 11.4 (2020): 1379-1390.
http://www.riss.kr/link?id=A107004480
6) 코로나 이후 네 가지 주요변화에 주목해야,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년 1월 22일,
https://www.korea.kr/news/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883026
7) 김홍경 ( Hongkyoung Kim ), 권유리 ( Yuree Kwon ), 장예지 ( Yeji Jang ), 이가인 ( Gain Lee ),and 장용철 ( Yong-chul Jang ). \"우리나라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 산정연구 일회용 컵과 비닐봉투를 중심으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2019): 123-123.
http://www.riss.kr/link?id=A106498271
8) 플라스틱의 기초, 프레셔스 플라스틱,
https://ppseoul.com/thebasicsofplastic
9) 박정규, 박하늘, 이희선, 정다운, 주문솔, 한선영, 김시진, 송민경, 김용진, 이서우,and 이혜성.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 사업보고서 2019.- (2019): 1-359.
http://www.riss.kr/link?id=A106871388
10) 박정규 ( Jeonggue Park ), 서양원 ( Yang-won Suh ), 조지혜, 정다운,and 간순영. \"미세플라스틱 관리 동향 및 정책 제언.\" 수시연구보고서 2018.13 (2018): 1-139.
http://www.riss.kr/link?id=A106098684
11) 지구온난화 원인과 대책, 환경부,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2&boardId=173273
12) 선진국들의 지구온난화 대응정책과 시사점, 외교부,
https://www.mofa.go.kr/www/brd/m_20152/view.do?seq=339070&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72
13) 이민효, 기후온난화와 국가적 대응, 국립환경과학원, 2008.
http://www.kacn.org/data/nature/714402.pdf
19세기 후반으로 관측되는 온난화가 중점되며, 현대 온난화의 원인이 온실가스의 증가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산업 발달에 의해 석유나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농업 발전은 숲을 파괴하고 온실효과의 영향을 더 키우게 됐다. 현재 기후변화에 의한 정부간 패널에서 인정한 견해로는 19세기 후반 이후의 지구 연평균기운이 0.6도 정도 상승했으며, 20세기 전반까지 자연활동이 온난화를 유도했으나 20세기 후반부터는 인류의 활동이 온난화를 유발했다고 보고 있다. 아직까지 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온실기체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다. 온실기체로는 이산화탄소가 가장 대표적이고 인류 산업화와 함께 그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메테인이나 수증기도 대표적인 온실기체이며, 현대에 사용하기 시작한 프레온 가스가 한 분자당 온실효과를 가장 크게 일으킨다. 인류의 숲 파괴와 함께 환경오염으로 산호초가 줄어드는 것도 기후온난화 현상을 심하게 만든다는 가설이 있으며, 나무나 산호가 줄어들면서 공기 중 이산화탄소가 자연계에서 흡수하지 못해 이산화탄소양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태양 방사선이 온도 상승에 영향을 미치며, 오존층 감소의 영향으로 인한 것이라는 가설은 있으나 온실효과 외 뚜렷한 과학적 합의점은 존재하지 않는다.
③ 기후 온난화의 대책은 무엇인가?
기후변화 원인인 온실가스의 배출을 감축시키고 온실가스 흡수원의 확대하는 완화와 함께 기후변화로 나타나는 각 부문별 영향과 취약성을 평가해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적응이 상호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체계적 대응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온실 가스의 배출에 대한 정보 통계를 확립하며 온실가스 배출 부문의 기준배출량을 확보하여 국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및 CDM과 같은 시장메카니즘 등 선진 수단 도입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에너지기술 개발을 통해 대응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축을 위한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에너지사용의 효율성 제고도 필요하다. 대규모 아파트 단지 및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지역난방 보급의 확대와 에너지 절약형 제품을 많이 보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대한 대응으로 적극적으로 환경 경영 실천이 요구된다. 그 외에도 대중교통 이용하기, 승용차 요일제, 불필요한 전등 소등하기, 전기기구 구매시 에너지 효율등급 1등급 구매하기, 분리수거하기, 실내온도 적절하게 유지하기 등이 있다.
4. 참고문헌
1) 김진희(Jinhee Kim). \"코로나19 유행의 건강형평성, 건강도시에서의 함의.\"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4 (2020): 81-89.
http://www.riss.kr/link?id=A107082875
2) 남재현,and 이래혁. \"코로나19의 영향은 모두에게 동등한가? -종사상 지위별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72.4 (2020): 215-241.
http://www.riss.kr/link?id=A107142926
3) 김태완,and 이주미. \"코로나 시대의 소득불균형 심화와 정책적 대응.\" 보건복지포럼 290.- (2020): 20-33.
http://www.riss.kr/link?id=A107178059
4) 이영란(Lee Youngran),류정민(Ryu Jungmin),and 한기순(Han Ki-Soon). \"언론 기사를 통해 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의 방향성 : 위기 속 ‘창의성 교육’의 역할.\" 창의력교육연구 20.4 (2020): 65-85.
http://www.riss.kr/link?id=A107176879
5) 최아라. \"코로나19, 아동돌봄 쟁점과 과제.\" 인문사회 21 11.4 (2020): 1379-1390.
http://www.riss.kr/link?id=A107004480
6) 코로나 이후 네 가지 주요변화에 주목해야,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1년 1월 22일,
https://www.korea.kr/news/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883026
7) 김홍경 ( Hongkyoung Kim ), 권유리 ( Yuree Kwon ), 장예지 ( Yeji Jang ), 이가인 ( Gain Lee ),and 장용철 ( Yong-chul Jang ). \"우리나라의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량 산정연구 일회용 컵과 비닐봉투를 중심으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19.- (2019): 123-123.
http://www.riss.kr/link?id=A106498271
8) 플라스틱의 기초, 프레셔스 플라스틱,
https://ppseoul.com/thebasicsofplastic
9) 박정규, 박하늘, 이희선, 정다운, 주문솔, 한선영, 김시진, 송민경, 김용진, 이서우,and 이혜성.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 사업보고서 2019.- (2019): 1-359.
http://www.riss.kr/link?id=A106871388
10) 박정규 ( Jeonggue Park ), 서양원 ( Yang-won Suh ), 조지혜, 정다운,and 간순영. \"미세플라스틱 관리 동향 및 정책 제언.\" 수시연구보고서 2018.13 (2018): 1-139.
http://www.riss.kr/link?id=A106098684
11) 지구온난화 원인과 대책, 환경부,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2&boardId=173273
12) 선진국들의 지구온난화 대응정책과 시사점, 외교부,
https://www.mofa.go.kr/www/brd/m_20152/view.do?seq=339070&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page=72
13) 이민효, 기후온난화와 국가적 대응, 국립환경과학원, 2008.
http://www.kacn.org/data/nature/714402.pdf
추천자료
[세상읽기와논술 D형] 신종코로나 감염증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 서구에...
코로나19와 경제, 단계적 일상회복(with corona) 방안
코로나19와 위드 코로나(with corona) 등장배경 및 방역 대처
코로나19시대에 대처하는 자신만의 정신건강 방법에 대해 기술하시오
코로나19로 인한 어린이집 운영의 어려움과 어린이집의 대응방안(가정어린이집 중심으로)
정책과정론 ) 최근 코로나19 감염증 예방을 위한 마스크 공급 대책의 결정과 변동과정 분석
메르스 반응 (및 또는 가습기 살균제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이끈 심리)의 공통점, 한국인의 코...
한국 코로나 19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과 메르스에 대한 반응의 공통점에 대해 ...
인터넷과 정보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