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론 ) 우리나라에서 국가 차원에서 언급되던 평생교육이 마을 차원에서 실행하는 평생교육으로까지 진전되었습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생교육론 ) 우리나라에서 국가 차원에서 언급되던 평생교육이 마을 차원에서 실행하는 평생교육으로까지 진전되었습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마을 평생교육은 실제로 경기도 오산의 곽시장이 취임을 한후에 10여 년 동안 무려 가구 수가 34%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오산에 터를 잡아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기간도 곽시장이취임을 하기 10여 년전보다 60% 이상이 길어졌다는 통계가 나오게 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서 20대나 30대의 청년들이 살고 싶어하는 도시가 되었으며 실제로 경기도의 오산시민의 평균 연령이 37세로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한다.
3. 결론
친구에게 자신의 할머니가 1950년대의 한국전쟁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고 말해준 적이 잇다. 어디서 전해 들은 것이 아닌 할머니 자신이 직접 겪으신 이야기를 해주었다는 소리를 듣고 한국사 책에서만 접하였던 우리나라의 역사적인 순간을 살아오신 분들이 아직 우리 주변에 생각보다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를 깨닫고 든 생각은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1950년대인 한국전쟁 당시 우리나라의 상황만 봐도 먹고살기에도 빠듯한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게 배움에 대한 시기를 놓치게 된 것이다. 노무현 정권, 김대중 정권이 들어서기 전까지 교련활동 및 전쟁에 대한 교육을 빼놓지 않고 시행해왔다고 한다. 현대사회에 사는 나와 같은 세대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유년기부터 기억을 하므로 이와 같은 것들은 책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 것이다. 이러한 것을 미루어보았을 때 현재 우리들의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배움이나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세월을 지나오셨다는 것이 생각보다 이상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고등교육이 너무나 당연시되어있는 사회에 살아가며 사실 주변에 큰 뜻이 없어도 대학교를 진학하며 학사학위를 받는 사람들이 흔하게 볼 수 있는 게 현실이다. 그렇기에 이러한 배움에 대한 갈망이나 욕심은 당연히 줄어들게 되고 귀찮게만 느껴지는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그러한 활동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러한 배움을 갈망하는 사람들은 사회에 소외된 채 방치가 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채움이 항상 필요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서 정부 차원에서 혜택을 주고 있는 마을 평생교육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아주 우호적인 의견을 가지고 있다. 현재로써는 이제 더 사회적으로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마을 평생교육을 시행하기보다는 그러한 목적으로 시작하기는 하였지만 이러한 마을 평생교육으로 인해서 마을의 교육에 대한 범위와 활동을 넓혀주고 이에 따르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된다면 자연스럽게 이는 마을의 부흥활동 중 하나로 자리 잡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4.참고문헌
-고령군민신문 기자 / 2017년 07월 25일
_http://m.kmtoday.co.kr/view.php?idx=38135(기자이름명시x)
-중앙선데이_https://news.joins.com/article/24058435_입력 2021.05.15 00:20/수정 2021.05.15 00:59_유길용 기자
-제주특별자치도_평생교육이란?_https://www.jeju.go.kr/edu/class/intro.htm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1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