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어느 것에 의존하는 것보다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 맞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평가할때는 평가서를 활용하며, 이러한 평가서가 많은 관찰에서 비롯되어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관찰일지의 작성도 매우 중요하다. 이는 너무 아이의 태도나 문제를 솔직하게 기술해서는 안되며, 최대한 긍정적인 언어로 변경하여 작성하여서 어머니나 아버님같은 부모님에게도 좋은 태도를 심어줄 수 있다. 또한 교육자는 일일관찰일지를 꾸준히 작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내가 다음날 수업을 어떻게 할것인지, 또한 어떤 아이들과 어떤 진도를 소화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가능하기 때문에 꾸준히 작성하며 매일 쓰겠다는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자 자체의 기억력은 물론 교육 현장에서의 응용력도 좋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국가와 윤리
강의법의 정의, 특성, 역사, 장단점, 적용범위, 강의 기법, 수업모형 등 전반적 분석
인지적 도제 학습& 인지적 도제학습 학습지도안(A+레포트)★★★★★
중학교(중등) 미술교육(미술과)의 제6차와 제7차교육과정 내용체계, 중학교(중등) 미술교육(...
초등사회과 법, 정치교육에서의 문제점과 개선, 학습지도안
학습방법의 학습(기초기본학습훈련) 기본방향과 순서, 학습방법의 학습(기초기본학습훈련) 책...
[교수][교수법][교수방법][교수학습방법]교수의 정의, 교수법(교수방법)의 정의, 안내적 교수...
[초등국어교육과 국어과 교육과정의 관련 양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