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With 코로나 시기의 보육 현황
(2) 코로나로 인해 노출도가 증가하는 유해매체
(3) 포스트 코로나 시기의 보육자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With 코로나 시기의 보육 현황
(2) 코로나로 인해 노출도가 증가하는 유해매체
(3) 포스트 코로나 시기의 보육자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공유, 재방문을 통한 반성적 놀이 형태로 전개될 것이다. 유아교육은 이제 계획된 놀이나 활동이 아니라 온라인 선행학습 후 토론식 수업을 의미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의 거꾸로 놀이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결론
위드 코로나를 넘어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야 하는 시대가 왔다. 전례 없는 상황에서 정부 및 보육기관은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정부는 전염병에 취약한 영유아를 보육하는 환경 관련 지식수준을 높여 교육자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나가야 할 것이며 바뀌는 교육 환경에 알맞은 법적 체계를 구성하고 지도 교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물론 백신의 보급으로 집단 면역이 형성되어 오프라인 교육이 활성화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앞으로 최소한 30년간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따라서 유아 교육 및 보육 환경도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생각은 관두고 코로나 공존시대임을 명심하고 유아 보육 인의 자세를 변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상황이 바뀔 때마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방침을 마냥 기다리는 것보다 교사 소통을 통해 교육적인 개선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고, 먼저 제안할 줄 알고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유구종.(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유아교육·보육의 교수매체 변화.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0(3): 31-49
2) 서영숙.(2020). 포스트 코로나 19와 유아교육·보육 전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0(3): 9-29
3. 결론
위드 코로나를 넘어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야 하는 시대가 왔다. 전례 없는 상황에서 정부 및 보육기관은 큰 혼란을 겪고 있다. 정부는 전염병에 취약한 영유아를 보육하는 환경 관련 지식수준을 높여 교육자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나가야 할 것이며 바뀌는 교육 환경에 알맞은 법적 체계를 구성하고 지도 교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물론 백신의 보급으로 집단 면역이 형성되어 오프라인 교육이 활성화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앞으로 최소한 30년간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따라서 유아 교육 및 보육 환경도 코로나 이전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생각은 관두고 코로나 공존시대임을 명심하고 유아 보육 인의 자세를 변화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상황이 바뀔 때마다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방침을 마냥 기다리는 것보다 교사 소통을 통해 교육적인 개선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고, 먼저 제안할 줄 알고 목소리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유구종.(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유아교육·보육의 교수매체 변화.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0(3): 31-49
2) 서영숙.(2020). 포스트 코로나 19와 유아교육·보육 전망.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20(3): 9-2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