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지역문화와이해 ) 동아시아의 유교주의적 가족주의에 대한 분석과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아시아지역문화와이해 ) 동아시아의 유교주의적 가족주의에 대한 분석과 비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동아시아 유교주의적 가족주의 관념과 전승에 대한 이해
(2)가족주의가 사회조직에 적용된 구체적 사례와 그 장점(혹은 단점) 분석
(3)유교적 가족주의의 비판적 검토와 문제점 해결, 대안 제시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족주의가 무조건 일 방향적인 것은 아니지만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틀에서는 그렇게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유교적 가족주의에서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는 그 어떤 인간관계보다 희생과 헌신이 요구되는 관계이다. 서양의 경우 자식들이 성인이 되면 독립을 하여 살아가는데, 여기서의 독립은 단순히 다른 곳에 사는 것이 아닌, 경제적, 사회적, 신체적 독립을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성인이 된 이후 부모에게서 금전적, 사회적 지원을 받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부모 또한 노후에 자식들에게 손을 벌리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동아시아에서는, 특히 한국이나 일본과 같은 국가에서는 자식이 성인이 된 이후, 결혼을 한 이후에도 부모가 자식들의 일에 관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식들을 위해 금전적, 사회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기도 한다. 자식들 또한 이러한 부모의 지원을 당연하게 생각하며, 부모가 늙은 후에는 이들을 위한 지원을 하는 것을 다연하게 생각하는 문화이다. 서양의 부모-자식 관계보다 동양의 유교적 가족주의가 더욱 인간적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부모-자식 관계도 일방적인 관계여서는 현대에 맞는 유교적 가족주의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방적인 가족관계를 지양하기 위해 새로운 가족주의에서는 부모 입장에서는 자식에 대한 맹목적인 애착과 과잉보호는 자제되어야 할 것이며, 자식을 자신들이 소유한 물건이 아닌 하나의 인격체로서 존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자녀입장에서는 부모에 대해 무조건적 희생과 헌신을 강요하지 않고 이러한 희생에 대하여 윤리 도덕적 차원에서의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3. 결론
이처럼 유교적 가족주의는 맹목적으로 비난받을 대상이라기보다는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는 낡은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군대의 사례의 경우 상명하복 즉, 위계질서와 계급적 역할이 곧 자신들과 국민의 생사, 국가의 안전과 연결되는 일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가족주의를 채택한 부분도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족주의적인 체제를 유지한다고 해서 그에 따라오는 단점들도 그대로 유지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때로는 과감한 결단으로 썩은 부분을 도려내는 것으로 장점을 유지하고 단점을 잘라낼 필요도 있는 것이다. 이는 비단 군대뿐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다. 전통적으로 유교를 신봉해왔고 이러한 유교 사상이 생활에 뿌리 깊게 박혀있는 한국 사회에서 유교적 가족주의를 완전히 배제하기란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사회의 각 조직에는 이러한 가족주의적인 면모가 어디에나 녹아있다고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가족주의적인가 아닌가가 아닌 가족주의의 장점을 어떻게 살리고 단점은 어떻게 상쇄해야 하는 것인가이다.
현재 한국은 고령사회이며, 이미 태어나는 인구보다 죽는 인구가 많은 인구감소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통적인 유교적 가족주의의 장점을 살려 노인과 어린이에 대한 배려 정신을 키우고 고유의 ‘효’ 정신을 실천한다면 현대 한국사회의 가장 중요한 정신적 자산으로 서 유교적 가족주의가 다시금 올바른 형태로 자리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참고문헌
김원식 (2003). 동아시아의 가족주의 전통과 민주주의. 사회와 철학(5), 129-154
김덕균 (2005). 유교적 가족주의, 해체인가 복원인가 : 새로운 가족윤리를 모색하며. 한국유교학회, pp.109-134
김도일 (2018). 유교 가족주의의 이중성. 철학, 135, 1-22
김동춘 (2020). 한국인의 에너지, 가족주의 개인의 보호막과 지위상승의 발판인 가족. 피어나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18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