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투사검사 중 문장완성검사, 집-나무-사람 그림검사를 본인이 모두 실시한 후, 검사결과와 투사검사효과 중심으로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 ) 투사검사 중 문장완성검사, 집-나무-사람 그림검사를 본인이 모두 실시한 후, 검사결과와 투사검사효과 중심으로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장완성검사 시행
3.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시행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듯이 위의 집-나무-사람을 그리는 활동을 통하여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 생각과 심리는 무엇인지 근본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스스로가 인식하지 못한 채 마음 깊이 자리 잡고 있던 사실과 마음의 상태에 대해 상담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또 다른 공감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위의 투사검사효과가 위의 집-나무-사람 투사검사에서도 효과를 발휘했다고 보아야 타당할 것이다. Burns, Robert C. 성인화의 분석. 서울: 학지사, 1995.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955d051b608ded8f
특히 각 그림 별로 상징되어지고 있는 심리상태를 활용하여 심리를 좀 더 자세히 엿볼 수 있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4. 결론
투사검사는 말로 표현하지 못했던 심리자의 상태를 알려준다는 검사 자체의 의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의의가 발생할 수 있음을 파악하고 문장완성검사와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를 진행했다.
진행 결과에 따라서 우리는 심리 상담을 진행할 이들의 마음을 깊이 내다볼 수 있었다. 특히 이들의 심리 상태가 안정적인지 혹은 불안정적인지에 대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다뤄보면서 그들의 전반적인 심리 상태와 이들의 행동이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에 대해 예측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투사, 즉 상대방의 어떤 것을 꿰뚫어 본다는 단어의 뜻처럼 우리는 위의 검사를 활용하여 이들의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는 어두운 면과 밝은 면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검사를 활용한다면 앞으로의 상담의 발전에 있어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집-나무-사람 그림
5. 출처 및 참고문헌
이우경. SCT 문장완성검사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2018.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86e90d6f6ae2b11ffe0bdc3ef48d419
Burns, Robert C. 성인화의 분석. 서울: 학지사, 1995.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955d051b608ded8f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8.19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