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조직이 있으면 반드시 리더가 있다
2. 본론 : 오하이오 주립대학 리더십 연구와 피들러의 상황모형 적용을 통해 보는 주변의 리더들
1) 특성이론과 리더십 연구, 피들러의 상황적합모형
2) 가족
3) 동아리
3. 결론 : 리더는 공동체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
4. 참고 문헌
2. 본론 : 오하이오 주립대학 리더십 연구와 피들러의 상황모형 적용을 통해 보는 주변의 리더들
1) 특성이론과 리더십 연구, 피들러의 상황적합모형
2) 가족
3) 동아리
3. 결론 : 리더는 공동체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다고 믿는다. 그뿐만 아니라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사실상 대면 모임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 현 상황에서 끊임없이 온라인으로 함께 할 만한 것들을 찾고, 이를 통해 공동체 조직원들이 하나로 뭉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한다는 측면에서 조직화, 의사소통 경로를 굉장히 열심히 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책임 간사님은 지도자 평가 사분면에서 1사분면에 해당하는, 높은 배려와 높은 구조주도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한편 구성원이 명령을 받아들이게끔 만드는 직위권력은 없지는 않지만 낮은 편으로, 본인 스스로가 하기 싫은 걸 굳이 나서서 하려고 하는 성향이 아닌 만큼 명령이 아닌 언제나 부탁으로 일관하는 편이다. 과업구조 또한 높은 편은 아니다. 동아리의 목표가 있는 만큼 그 목표를 위해 동아리 내의 선배들에게 끊임없이 과업에 관한 이야기를 함께 나눌 수 있도록 강조하지만, 그 과업을 꾸준히 확인하고 관리를 한다든가 하는 생각으로까지 이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도자와 구성원과의 관계는 양호한 편이다. 위의 직위권력과 과업구조가 그리 높지 않은 만큼 많은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자발적으로 나서서 책임 간사님을 돕고 원조하려고 하는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3. 결론 : 리더는 공동체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
가족과 동아리 리더들의 경우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에서 사용한 리더행위 기술설문지에 따르면 모두 1사분면에 속해있다는 측면에서 리더로서 상당히 적합한 사람들이라고 인지하고 있다. 필자 또한 일반적으로 배려가 크지 않으면 함께 조직에 속하고 싶다는 생각 자체가 들지 않고, 구조주도가 확실하게 되어있지 않으면 조직을 만들어줄 틀 자체가 희미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직이라는 느낌보다는 개인의 합이라는 느낌이 들면서 굳이 공동체에 무언가 어떤 것을 더할 생각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이러한 리더들을 내 공동체 안에서 만난 것은 무척이나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두 공동체 안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생산성, 만족이 둘 다 높기 때문이다. 반면 피들러의 상황적합모형 적용에 따르면 둘 다 과업지향적이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직위권력과 과업구조 둘 다 그리 높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가족은 기본적으로 어떤 과업을 위해 모인 공동체가 아니고, 동아리 또한 인간관계와 종교적인 부분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더욱더 그러하다. 따라서 리더십 상황으로 그렇게 적합해 보이지는 않으나 모두 지도자와 구성원의 관계에서는 상당히 양호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이 돌아가는 것에 있어서 리더십의 역할은 구성원 각 개개인에 대한 만족과 소속감에 대한 고취, 그리고 이를 통한 자율적이지만 스스로가 공동체에 정을 붙이고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역할이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나는 가족과 동아리라는 리더십 상황이 현재로서는 매우 적합하다고 본다. 그리고 나 또한 이러한 리더십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하고, 내가 속할 공동체에서 리더를 맡게 된다면 아마 지금 내가 서술한 저 두 리더의 성향을 따라서 행동할 듯하다. 그러나 직위권력과 과업구조라는 리더십의 상황이 중요하다는 것 또한 무시할 수 없으므로 환경에 대한 분석이 먼저 선행화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제공된 자료
박영미 ( Park Young Mi ).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리더십생활기술의 관계.\" 社會科學論集 48.2 (2017): 99-115.
김성환,and 김주섭. \"MBTI의 피드백을 통한 통합적 리더십개발 탐색연구.\"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20.1 (2017): 171-197.
3. 결론 : 리더는 공동체를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
가족과 동아리 리더들의 경우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에서 사용한 리더행위 기술설문지에 따르면 모두 1사분면에 속해있다는 측면에서 리더로서 상당히 적합한 사람들이라고 인지하고 있다. 필자 또한 일반적으로 배려가 크지 않으면 함께 조직에 속하고 싶다는 생각 자체가 들지 않고, 구조주도가 확실하게 되어있지 않으면 조직을 만들어줄 틀 자체가 희미해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조직이라는 느낌보다는 개인의 합이라는 느낌이 들면서 굳이 공동체에 무언가 어떤 것을 더할 생각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나는 이러한 리더들을 내 공동체 안에서 만난 것은 무척이나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두 공동체 안에서 내가 가지고 있는 생산성, 만족이 둘 다 높기 때문이다. 반면 피들러의 상황적합모형 적용에 따르면 둘 다 과업지향적이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직위권력과 과업구조 둘 다 그리 높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가족은 기본적으로 어떤 과업을 위해 모인 공동체가 아니고, 동아리 또한 인간관계와 종교적인 부분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더욱더 그러하다. 따라서 리더십 상황으로 그렇게 적합해 보이지는 않으나 모두 지도자와 구성원의 관계에서는 상당히 양호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 통해 조직이 돌아가는 것에 있어서 리더십의 역할은 구성원 각 개개인에 대한 만족과 소속감에 대한 고취, 그리고 이를 통한 자율적이지만 스스로가 공동체에 정을 붙이고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역할이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나는 가족과 동아리라는 리더십 상황이 현재로서는 매우 적합하다고 본다. 그리고 나 또한 이러한 리더십을 갖는 것을 목표로 하고, 내가 속할 공동체에서 리더를 맡게 된다면 아마 지금 내가 서술한 저 두 리더의 성향을 따라서 행동할 듯하다. 그러나 직위권력과 과업구조라는 리더십의 상황이 중요하다는 것 또한 무시할 수 없으므로 환경에 대한 분석이 먼저 선행화되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제공된 자료
박영미 ( Park Young Mi ).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리더십생활기술의 관계.\" 社會科學論集 48.2 (2017): 99-115.
김성환,and 김주섭. \"MBTI의 피드백을 통한 통합적 리더십개발 탐색연구.\"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20.1 (2017): 171-197.
추천자료
간호지도자론-1)오하이오주립대학의 리더십연구를 기초로하여 자신이속해있는 조직(병원 학교...
간호지도자론] 오하이오주립대학의 리더십연구를 기초로하여 자신이속해있는 조직(병원 학교 ...
간호지도자론 2021년 방송대] 오하이오주립대학의 리더십연구+피들러의 상황모형 -간호지도자론
2021 간호지도자론)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간호지도자론 자신이 속...
간호지도자론 2021]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
2021 간호지도자론]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로 하여 간호지도자론 자신이 속...
간호지도자론 2021년 방송대] 1)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 2) 피들러의 상황모형
2021년 간호지도자론 방송대] 1.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 2.간호지도자론 피들러의 ...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를 기초,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병원, 학교, 사업장, 가족...
간호 지도자론 ) 1)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리더십 연구 기초 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