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세대론의 이해
Ⅱ. 세대론으로 본 덕수와 기택
1. 국제시장의 덕수
2. 기생충의 기택
3. 덕수와 기택의 세대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세대론으로 본 덕수와 기택
1. 국제시장의 덕수
2. 기생충의 기택
3. 덕수와 기택의 세대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가치로 보인다. 하지만 기택의 경우 덕수가 중요하게 여긴 단순 노동에 대한 가치를 절하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박스를 접는 일 보다 성공한 사업가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가치 있는 일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택의 자녀세대는 유학파라는 거짓말을 하면서까지 지식 전달 서비스에 대한 가치를 더 높기 보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즉, 각 세대가 겪는 주요 노동의 형태와 가치의 차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다.
Ⅲ. 상호 비교를 통한 세대 이해
다른 시대를 살아온 덕수와 기택을 통해서 다른 세대의 이해와 가치를 비교할 수 있었다. 각 영화에서 나오는 세대 간의 인식적, 경제적 차이를 볼 수 있었다는 면에서 단기적인 세대 차이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고, 두 영화의 인물들에 대한 비교는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와 세대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었다. 상호 세대론적인 접근을 통해 기존 세대론적인 관점에서 비슷한 연령대의 공통의 이해와 경험이 다른 세대를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고려사항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긴 하지만, 최근의 상황을 고려해본다면 두 영화에서 주는 교훈은 더욱 확장될 수 있다.
허지웅 (2011)은 최근 젊은 세대를 기반으로 공유되는 문화 사회적 이해관계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했다. 이는 전통적 관념에서의 세대 구분이 힘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연령만을 기준으로 세대를 나누기에는 연령대 구분과 세대 구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모순이 생긴다. 즉, 전통적 관념의 세대론, 상호 세대론적 접근이 지금까지의 세대론적 이해를 도와 왔다면, 현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는 어떠한 것이 세대를 구분 짓기 위한 기준으로 인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세대라는 접근이 특정 연령대나 시대상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특정 시대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희재 (2004). 한국의 세대론과 세대문화코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45-151
박성준. (2021). 세대론에서의 세대 형성 요인과 상호세대론적 세대 개념의 물음. 현대유럽철학연구, 62, 219-246.
박성준 & 박치완, (2020) 「상호세대적 세대 구분과 세대 통합의 문제」, 인문학연
구. 59(1)
허지웅.(2011). 20대와 세대론의 결별. 세계의문학, 36(2): 289-301
Ⅲ. 상호 비교를 통한 세대 이해
다른 시대를 살아온 덕수와 기택을 통해서 다른 세대의 이해와 가치를 비교할 수 있었다. 각 영화에서 나오는 세대 간의 인식적, 경제적 차이를 볼 수 있었다는 면에서 단기적인 세대 차이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고, 두 영화의 인물들에 대한 비교는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사회와 세대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었다. 상호 세대론적인 접근을 통해 기존 세대론적인 관점에서 비슷한 연령대의 공통의 이해와 경험이 다른 세대를 이해하는데 기본적인 고려사항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긴 하지만, 최근의 상황을 고려해본다면 두 영화에서 주는 교훈은 더욱 확장될 수 있다.
허지웅 (2011)은 최근 젊은 세대를 기반으로 공유되는 문화 사회적 이해관계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했다. 이는 전통적 관념에서의 세대 구분이 힘들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연령만을 기준으로 세대를 나누기에는 연령대 구분과 세대 구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모순이 생긴다. 즉, 전통적 관념의 세대론, 상호 세대론적 접근이 지금까지의 세대론적 이해를 도와 왔다면, 현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는 어떠한 것이 세대를 구분 짓기 위한 기준으로 인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세대라는 접근이 특정 연령대나 시대상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특정 시대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희재 (2004). 한국의 세대론과 세대문화코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45-151
박성준. (2021). 세대론에서의 세대 형성 요인과 상호세대론적 세대 개념의 물음. 현대유럽철학연구, 62, 219-246.
박성준 & 박치완, (2020) 「상호세대적 세대 구분과 세대 통합의 문제」, 인문학연
구. 59(1)
허지웅.(2011). 20대와 세대론의 결별. 세계의문학, 36(2): 289-301
키워드
추천자료
2021년 2학기 세대와소통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세대론의 관점에서 아버지 비교)
[세대와소통 2학년 공통]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생충’의 아버지 기택(송...
(세대와소통 2)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생충의 아버지 기택(송강호 역)을 세...
[2021 세대와소통2공통]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
(세대와소통, 공통)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
세대와소통 )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
세대와소통 )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
세대와소통 )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
세대와소통 ) 영화 국제시장과 기생충을 시청합니다 국제시장의 아버지 덕수(황정민 역)와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