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련과와 수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작성하시오(배점 10점).
1) 목련아강의 특징
2) 목련과와 수련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
2. 목련과의 목련속과 튜울립나무속의 속간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배점 10점).
1) 목련속
2) 튜울립나무속
3. 목련속에 속하는 목련, 백목련, 자주목련, 자목련, 일본목련, 함박꽃나무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배점 10점).
1) 목련
2) 백목련
3) 자주목련
4) 자목련
5) 일본목련
6) 함박꽃나무
4. 참고문헌
1) 목련아강의 특징
2) 목련과와 수련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
2. 목련과의 목련속과 튜울립나무속의 속간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배점 10점).
1) 목련속
2) 튜울립나무속
3. 목련속에 속하는 목련, 백목련, 자주목련, 자목련, 일본목련, 함박꽃나무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배점 10점).
1) 목련
2) 백목련
3) 자주목련
4) 자목련
5) 일본목련
6) 함박꽃나무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긴 타원형의 모양이다. 잎 표면은 매끈하지만, 뒷면에는 백색의 잔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잎의 크기는 매우 크다. 일본목련은 5~6월에 꽃이 가지 끝에 1개씩 피고 지름 15cm 정도이다. 흰색의 꽃은 향기가 매우 강하며 하늘을 향해 꽃이 핀다는 특징이 있다. 수술대는 분홍색으로 암술과 수술이 많이 있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길이 15cm 내외로 열매 또한 큰 편이다. 열매는 가을에는 홍자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골돌이며, 2개씩 들어가 있고 벌어져서 나오며 흰색 실에 매달린 형태이다. “일본목련”, 두산백과, <최종검색일:2021.9.26.>,
일본목련은 음지에서도 잘 자라며, 숲에서도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 중부 이남 지역에 식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목련속 식물 가운데 잎이 가장 크고, 꽃이 가지 위쪽에 모여서 달려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6)함박꽃나무
깊은 산속에 자라는 목련이라고 하는 함박꽃나무는 산목련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세가 큰 산림지역에서 흔하게 자라고 있으며 중국 북부나 일본에서도 분포하였다, 북한에서 목란으로 불리며, 국화로 지정하였다. 목란은 “나무에 피는 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낙엽소교목으로 높이는 6~10m 정도 자라며, 목련속 중에 작은 편에 속한다. 나무껍질은 매끈하고 회백색이다. 잎은 어긋나 있으며, 타원형 혹은 넓은 도란형으로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의 뒷면에 회색빛이 도는 녹색으로 맥 위에 털이 났다. 잎은 5~6월에 나며, 잎이 난 후에 7~8월에 옆 혹은 밑을 향해 꽃이 피며 흰색이다. 꽃은 지름 7~10cm 정도이다. 수술은 붉은빛이 돈다. 꽃잎은 6~9장으로 꽃받침은 3장이다. 열매는 타원형 골돌 형태로 길이는 3~4cm로 9월에 익는다. 실에 매달린 종자가 나온다. 겨울눈에 누운 털이 많이 나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진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0.12.13.
관상용으로 심는 함박꽃나무는 나무껍질을 건위제 혹은 구충제 등으로 약용으로 활용한다. 최근 함박꽃나무의 약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함박꽃나무의 성능이 위암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균의 증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줄기의 수피에서 얻은 추출물에 코스튜놀리드라는 산화 질소 화합효소를 억제하는 화합물이 백혈병의 증상을 보이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신약 개발의 잠재성을 갖고 있다.
4.참고문헌
- 강병화,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한국학술정보(주), 2012.
- Nianhe Xia, Yuhu Liu & Hans P. Nooteboom. “Yulania denudata”. 《Flora of China》.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 Kim S, Park CW, Kim YD 등 (2001)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family Magnoliaceae inferred from ndhF sequences. Amer J Bot, 88: 717-728
- “자목련”, 두산백과, <최종검색일:2021.9.26.>,
- “일본목련”, 두산백과, <최종검색일:2021.9.26.>,
- 현진오 · 나혜련,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1.12.16.,
- 신재성 외 2인, 국립중앙과학관-식물정보,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최종검색일:2021.9.26.>,
- 현진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0.12.13.
일본목련은 음지에서도 잘 자라며, 숲에서도 잘 자란다. 우리나라에서 중부 이남 지역에 식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목련속 식물 가운데 잎이 가장 크고, 꽃이 가지 위쪽에 모여서 달려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6)함박꽃나무
깊은 산속에 자라는 목련이라고 하는 함박꽃나무는 산목련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전국의 산세가 큰 산림지역에서 흔하게 자라고 있으며 중국 북부나 일본에서도 분포하였다, 북한에서 목란으로 불리며, 국화로 지정하였다. 목란은 “나무에 피는 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낙엽소교목으로 높이는 6~10m 정도 자라며, 목련속 중에 작은 편에 속한다. 나무껍질은 매끈하고 회백색이다. 잎은 어긋나 있으며, 타원형 혹은 넓은 도란형으로 끝은 급히 뾰족해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의 뒷면에 회색빛이 도는 녹색으로 맥 위에 털이 났다. 잎은 5~6월에 나며, 잎이 난 후에 7~8월에 옆 혹은 밑을 향해 꽃이 피며 흰색이다. 꽃은 지름 7~10cm 정도이다. 수술은 붉은빛이 돈다. 꽃잎은 6~9장으로 꽃받침은 3장이다. 열매는 타원형 골돌 형태로 길이는 3~4cm로 9월에 익는다. 실에 매달린 종자가 나온다. 겨울눈에 누운 털이 많이 나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진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0.12.13.
관상용으로 심는 함박꽃나무는 나무껍질을 건위제 혹은 구충제 등으로 약용으로 활용한다. 최근 함박꽃나무의 약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함박꽃나무의 성능이 위암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균의 증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줄기의 수피에서 얻은 추출물에 코스튜놀리드라는 산화 질소 화합효소를 억제하는 화합물이 백혈병의 증상을 보이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신약 개발의 잠재성을 갖고 있다.
4.참고문헌
- 강병화,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한국학술정보(주), 2012.
- Nianhe Xia, Yuhu Liu & Hans P. Nooteboom. “Yulania denudata”. 《Flora of China》.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 Kim S, Park CW, Kim YD 등 (2001)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family Magnoliaceae inferred from ndhF sequences. Amer J Bot, 88: 717-728
- “자목련”, 두산백과, <최종검색일:2021.9.26.>,
- “일본목련”, 두산백과, <최종검색일:2021.9.26.>,
- 현진오 · 나혜련,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1.12.16.,
- 신재성 외 2인, 국립중앙과학관-식물정보,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최종검색일:2021.9.26.>,
- 현진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0.12.13.
추천자료
2020년 2학기 식물분류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참나무과와 자작나무과)
2021년 2학기 식물분류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목련과와 수련과의 공통점과 차이점 등)
본 과목의 교과서(식물분류학, 이병윤 등 공저)에 수록되어 있는 참나무과와 자작나무과를 설...
식물분류학 ) 본 과목의 교과서(식물분류학, 이병윤 등 공저)에 수록되어 있는 참나무과와 자...
식물분류학 ) 본 과목의 교과서(식물분류학, 이병윤 등 공저)에 수록되어 있는 참나무과와 자...
식물분류학 ) 본 과목의 교과서(식물분류학, 이병윤 등 공저)에 수록되어 있는 목련과와 수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