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신의 유·초·중등·대학 시절이나 성인기에 경험하였던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 장애의 특징에 대해 기술하고 해당 장애 유아에 대한 경험이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인식에 준 직∙간접적 영향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시오. A4용지 2페이지 서론-본론-결론 형식으로 기술하시오(14점).
1) 서론
2) 필자 경험 속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 특징
3) 장애에 대한 인식을 준 직·간접적 영향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2. ① 발달지체, ② 지적장애, ③ 자폐성장애, ④ 시각장애, ⑤ 청각장애, ⑥ 정서 및 행동장애, ⑦ 의사소통장애 이상의 7가지 장애 중 본인이 관심 있는 장애 유형 2가지를 선택하시오. 선택한 2개 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 교육 방법을 각각 기술(장애유형 1: 서론-본론-결론, 장애 유형 2: 서론-본론-결론 형식)하시되, A4용지 7매로 작성하시오(16점).
Ⅰ. 장애유형 1
1) 서론
2) 장애 유형의 정의, 원인, 특성
3) 장애 유형의 교육 방법
4) 결론
Ⅱ. 장애유형 2
1) 서론
2) 장애 유형의 정의, 원인, 특성
3) 장애 유형의 교육 방법
4) 결론
3.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필자 경험 속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 특징
3) 장애에 대한 인식을 준 직·간접적 영향
4) 결론
5) 출처 및 참고문헌
2. ① 발달지체, ② 지적장애, ③ 자폐성장애, ④ 시각장애, ⑤ 청각장애, ⑥ 정서 및 행동장애, ⑦ 의사소통장애 이상의 7가지 장애 중 본인이 관심 있는 장애 유형 2가지를 선택하시오. 선택한 2개 장애의 정의, 원인, 특성, 교육 방법을 각각 기술(장애유형 1: 서론-본론-결론, 장애 유형 2: 서론-본론-결론 형식)하시되, A4용지 7매로 작성하시오(16점).
Ⅰ. 장애유형 1
1) 서론
2) 장애 유형의 정의, 원인, 특성
3) 장애 유형의 교육 방법
4) 결론
Ⅱ. 장애유형 2
1) 서론
2) 장애 유형의 정의, 원인, 특성
3) 장애 유형의 교육 방법
4) 결론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요 우울장애 등을 기반으로 하여 기분장애의 증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보이고 있다. 문장원,정병종,and 박상태. \"정서 및 행동장애학생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검토.\"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3.1 (2017): 241-256.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1b4fa459cf5f0a3b7998d826d417196
3) 장애 유형의 교육 방법
우리는 앞서 장애 유형의 원인, 정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서 및 행동 장애는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이들은 우울감과 기분을 조절할 수 없는 장애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사안을 우리는 장애인등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의를 마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정서 및 행동 장애를 가지고 있는 이들을 위해 우리가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정서 및 행동 장애를 위한 교육 방법에서 우리는 abc 모델을 적용하여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적용해야 할 것이다. a는 여기에서 선행사건이라는 뜻을 가진 antecedents라는 단어이며 b는 여기서 행동이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 behavior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c는 여기에서 후속결과라는 뜻인 consequence를 연관 지어서 나타내고 있다. 위의 영어 단어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abc 모델은 선행사건을 예측하여 이들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위의 행동으로 이들이 원하는 결과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정서 및 행동 장애 유형은 이들의 감정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교육을 통해서 이들의 모습을 완전히 탈바꿈할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교육을 통해서 어느 정도 보편적인 상황에서 결과를 미리 예상하게 만들어 준다. 이로 인해서 스스로의 행동을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으며, 통제를 기반으로 하여 자신 의도대로 어느 정도의 조절 능력을 키워준다는 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교육의 방법은 교과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아닌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인성 교육을 하는 방향으로 늘려가는 것이다. 교과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것보다 이들에게 우선적으로 배워야 하고 실생활에 적용해야 하는 것은 사회관계를 쌓아가는 데에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과적인 내용을 가르치는 방식 대신에 실생활에서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직접 알려주고 적용해보는 시간을 거치면서 이들이 배운 것을 적용하고 나아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정서 및 행동 장애 유형을 가진 이들을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보다도 이들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 방안을 제공하여서 이들이 사회관계 속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 이 교육의 최종 목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안명희(Myung Hee Ahn). \"정서-행동장애아의 예방 및 치료: 학교장면에서의 예방적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2005): 113-130.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61c750f010dd51cd18150b21a227875
4) 결론
장애인들은 우리와 함께 한 나라 속에서 한 인생을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이들은 각자의 인격이 있으며, 그들은 그들 스스로의 모습에 대해서 인식을 한다. 즉 자아가 있는 존재들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들은 일상생활과 사회 속에서 관계를 유지해나가는 데 일종의 어려움이 존재하는 이들이다. 필자가 조사 분석한 정서 및 행동 장애 유형을 토대로 관찰을 했을 때 이들은 특히 사회 속에서 관계를 유지하고 일정한 상황에 부딪혔을 때 스스로의 감정을 통제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생물학적이거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장애의 유형이 유발되었으며, 장애인등에 대한 특별법에서 이들의 유형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위의 상황에 처한 이들을 잘 돕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의 일부로서 교육의 방법을 필자는 고안했으며, abc모델을 활용해 교육 방안을 적용하며,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의 방안을 설명하도록 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김영태. \"자폐아의 말ㆍ언어 특성에 관한 고찰.\" 교육과학연구 30.- (1999): 67-86.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ad904b47aced340
김하윤, 자폐증 원인으로 \'뇌 신경망 너무 많은 탓\' 제기, 2016.08.09. 헬스 조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80901461
방명애. \"자폐아동의 인지특성과 교수전략.\" 정서ㆍ행동장애연구 16.1 (2000): 139-157.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b4726399bf7f222
문장원,정병종,and 박상태. \"정서 및 행동장애학생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검토.\"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3.1 (2017): 241-256.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1b4fa459cf5f0a3b7998d826d417196
안명희(Myung Hee Ahn). \"정서-행동장애아의 예방 및 치료: 학교장면에서의 예방적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2005): 113-130.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61c750f010dd51cd18150b21a227875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1b4fa459cf5f0a3b7998d826d417196
3) 장애 유형의 교육 방법
우리는 앞서 장애 유형의 원인, 정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서 및 행동 장애는 생물학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서 이들은 우울감과 기분을 조절할 수 없는 장애를 겪고 있으며 이러한 사안을 우리는 장애인등에 관한 특별법에서 정의를 마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정서 및 행동 장애를 가지고 있는 이들을 위해 우리가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선 정서 및 행동 장애를 위한 교육 방법에서 우리는 abc 모델을 적용하여 교육을 할 수 있도록 적용해야 할 것이다. a는 여기에서 선행사건이라는 뜻을 가진 antecedents라는 단어이며 b는 여기서 행동이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 behavior을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c는 여기에서 후속결과라는 뜻인 consequence를 연관 지어서 나타내고 있다. 위의 영어 단어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abc 모델은 선행사건을 예측하여 이들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 위의 행동으로 이들이 원하는 결과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정서 및 행동 장애 유형은 이들의 감정을 스스로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교육을 통해서 이들의 모습을 완전히 탈바꿈할 수는 없겠지만, 그럼에도 교육을 통해서 어느 정도 보편적인 상황에서 결과를 미리 예상하게 만들어 준다. 이로 인해서 스스로의 행동을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으며, 통제를 기반으로 하여 자신 의도대로 어느 정도의 조절 능력을 키워준다는 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우리가 할 수 있는 교육의 방법은 교과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아닌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인성 교육을 하는 방향으로 늘려가는 것이다. 교과적인 내용을 학습하는 것보다 이들에게 우선적으로 배워야 하고 실생활에 적용해야 하는 것은 사회관계를 쌓아가는 데에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교과적인 내용을 가르치는 방식 대신에 실생활에서 이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해 직접 알려주고 적용해보는 시간을 거치면서 이들이 배운 것을 적용하고 나아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정서 및 행동 장애 유형을 가진 이들을 위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보다도 이들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 방안을 제공하여서 이들이 사회관계 속에서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 이 교육의 최종 목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안명희(Myung Hee Ahn). \"정서-행동장애아의 예방 및 치료: 학교장면에서의 예방적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2005): 113-130.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61c750f010dd51cd18150b21a227875
4) 결론
장애인들은 우리와 함께 한 나라 속에서 한 인생을 살아가는 존재들이다. 이들은 각자의 인격이 있으며, 그들은 그들 스스로의 모습에 대해서 인식을 한다. 즉 자아가 있는 존재들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들은 일상생활과 사회 속에서 관계를 유지해나가는 데 일종의 어려움이 존재하는 이들이다. 필자가 조사 분석한 정서 및 행동 장애 유형을 토대로 관찰을 했을 때 이들은 특히 사회 속에서 관계를 유지하고 일정한 상황에 부딪혔을 때 스스로의 감정을 통제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이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생물학적이거나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서 장애의 유형이 유발되었으며, 장애인등에 대한 특별법에서 이들의 유형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위의 상황에 처한 이들을 잘 돕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의 일부로서 교육의 방법을 필자는 고안했으며, abc모델을 활용해 교육 방안을 적용하며,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의 방안을 설명하도록 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김영태. \"자폐아의 말ㆍ언어 특성에 관한 고찰.\" 교육과학연구 30.- (1999): 67-86.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ad904b47aced340
김하윤, 자폐증 원인으로 \'뇌 신경망 너무 많은 탓\' 제기, 2016.08.09. 헬스 조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6080901461
방명애. \"자폐아동의 인지특성과 교수전략.\" 정서ㆍ행동장애연구 16.1 (2000): 139-157.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b4726399bf7f222
문장원,정병종,and 박상태. \"정서 및 행동장애학생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검토.\" 정서ㆍ행동장애연구 33.1 (2017): 241-256.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21b4fa459cf5f0a3b7998d826d417196
안명희(Myung Hee Ahn). \"정서-행동장애아의 예방 및 치료: 학교장면에서의 예방적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2005): 113-130.
http://www.riss4u.net/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061c750f010dd51cd18150b21a227875
키워드
추천자료
[2021 특수교육학개론] 1. 자신의 유·초·중등·대학 시절이나 성인기에 경험하였던 장애 유아...
특수교육학개론
[특수교육학개론 4학년 공통] 1. 자신의 유초중등대학 시절이나 성인기에 경험하였던 장애 유...
5특수교육학개론 )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
특수교육학개론 ) 자신의 유초중등대학 시절이나 성인기에 경험하였던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
특수교육학개론 )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 ...
특수교육학개론 )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 ...
특수교육학개론 ) 1)발달 지체, 2)지적 장애, 3)자폐성 장애, 4)시각 장애, 5)청각 장애, 6)...
특수교육학개론 )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