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10점)
1) 다음 진술된 연구문제에서 가장 타당한 것으로 생각되는 주요어(Key word)를 제시하시오. (5점)
2)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Core database)를 5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5점)
<연구 문제>
율동적 동작 훈련이 관절염 환자의 안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지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에서의 적용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10점)
2-3. 다음의 용어를 설명하고, 아래 <가설 예>에서 해당되는 부분을 찾아 기호로 쓰시오. (10점)
1) 연구가설 :
2) 귀무가설 :
<가설 예>
A.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 전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은 차이가 없을 것이다.
B.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 적용 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2-4. 다음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를 설명하시오. (10점)
1) 대상자 선택편중 (5점)
2) 통계적 회귀 (5점)
2-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0점)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5점)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2-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10점)
1) 다음 진술된 연구문제에서 가장 타당한 것으로 생각되는 주요어(Key word)를 제시하시오. (5점)
2)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Core database)를 5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5점)
<연구 문제>
율동적 동작 훈련이 관절염 환자의 안녕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지를 제시하고, 각각에 대해 구체적인 연구에서의 적용을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10점)
2-3. 다음의 용어를 설명하고, 아래 <가설 예>에서 해당되는 부분을 찾아 기호로 쓰시오. (10점)
1) 연구가설 :
2) 귀무가설 :
<가설 예>
A.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 전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은 차이가 없을 것이다.
B.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 적용 후 중환자실 간호사의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2-4. 다음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를 설명하시오. (10점)
1) 대상자 선택편중 (5점)
2) 통계적 회귀 (5점)
2-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0점)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5점)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설을 의미한다. 다른 말로는 귀무가정(歸無假定), 영가설(零假說)이라고도 부른다. 또, 연구변수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진술하기도 한다. 이러한 내용에 비추어 보았을 때, <가설 예>에서 해당하는 부분은 A일 것이다.
2-4. 다음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를 설명하시오. (10점)
1) 대상자 선택편중 (5점)
2) 통계적 회귀 (5점)
1) 대상자 선택편중(selection bias)는 철저한 무작위 배정 원칙을 지키지 못할 때 발생한다. 본래 연구를 진행할 때에는 대상자를 선택할 때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추출하고, 실험 집단과 대조 집단에 무작위로 배정하는 방법이 이상적이나, 다른 사회과학 연구보다 고려해야 하는 변수가 많은 간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편의표출로 대상자를 선택한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 무작위로 배정하는 방법이 흔하게 사용된다.
2) 통계적 회귀(statistical regression)는 쉽게 말하여 평균값으로의 수렴을 의미한다. 등간이나 비율 척도를 사용하여 개인의 점수를 측정할 때, 극단적인 점수를 보인 사람들을 재조사하면 특별한 이유 없이 첫 번째 값보다 평균 쪽으로 움직인 점수를 얻게 된다. 이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2-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0점)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5점)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1) Physical activity level (MET min/wk)
2) 유의 확률(p)이 유의수준(α)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대립 가설이 채택된다는 점에 비추어 보자. 이 말은 즉, 대립 가설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유의 확률이 유의 수준보다 작아야 한다는 말이다.
첨부된 표의 상단에 기재된 유의 수준(α=0.01)보다 작은 유의 확률(p<0.01)을 가지고 있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대립 가설이 채택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 값은 Physical activity level (MET min/wk) 만이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고급간호연구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돌이켜 보며, 제시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많은 자료를 찾아 조사하여, 나의 문장으로 정리해 보았다. 사실, 간호 연구라고 하면 늘 굉장히 막연하게만 느껴지고 자신이 없었는데, 고급간호연구 수업을 들으며 간호 연구가 무작정 어렵지만은 아니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간호 연구에 흥미가 생긴 것 같다. 나중에 혹시 간호 연구를 진행할 기회가 생긴다면 이 수업을 들으며 공부했던 내용을 떠올리며 진행하고 싶다.
4. 참고문헌
간호연구,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한국사전연구사
귀무가설,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한국사전연구사
귀무가설, 두산백과
2-4. 다음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 한가지를 설명하시오. (10점)
1) 대상자 선택편중 (5점)
2) 통계적 회귀 (5점)
1) 대상자 선택편중(selection bias)는 철저한 무작위 배정 원칙을 지키지 못할 때 발생한다. 본래 연구를 진행할 때에는 대상자를 선택할 때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추출하고, 실험 집단과 대조 집단에 무작위로 배정하는 방법이 이상적이나, 다른 사회과학 연구보다 고려해야 하는 변수가 많은 간호 연구에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통제하기 위해서는 편의표출로 대상자를 선택한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 무작위로 배정하는 방법이 흔하게 사용된다.
2) 통계적 회귀(statistical regression)는 쉽게 말하여 평균값으로의 수렴을 의미한다. 등간이나 비율 척도를 사용하여 개인의 점수를 측정할 때, 극단적인 점수를 보인 사람들을 재조사하면 특별한 이유 없이 첫 번째 값보다 평균 쪽으로 움직인 점수를 얻게 된다. 이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신뢰도가 높은 도구를 사용하여야 한다.
2-5. 다음 연구의 결과 표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유의수준α=.01 기준). (10점)
1)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Variables)를 모두 찾아 제시하시오.(5점)
2) 1)의 답을 제시한 이유를 설명하시오. (5점)
1) Physical activity level (MET min/wk)
2) 유의 확률(p)이 유의수준(α)보다 작으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대립 가설이 채택된다는 점에 비추어 보자. 이 말은 즉, 대립 가설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유의 확률이 유의 수준보다 작아야 한다는 말이다.
첨부된 표의 상단에 기재된 유의 수준(α=0.01)보다 작은 유의 확률(p<0.01)을 가지고 있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값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대립 가설이 채택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 값은 Physical activity level (MET min/wk) 만이라고 볼 수 있다.
3. 결론
지금까지 고급간호연구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돌이켜 보며, 제시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많은 자료를 찾아 조사하여, 나의 문장으로 정리해 보았다. 사실, 간호 연구라고 하면 늘 굉장히 막연하게만 느껴지고 자신이 없었는데, 고급간호연구 수업을 들으며 간호 연구가 무작정 어렵지만은 아니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간호 연구에 흥미가 생긴 것 같다. 나중에 혹시 간호 연구를 진행할 기회가 생긴다면 이 수업을 들으며 공부했던 내용을 떠올리며 진행하고 싶다.
4. 참고문헌
간호연구,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한국사전연구사
귀무가설,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한국사전연구사
귀무가설, 두산백과
키워드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고급간호연구 기말과제물)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
[고급간호연구 2021 기말과제] 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을 위해 적절한 검색어와 전자데...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년] 1. 간호연구에 관한 문헌검색 주요어 2.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
고급간호연구 기말 2021)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
2021년 고급간호연구 기말]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
고급간호연구
2021 고급간호연구 기말] 주요어, 핵심이 되는 전자데이터베이스, 순수실험연구의 조건 세가...
고급간호연구 ) 다음 진술된 연구문제에서 가장 타당한 것으로 생각되는 주요어(Key word)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