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에서 유아(3~5살), 초등(6~11살), 중등(12~17살), 성인부모 네 집단 중 한 집단을 선택하여 이들이 재학할 학교(유치원 포함)에서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what) 어떤 이유에서(why) 어떤 방식으로(how) 실시할 수 있을까에 대해 제안서를 작성하시오
2)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추진기관 또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을 통해 한국인인 이웃, 즉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들과 이웃으로 살아가는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what) 어떤 이유에서(why) 어떤 방식으로(how) 실시할 수 있을가에 대해 제안서를 작성하시오
2)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추진기관 또는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을 통해 한국인인 이웃, 즉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들과 이웃으로 살아가는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교육 프로그램을(what) 어떤 이유에서(why) 어떤 방식으로(how) 실시할 수 있을가에 대해 제안서를 작성하시오
본문내용
화 교육 프로그램만을 세뇌시키다 보니, 서로간의 확실한 문화 차이를 인정하지 못하면서 그 사이에 일어난 갈등의 골이 깊어지며, 각종 미디어에서 장난스럽고 개그의 소재로 사용되던 다문화인들의 이미지가 마치 그 사람들 모두를 대변하듯이 그려졌다는게 가장 큰 문제인것이다.
이는 특히나 최근 사회에 맞추어 더 개방적이며 상호 이해적인 환경으로 변화해야만한다. 일단은 다문화 교육이 단순하게 다수에게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닌 소수만을 위한 교육이라는 편견이 없어져야 한다. 우리가 도와주어야하는 불쌍한 사람들만을 위한 교육이라는 편견이 아주 뿌리깊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다문화 사회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의 의미가 무엇인지 가르쳐주어야 한다.
(3) how_어떻게 실행, 운영되어야 하는가
이미 자리잡힌 편견과 색안경을 벗어내기 힘든 성인들에게는 특히나 더욱 더 세심한 교육이 필요하다. 일단 무조건적으로 미디어를 맹신하거나 미디어를 믿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여태까지 비춰왔던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의 그림들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와 자세를 가르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이에 따라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공익 캠페인을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그들 스스로가 솔직하게 다문화 가정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는지 인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의 가치관은 옳고 그름은 존재하지 않는다. 수많은 사람들이 모두 다르듯 물론 가치관도 다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잘못된 가치관에 대해서는 올바른 지도가 분명하게도 필요하다. 항상 다문화 가정이라고 하면 불쌍하거나 우리가 도와주어야만 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한국 사람들에게는 가장 대중적인 이미지일 것이다. 이런것보다 일단 다문화 가정의 사람들이 어떻게 우리 나라에 정착을 했으며, 단순하게 적응 뿐만이 아닌 취업시장에 나가 취업을 하고 정상적인 경제 활동을 하고 있는 성공 사례 등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또 알려 준다. 이를 통해서 일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잘못된 생각부터 고쳐주는 방식에서 시작하여, 그들의 문화를 완전하게 이해할 순 없지만 그들이 우리에 대해서 생각하는 방식이나 그들이 어떻게 적응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확실하게 설명해준다면 일단 고정관념은 탈피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교육사회학. 성기선, 유성상, 이해주 지음. 출판문화원. 2014
- 정의철, 커뮤니케이션북스,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2013
이는 특히나 최근 사회에 맞추어 더 개방적이며 상호 이해적인 환경으로 변화해야만한다. 일단은 다문화 교육이 단순하게 다수에게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닌 소수만을 위한 교육이라는 편견이 없어져야 한다. 우리가 도와주어야하는 불쌍한 사람들만을 위한 교육이라는 편견이 아주 뿌리깊이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다문화 사회 자체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의 의미가 무엇인지 가르쳐주어야 한다.
(3) how_어떻게 실행, 운영되어야 하는가
이미 자리잡힌 편견과 색안경을 벗어내기 힘든 성인들에게는 특히나 더욱 더 세심한 교육이 필요하다. 일단 무조건적으로 미디어를 맹신하거나 미디어를 믿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여태까지 비춰왔던 다문화 가정에 대한 미디어의 그림들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와 자세를 가르치는 것도 아주 중요하다. 이에 따라서 다문화 가정에 대한 공익 캠페인을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그들 스스로가 솔직하게 다문화 가정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는지 인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의 가치관은 옳고 그름은 존재하지 않는다. 수많은 사람들이 모두 다르듯 물론 가치관도 다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잘못된 가치관에 대해서는 올바른 지도가 분명하게도 필요하다. 항상 다문화 가정이라고 하면 불쌍하거나 우리가 도와주어야만 하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한국 사람들에게는 가장 대중적인 이미지일 것이다. 이런것보다 일단 다문화 가정의 사람들이 어떻게 우리 나라에 정착을 했으며, 단순하게 적응 뿐만이 아닌 취업시장에 나가 취업을 하고 정상적인 경제 활동을 하고 있는 성공 사례 등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또 알려 준다. 이를 통해서 일단 그들이 가지고 있는 잘못된 생각부터 고쳐주는 방식에서 시작하여, 그들의 문화를 완전하게 이해할 순 없지만 그들이 우리에 대해서 생각하는 방식이나 그들이 어떻게 적응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확실하게 설명해준다면 일단 고정관념은 탈피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교육사회학. 성기선, 유성상, 이해주 지음. 출판문화원. 2014
- 정의철, 커뮤니케이션북스, 다문화 커뮤니케이션, 2013
추천자료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2021년 기말시험 과제물,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에서 교...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공통)(아프가니스탄,난민,아프가니스탄특별기여...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교육사회학(공통)(아프가니스탄특별기여자집단,...
교육사회학 )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추진기관 또는 지역사회 평생교...
교육사회 ) 한국에 입국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집단에서 중 한 집단을 선택하여 이들이 ...
교육사회학 ) 지역사회에서의 시민교육 차원에서 다문화교육 추진기관 또는 지역사회 평생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