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장 과정에서 부모님에게 드러내지 못했던 나 자신의 감정과 욕구가 있었다면 무엇인가요? 만약 그 때 드러내지 못했던 감정과 욕구를 지금 부모님께 (아버지, 어머니 각각 따로도 가능) 전한다면 어떻게 전달 할지 작성해 보시오. 단, 나 자신의 감정과 욕구(기대, 꿈, 등등 포함)를 사실에 비추어 서신 형식이나, 또는 이야기 구문 형태로 자유롭게 작성 해 보세요.
2) 부모로부터 이어진 감성이나 표정, 말투, 대화법 등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만약 그로인해 자녀에게 계속해서 고스란이 이어지고 있는 것들이 (만약 자녀가 없다면 가족이나 동료에게 주로 하는 것들) 있다면 무엇이며, 만약 그러지 말아야 겠다면 어떻게 하고 싶은지 나 자신의 기대와 함께 미래 행동설계를 작성해 봅시다.
2) 부모로부터 이어진 감성이나 표정, 말투, 대화법 등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만약 그로인해 자녀에게 계속해서 고스란이 이어지고 있는 것들이 (만약 자녀가 없다면 가족이나 동료에게 주로 하는 것들) 있다면 무엇이며, 만약 그러지 말아야 겠다면 어떻게 하고 싶은지 나 자신의 기대와 함께 미래 행동설계를 작성해 봅시다.
본문내용
있는지 말하는 과정에서 종종 그들을 비꼬는 듯이 말한 것처럼 보여 기분 나빠하는 모습을 본 적 있다. 이에 본인은 이러한 말투를 고치기 위해 행동 설계가 필요함을 느꼈다.
이러한 말투의 습관을 고치기 위해 본인은 가장 먼저 말하기 전 3초간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말하기 전 해당 말투와 발언이 대상에게 모욕감을 느끼거나 불편함을 표하지는 않을지를 생각하고 이를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혹은 항상 스마트폰의 메모장이나 내가 활동하는 장소에 말투를 고치기 위해 이를 인지하기 위한 포스트잇을 준비하는 등의 행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말투를 고쳤을 때 본인은 남들에게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보이지 않으면서 대화나 말투에서 사람들을 대하는 과정이 더욱 쉬워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표정이나 말투, 대화에서 보여주는 특징을 작은 것에서부터 조금씩 개선하는 것이 결국 감정적인 변화와 전체적인 본인의 이미지를 변경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것으로 보았다. 작은것에서부터 습관을 변화하였을 때 이후 큰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활동할 필요가 있음을 생각할 수 있었다.
참고자료
포그(2020.12). 습관의 디테일. 흐름출판
이러한 말투의 습관을 고치기 위해 본인은 가장 먼저 말하기 전 3초간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말하기 전 해당 말투와 발언이 대상에게 모욕감을 느끼거나 불편함을 표하지는 않을지를 생각하고 이를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혹은 항상 스마트폰의 메모장이나 내가 활동하는 장소에 말투를 고치기 위해 이를 인지하기 위한 포스트잇을 준비하는 등의 행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말투를 고쳤을 때 본인은 남들에게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보이지 않으면서 대화나 말투에서 사람들을 대하는 과정이 더욱 쉬워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표정이나 말투, 대화에서 보여주는 특징을 작은 것에서부터 조금씩 개선하는 것이 결국 감정적인 변화와 전체적인 본인의 이미지를 변경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것으로 보았다. 작은것에서부터 습관을 변화하였을 때 이후 큰 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활동할 필요가 있음을 생각할 수 있었다.
참고자료
포그(2020.12). 습관의 디테일. 흐름출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