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1. 서론
2. 본론
(1) 이주민에 대한 인식
(2) 통합 교육 프로그램
(3) 사회통합 방안
3. 결론
2. 강의를 수강하면서 인상적인 내용 또는 관심 분야 세 가지를 선택하여 그 이유와 함께 제시하시오.
1. 다문화 편견
2. 다문화 인권
3. 북한이탈주민
*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이주민에 대한 인식
(2) 통합 교육 프로그램
(3) 사회통합 방안
3. 결론
2. 강의를 수강하면서 인상적인 내용 또는 관심 분야 세 가지를 선택하여 그 이유와 함께 제시하시오.
1. 다문화 편견
2. 다문화 인권
3. 북한이탈주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으며, \'피의 순수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서 핏줄, 우리, 민족에 집착하고 강조하는 대한민국의 특성은 어쩔 수 없는 차별, 편견, 배타성을 형성할 수 밖에 없던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통해서도 사실 여전히 국민의 인식이 발전하고 인성이 발전을 했어도 아직 이주민들에 대한 혐오의 정서는 물론, 눈에 띄지 않는 차별과 배타적인 태도가 아직도 만연하게 퍼져있는 것이다. 이는 오프라인과 같은 대면에서는 눈에 띄지 않게 조금씩 티를 내지만, 사실 온라인으로 가면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좀 더 공격적인 성향의 혐오성들이 들어나고 있다. 이 모든건 사실 민족에 의해서 나온 우월주의, 그리고 차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성인에게도 아주 위험한 개념인데, 이제 막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더욱 위험한 개념이다. 이대로 받아들이고 이를 한 문화로 인식하면서 차별, 혐오, 편견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모두 계승된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애초에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꿔줄 수 있는, 그리고 인터넷에 만연한 거짓 정보가 아닌 진실을 알려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2. 다문화 인권
인권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이 기본적으론 누리고 또 가지고 있어야 할 권리로 이것은 누군가는 가지고 있고, 또한 누군가는 없는 차별적인 개념이 아닌 보편적인 개념이다. 이렇듯 당연하게도 대한민국에 이주해온 이주민 역시도 당연히 가져야 할 개념이 바로 인권인 것이다.
인권은 뒤로 해도, 당연하게도 인권을 보장해주는 법적인 근거 역시도 이들 역시 재한 외국인으로서 가지고 있다. 이들이 사회 적응을 하고 차별받지 않기 위해 법적으로 보장받아야 하는 것은 아주 많고, 이들 역시도 대한민국 국민들과도 동일하게 행복해야 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당연하게 생각해주어야한다. 이들도 역시 기본권을 누리는 엄연한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국민이다. 이들에게는 평등권도 보장되기 때문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이미지들은 역시 잘못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평등으로 가득하고 차별로 가득한 그들의 삶에 대해서 개선은 당연히 필요하다.
3.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은 사실 우리에게는 탈북민, 탈북자라는 용어가 더 친숙하다. 사실상 아직은 전쟁 중인 휴전 국가인 대한민국은, 이념이 다르고 통제 체제가 다른 북한과 남한에서 자유로이 국민들이 왔다갔다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탈북민, 탈북자라는 용어가 당연하게도 맞는 말인줄 알았는데, 이 역시도 북한을 폄하하고 깎아내리며 남한을 더 치켜세우는 개념이기 때문에
잘못된 용어라고 한다. 처음으로 간첩 이외의 일반인이 북한을 넘어서 남한으로 온 것을 보고 월남인이라고 표현했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이제는 중국과 같은 다른 나라를 끼고 브로커와 접선, 돈을 지급하고 월북하는 기획 탈출이 나오면서 그때부터 탈북자, 탈북민을 쓰다가 당시에는 남한에 새로운 터를 잡기 위해 온다고 해서 새터민이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다.
90년대 중반부터 꾸준하게 증가해온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대에 이르러 급증하다가 2012년 김정은 체제로 변화하면서 통제가 강화되고 검열이 강화되자 그 수가 급격하게 줄었다가도 최근에는 3만명이 기록되고 있다. 최근에는 남성보다도 여성 북한 이탈 주민이 늘었는데, 이는 여성이 보다 더 사회생활의 기회가 많고 선택할 수 있는 일이 많은 대한민국의 스타일을 보고 더 많아지지 않았을까 생각해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민태은, 통일연구원, 북한이탈주민의 교육,복지,그리고 시민권에 대한 의식, 2017
- 김만호, 마음서재, 다문화가정의 교육전략은 따로 있다, 2020
- 손소연, 테크빌교육, 살아있는 다문화교육이야기, 2013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을 통해서도 사실 여전히 국민의 인식이 발전하고 인성이 발전을 했어도 아직 이주민들에 대한 혐오의 정서는 물론, 눈에 띄지 않는 차별과 배타적인 태도가 아직도 만연하게 퍼져있는 것이다. 이는 오프라인과 같은 대면에서는 눈에 띄지 않게 조금씩 티를 내지만, 사실 온라인으로 가면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좀 더 공격적인 성향의 혐오성들이 들어나고 있다. 이 모든건 사실 민족에 의해서 나온 우월주의, 그리고 차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성인에게도 아주 위험한 개념인데, 이제 막 자라나는 아이들에게는 더욱 위험한 개념이다. 이대로 받아들이고 이를 한 문화로 인식하면서 차별, 혐오, 편견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모두 계승된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애초에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꿔줄 수 있는, 그리고 인터넷에 만연한 거짓 정보가 아닌 진실을 알려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2. 다문화 인권
인권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이 기본적으론 누리고 또 가지고 있어야 할 권리로 이것은 누군가는 가지고 있고, 또한 누군가는 없는 차별적인 개념이 아닌 보편적인 개념이다. 이렇듯 당연하게도 대한민국에 이주해온 이주민 역시도 당연히 가져야 할 개념이 바로 인권인 것이다.
인권은 뒤로 해도, 당연하게도 인권을 보장해주는 법적인 근거 역시도 이들 역시 재한 외국인으로서 가지고 있다. 이들이 사회 적응을 하고 차별받지 않기 위해 법적으로 보장받아야 하는 것은 아주 많고, 이들 역시도 대한민국 국민들과도 동일하게 행복해야 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당연하게 생각해주어야한다. 이들도 역시 기본권을 누리는 엄연한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국민이다. 이들에게는 평등권도 보장되기 때문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이미지들은 역시 잘못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평등으로 가득하고 차별로 가득한 그들의 삶에 대해서 개선은 당연히 필요하다.
3.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은 사실 우리에게는 탈북민, 탈북자라는 용어가 더 친숙하다. 사실상 아직은 전쟁 중인 휴전 국가인 대한민국은, 이념이 다르고 통제 체제가 다른 북한과 남한에서 자유로이 국민들이 왔다갔다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탈북민, 탈북자라는 용어가 당연하게도 맞는 말인줄 알았는데, 이 역시도 북한을 폄하하고 깎아내리며 남한을 더 치켜세우는 개념이기 때문에
잘못된 용어라고 한다. 처음으로 간첩 이외의 일반인이 북한을 넘어서 남한으로 온 것을 보고 월남인이라고 표현했으나,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이제는 중국과 같은 다른 나라를 끼고 브로커와 접선, 돈을 지급하고 월북하는 기획 탈출이 나오면서 그때부터 탈북자, 탈북민을 쓰다가 당시에는 남한에 새로운 터를 잡기 위해 온다고 해서 새터민이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다.
90년대 중반부터 꾸준하게 증가해온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대에 이르러 급증하다가 2012년 김정은 체제로 변화하면서 통제가 강화되고 검열이 강화되자 그 수가 급격하게 줄었다가도 최근에는 3만명이 기록되고 있다. 최근에는 남성보다도 여성 북한 이탈 주민이 늘었는데, 이는 여성이 보다 더 사회생활의 기회가 많고 선택할 수 있는 일이 많은 대한민국의 스타일을 보고 더 많아지지 않았을까 생각해볼 수 있다.
* 참고문헌
- 민태은, 통일연구원, 북한이탈주민의 교육,복지,그리고 시민권에 대한 의식, 2017
- 김만호, 마음서재, 다문화가정의 교육전략은 따로 있다, 2020
- 손소연, 테크빌교육, 살아있는 다문화교육이야기, 2013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4] 1. 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 2021 기말 1. 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
[2021 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기말시험] 1.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
[방송통신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사회복지와문화다양성(공통)문화다양성 시대에 ...
사회복지와문화 다양성 ) 문화 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
문화다양성 ) 1 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방...
사회복지다양성 ) 1 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사회복지 ) 1 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방안...
사회복지와문화 ) 문화다양성 시대에 다문화사회 정착을 위한 이주민과 선주민 간 사회통합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