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과제 1. 집단상담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서론
2. 본론
1) 집단상담의 장점
2) 집단상담의 단점
3. 결론
과제 2. 집단상담의 각 단계(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에 대한 특성을 기술하시오. 또한 당신이 상담자라면 집단상담의 필수적인 요소인 응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시오.
1. 서론
2. 본론
1) 집단상담의 단계별 특성
(1) 초기(Initial) 단계
(2) 과도기(Transition) 단계
(3) 작업(Working) 단계
(4) 종결(Ending) 단계
2) 응집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집단상담의 장점
2) 집단상담의 단점
3. 결론
과제 2. 집단상담의 각 단계(초기, 과도기, 작업, 종결)에 대한 특성을 기술하시오. 또한 당신이 상담자라면 집단상담의 필수적인 요소인 응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 자신의 생각을 기술하시오.
1. 서론
2. 본론
1) 집단상담의 단계별 특성
(1) 초기(Initial) 단계
(2) 과도기(Transition) 단계
(3) 작업(Working) 단계
(4) 종결(Ending) 단계
2) 응집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요한 요소이다. 내담자의 집단이 이루는 ‘응집력’이란 ‘집단을 이루는 구성원이 하나가 되는 느낌 또는 공동체를 형성하고 소속감을 이루고 있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8) 응집력은 일반적으로 집단상담의 초기 단계에 형성되므로 이 단계에서 집단상담을 이끄는 상담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우선 초기 단계에서 집단의 응집력을 높이기 위해서 초기의 탐색 과정에서 발행할 수 있는 크고 작은 갈등을 잘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만약 작성자인 본인이 상담사라면, 우선 초기 단계에 집단 응집력의 중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만약 초기 단계에서 갈등이 발생한다면 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할 것이다. 동시에 적절한 집단 내의 규범을 제시함으로써 추후 발생할 갈등상황에서의 해결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다. 더불어 집단이 공통된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각 내담자의 경험을 솔직하게 드러내며 아픔을 공유하고 해결방안을 다방면으로 제시하는 과정에서 응집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작성자인 본인이 상담자라면 우선 초기 단계에서 목표 설정을 명확히 할 수 있도록 내담자 집단의 리더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것이다. 이후 내담자가 본인의 경험을 제시하고 서로 간의 이야기를 터놓을 때 이러한 상황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내담자가 있다면 중간에서 이들이 잘 적응하지 못하는 원인을 전문가의 관점으로 분석하고, 내담자 개인 또는 집단 전체에게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집단 전체가 원활하게 상담에 참여하여 응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3. 결론
집단을 형성하고 처음 서로를 탐색하며 이 집단에서 본인이 앞으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을지 불안감에 휩싸이는 초기 단계부터 목표 완성도를 검토하고 상담 이후 나아갈 방향성을 점검하는 종료 단계에 이르기까지, 집단상담은 단계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다. 각 단계에서는 집단상담을 이끄는 리더인 상담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상담에 참여하는 내담자의 역할 역시 매우 중요하다. 상담자와 내담자 집단이 적절하게 서로의 역할을 하면서 공감대를 잘 형성하여 원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서 높은 응집력을 형성할 때 비로소 집단상담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1) ‘집단’, 「행정학사전」, 이종수 저, 대영문화사, 2009.
2) ‘개인상담’,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 하우동설, 1995.
3) ‘집단상담’, 「상담학 사전」, 김춘경 외 4인 저, 학지사, 2016.
4) 「집단상담의 실제」, 강진령 저, 학지사, 2005.
5) ‘집단상담’,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배포, 2014.
6)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Gerald Corey 저, 천성문 역, 학지사, 2017.
7)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Marianne Schneider Corey and Gerald Corey 저, 김진숙 외 2인 역, Cengage Learning, 2016.
8)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천성문 저, 학지사, 2017.
3. 결론
집단을 형성하고 처음 서로를 탐색하며 이 집단에서 본인이 앞으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을지 불안감에 휩싸이는 초기 단계부터 목표 완성도를 검토하고 상담 이후 나아갈 방향성을 점검하는 종료 단계에 이르기까지, 집단상담은 단계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다. 각 단계에서는 집단상담을 이끄는 리더인 상담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상담에 참여하는 내담자의 역할 역시 매우 중요하다. 상담자와 내담자 집단이 적절하게 서로의 역할을 하면서 공감대를 잘 형성하여 원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면서 높은 응집력을 형성할 때 비로소 집단상담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1) ‘집단’, 「행정학사전」, 이종수 저, 대영문화사, 2009.
2) ‘개인상담’, 「교육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 하우동설, 1995.
3) ‘집단상담’, 「상담학 사전」, 김춘경 외 4인 저, 학지사, 2016.
4) 「집단상담의 실제」, 강진령 저, 학지사, 2005.
5) ‘집단상담’, 「심리학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배포, 2014.
6)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Gerald Corey 저, 천성문 역, 학지사, 2017.
7)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Marianne Schneider Corey and Gerald Corey 저, 김진숙 외 2인 역, Cengage Learning, 2016.
8) 「집단상담의 이론과 실제」, 천성문 저, 학지사, 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