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 사람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 ) 사람은 삶을 살아가면서 뜻하지 않게 폭풍을 만난 후 고통받기도 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정신질환 진단 체계
2-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②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특징
③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이론
④ 외상 후 성장이란?
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극복하기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련된 이야기를 자발적으로 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외상 사건은 환자에게 그 자체로 큰 스트레스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언급과 유도는 섬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의도적 반추를 돕는 기법은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글로 쓰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게 대화를 거는 형식이나, 꿈 일지를 작성하는 형식 혹은 비슷한 경험을 가진 친구에게 편지를 쓰는 형식 등을 빌어 외상 사건에 대해 스스로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두 번째는 인생 그래프 그리기이다. 출생부터 현재까지의 인생을 돌아보며 만족감과 행복감의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자신의 인생에서 긍정적이었던 기억을 보충할 수 있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외상 사건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세 번째 전략은 ‘충분한 애도’이다. 외상으로부터 얼마의 시간이 흘렀던 관계없이, 내담자에게 ‘그만 슬퍼하라’고 말하기보다는 ‘충분히 슬퍼하라’는 메시지를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좋다.
네 번째 전략은 ‘현재를 즐기기’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환자는 외상 사건으로부터 발생한 부정적 감정에 사로잡혀 있고, 많은 경우 죄책감을 느낀다. 따라서 환자에게 해당 사건에서 벗어나 현재를 즐기는 것이 죄가 아니라는 생각을 심어주는 것을 목표해야 한다.
다섯 번째 전략은, ‘적응적 애도’이다. 외상 때문에 상실한 대상을 떠올리되 슬픔에 압도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러한 작업을 하는 것이다. 적응적 애도를 돕는 기법으로는, 타인에게 상실한 대상을 소개하기, 상실한 대상에게 편지쓰기, 상실한 대상을 기억하는 사람들을 만나 대화를 나누고 정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상실한 대상에게 편지를 쓰는 기법은, 이별에 관한 편지가 아닌 재회를 위한 편지나 감사한 부분에 초점을 맞춰 내용을 작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외에 외상 전의 적응 수준과 현재 적응 수준을 비교하며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방지하는 전략, 외상 사건과 관련된 전문가 만나기가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과 과정, 증상, 그리고 치료 기법을 종합해 보면, 결국 이 상처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자기 자신’뿐인 것으로 보인다. 불행한 기억을 멀리 없애버리거나 다른 기억으로 대체하는 것이 아닌, 그 기억을 겹겹이 둘러싸고 있는 감정과 왜곡을 모두 거두어 내고 정면으로 마주하였을 때 비로소 극복하는 힘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은 옆에서 누군가 도와줄 수는 있어도, 대신해 줄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생각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극복 방안의 핵심은 ‘사회적 관계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이다. 마치 눈을 가리고 계단을 오르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보면 된다. 방향을 정하고 걸음을 뻗는 것은 나 자신이지만, 옆에서 누군가 올바른 방향을 알려주고 북돋아 주었을 때 비로소 안전하게 계단에 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울감을 혼자 안고 있을 것이 아니라, 힘들더라도 사회에 나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 있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3. 결론
지금까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병리적 분류와 특성, 극복의 방안과 의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시적인 질병이 아닌 개인의 인생에 매우 큰 상처를 주면서도 성장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우리는 언제나 뜻하지 않은 사건과 사고를 겪으며 살아간다. 그 때문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누구나 현명하게 이겨내고 발전할 수 있도록 관련 치료법에 대한 지식과 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졌으면 좋겠다.
4. 참고문헌
상담학 사전 세트, 김춘경, 학지사, 2016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9820790
  • 가격3,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8.25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13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