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다산 정약용의 생애
2.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의 특징
1) 오학론 - 조선 시대 학문 비판
2) 인간의 본성과 도덕
3) 교육과 도덕의 이념과 실천적 성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다산 정약용의 생애
2.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의 특징
1) 오학론 - 조선 시대 학문 비판
2) 인간의 본성과 도덕
3) 교육과 도덕의 이념과 실천적 성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덕을 말하는 것이다.
Ⅲ. 결론
이렇게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그의 교육사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정약용은 그가 활동했던 조선 시대에 유행했던 학문을 비판하고 그들의 학문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학문 본래의 정신을 회복하고 따르기 위해 자신만의 신념을 세워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그렇게 제시한 교육사상에서 특히 도덕의 실천과 행동을 강조했는데, 기존의 성리학이 인간 내면에만 집중한 방식에서 벗어나 실제로 사람과 사람이 살아가며 맺는 관계, 현실,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덕을 실천하고 그러한 실천의 결과를 책임지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정약용이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보면 인간은 자신의 기호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선택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다. 또, 현실과 관계없이, 과거 합격과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학문을 활용하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오늘날의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도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공교육의 시간이 긴 편이고, 다루는 내용 역시 방대하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 내용이 정말로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일까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공부는 개인의 덕을 쌓고 인문적인 교양을 쌓기 위함이 아닌 더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더 좋은 회사에 취업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정약용의 교육 사상을 접목한다면 학문을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태도는 비판받아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학문과 공부를 어떻게 바라보고 접근해야 할까. 답은 간단하다. 다산 정약용이 그랬듯 수단으로써 변질된 학문을 본래의 목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하면 된다. 즉, 학문이 가지는 근본에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산 정약용이 끊임없이 강조했듯 우리는 학문이 주는 다양한 교양과 정보를 자연스럽게 내면에 쌓고 이러한 내용을 인간관계에서, 일상에서 실천하고 행동해야 한다. 각자의 인과 덕을 쌓기 위해 공부하고 배우는 것이다.
학문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로 잡는다면 다가오는 세계화 시대에도 우리가 살아가야 할 올바른 삶의 방향이 정해질 것이다. 이제는 단순히 지식이 많다고 해서 성공하는 시대가 아니다.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신념을 세워 새로운 길을 창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에 가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 아닌, 나의 길을 창조하기 위한 근본을 닦는 목적으로 공부해야 할 것이다. 학문의 근본에 접근해 내 속의 자양분을 쌓아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고대혁, 「敎育思想硏究」, 『인간의 도덕 주체성과 교육 실천 윤리적 성격』, Vol.29 No.1 [2015], 2015, https://url.kr/c4xa6u
2. 다산, 다산의 생애, 다산 정약용, 다산 연구소,
http://www.edasan.org/sub02/sub01.html
3. [나의 히어로] 조선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 오세연, 매일경제, 2016-10-20,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6/10/732121/
Ⅲ. 결론
이렇게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그의 교육사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정약용은 그가 활동했던 조선 시대에 유행했던 학문을 비판하고 그들의 학문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학문 본래의 정신을 회복하고 따르기 위해 자신만의 신념을 세워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그렇게 제시한 교육사상에서 특히 도덕의 실천과 행동을 강조했는데, 기존의 성리학이 인간 내면에만 집중한 방식에서 벗어나 실제로 사람과 사람이 살아가며 맺는 관계, 현실,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덕을 실천하고 그러한 실천의 결과를 책임지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정약용이 인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보면 인간은 자신의 기호를 바탕으로 주체적으로 선택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다. 또, 현실과 관계없이, 과거 합격과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학문을 활용하는 것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교육사상은 오늘날의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도 필수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공교육의 시간이 긴 편이고, 다루는 내용 역시 방대하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 내용이 정말로 삶을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일까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공부는 개인의 덕을 쌓고 인문적인 교양을 쌓기 위함이 아닌 더 좋은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더 좋은 회사에 취업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정약용의 교육 사상을 접목한다면 학문을 수단으로만 활용하는 태도는 비판받아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학문과 공부를 어떻게 바라보고 접근해야 할까. 답은 간단하다. 다산 정약용이 그랬듯 수단으로써 변질된 학문을 본래의 목적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노력하면 된다. 즉, 학문이 가지는 근본에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산 정약용이 끊임없이 강조했듯 우리는 학문이 주는 다양한 교양과 정보를 자연스럽게 내면에 쌓고 이러한 내용을 인간관계에서, 일상에서 실천하고 행동해야 한다. 각자의 인과 덕을 쌓기 위해 공부하고 배우는 것이다.
학문을 바라보는 관점을 바로 잡는다면 다가오는 세계화 시대에도 우리가 살아가야 할 올바른 삶의 방향이 정해질 것이다. 이제는 단순히 지식이 많다고 해서 성공하는 시대가 아니다.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신념을 세워 새로운 길을 창조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에 가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 아닌, 나의 길을 창조하기 위한 근본을 닦는 목적으로 공부해야 할 것이다. 학문의 근본에 접근해 내 속의 자양분을 쌓아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고대혁, 「敎育思想硏究」, 『인간의 도덕 주체성과 교육 실천 윤리적 성격』, Vol.29 No.1 [2015], 2015, https://url.kr/c4xa6u
2. 다산, 다산의 생애, 다산 정약용, 다산 연구소,
http://www.edasan.org/sub02/sub01.html
3. [나의 히어로] 조선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 오세연, 매일경제, 2016-10-20,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6/10/732121/
추천자료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2019 교육사][출처표기]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
[교육사 4학년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
[교육사 4학년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