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2.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1.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1) 다중 지능이론의 개요
2)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
참고자료
2.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
1) 동기위계설의 개요
2)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
참고자료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2.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15점 만점)
1.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
1) 다중 지능이론의 개요
2)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
참고자료
2.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
1) 동기위계설의 개요
2)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실현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는 가장 높은 단계의 욕구로 자신의 존재 가치, 성장과 발전, 자신의 미래상을 추구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실천하는 욕구 단계이다. 자아실현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발전 방향과 실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자아실현의 욕구는 가장 높은 단계이면서 또 하위 욕구들을 모두 충족하였을 때 비로소 추구, 발전할 수 있기에 가장 어려운 욕구 실현 목표이며, 이에 자아실현 욕구를 성공적으로 추구해내는 사람은 적으며, 실현 과정이 오래 걸린다는 특징이 있다.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가 곧 동기부여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보았으며, 만족하고 충족된 욕구는 욕구가 다시 불만족, 불 충족 될 때까지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해당 욕구들을 충족하기 위한 움직임과 행동이 동기부여의 목적이 되며, 욕구를 충족하고 나서 새로운 동기부여를 원한다면 또 다른 욕구 목표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또한, 5단계의 욕구는 하위의 욕구 단계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상위 욕구의 행동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다면 안전의 욕구를 위한 행동, 동기부여가 이뤄지지 못한다는 것이다.
2)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은 인간의 동기가 욕구와 밀접해 있으며 해당 욕구를 충족한 후 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동기위계설을 교육의 관점으로 시사할 때 중요한 것은 5단계의 욕구 단계 중 자아존중감과 하위 3가지의 욕구는 결핍 욕구에 포함되며, 자아실현의 욕구는 성장 욕구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결핍 욕구는 특정한 요인이 부족한 상황에서 필요로 하면서 생겨나는 외적인 욕구를 의미하며, 성장 욕구는 사람의 내면에서 자신이 원하고 바라는 내적인 욕구를 의미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결핍 욕구에는 생리적, 안전, 소속감과 애정, 자존감의 욕구가 존재한다. 이들은 모두 사람이 근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들이자 부족할 때 문제나 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욕구이다. 가령 생리적, 안전적 욕구가 필요한 사람은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과 생활하는데 필요한 음식, 물 등이 부족한 사람을 의미하며 자존감의 욕구가 필요한 사람은 남들에게 인정받고 지위를 얻지 못해 풀이 죽어있거나 내적인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다. 이런 하위 결핍 욕구들이 모두 만족하였을 때 사람은 자신을 발전시키고 내면의 목표를 활성화하여 자신의 발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성장, 자아 형성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이를 교육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교육의 목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교육 대상이 하위 결핍 욕구를 충분히 충족 받은 상황에서 성장 욕구를 바라는가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교육 대상, 목표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고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육을 진행하며 어떤 학생이 밥을 제대로 챙겨 먹지 않고, 혹은 챙겨 먹지 못한 상황에 처해있으며, 배고픈 상황에서 학교에 다닌다고 보자. 이 경우에 해당 학생은 결핍 욕구 중 생리적 욕구를 원하며 상위 욕구에 대한 목표를 가지지 못한다. 이 상황에서 교육을 진행해보았자 해당 학생은 성장 욕구에 해당하는 자기발전을 이루기 위한 행동을 할 수 없다. 이외에도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반의 환경이 위험한 상태거나, 친구들 간의 관계가 서먹한 학기 초의 소속 상태 등의 상황이 이뤄지고 있다면 이 역시 원할한 교육이 이뤄질 상황이 아닌 것이다.
이에 교육을 진행하는 교사는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이런 결핍 욕구를 충분히 충족하는 상황인지 이해하고,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도움을 제공하거나 다른 제안을 통해 결핍 욕구를 충족한 상태에서 교육을 진행, 자기발전과 능력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교사가 결핍 학생이나 집안 사정이 가난한 학생, 혹은 자존감이 부족하고, 또래들과 소속되지 못하는 학생들을 돌보고 이들에게 도움을 줘야 하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결핍 욕구를 충족하지 못한 대상에게 해당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하며, 이때 비로소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학생도 교육을 받는 환경에서 자기발전이 가능해진다.
참고자료
정천석(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경대학교 공개강의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871eb7037d9edd4
권중동,김동배(2005).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자아실현의 욕구는 가장 높은 단계의 욕구로 자신의 존재 가치, 성장과 발전, 자신의 미래상을 추구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실천하는 욕구 단계이다. 자아실현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탐색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발전 방향과 실현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자아실현의 욕구는 가장 높은 단계이면서 또 하위 욕구들을 모두 충족하였을 때 비로소 추구, 발전할 수 있기에 가장 어려운 욕구 실현 목표이며, 이에 자아실현 욕구를 성공적으로 추구해내는 사람은 적으며, 실현 과정이 오래 걸린다는 특징이 있다.
매슬로우는 인간의 욕구가 곧 동기부여를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보았으며, 만족하고 충족된 욕구는 욕구가 다시 불만족, 불 충족 될 때까지 동기부여의 요인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해당 욕구들을 충족하기 위한 움직임과 행동이 동기부여의 목적이 되며, 욕구를 충족하고 나서 새로운 동기부여를 원한다면 또 다른 욕구 목표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또한, 5단계의 욕구는 하위의 욕구 단계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상위 욕구의 행동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예를 들어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다면 안전의 욕구를 위한 행동, 동기부여가 이뤄지지 못한다는 것이다.
2) 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시사점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은 인간의 동기가 욕구와 밀접해 있으며 해당 욕구를 충족한 후 교육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동기위계설을 교육의 관점으로 시사할 때 중요한 것은 5단계의 욕구 단계 중 자아존중감과 하위 3가지의 욕구는 결핍 욕구에 포함되며, 자아실현의 욕구는 성장 욕구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결핍 욕구는 특정한 요인이 부족한 상황에서 필요로 하면서 생겨나는 외적인 욕구를 의미하며, 성장 욕구는 사람의 내면에서 자신이 원하고 바라는 내적인 욕구를 의미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결핍 욕구에는 생리적, 안전, 소속감과 애정, 자존감의 욕구가 존재한다. 이들은 모두 사람이 근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것들이자 부족할 때 문제나 다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욕구이다. 가령 생리적, 안전적 욕구가 필요한 사람은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과 생활하는데 필요한 음식, 물 등이 부족한 사람을 의미하며 자존감의 욕구가 필요한 사람은 남들에게 인정받고 지위를 얻지 못해 풀이 죽어있거나 내적인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다. 이런 하위 결핍 욕구들이 모두 만족하였을 때 사람은 자신을 발전시키고 내면의 목표를 활성화하여 자신의 발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성장, 자아 형성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이를 교육적인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교육의 목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교육 대상이 하위 결핍 욕구를 충분히 충족 받은 상황에서 성장 욕구를 바라는가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교육 대상, 목표에 대한 상황을 이해하고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육을 진행하며 어떤 학생이 밥을 제대로 챙겨 먹지 않고, 혹은 챙겨 먹지 못한 상황에 처해있으며, 배고픈 상황에서 학교에 다닌다고 보자. 이 경우에 해당 학생은 결핍 욕구 중 생리적 욕구를 원하며 상위 욕구에 대한 목표를 가지지 못한다. 이 상황에서 교육을 진행해보았자 해당 학생은 성장 욕구에 해당하는 자기발전을 이루기 위한 행동을 할 수 없다. 이외에도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반의 환경이 위험한 상태거나, 친구들 간의 관계가 서먹한 학기 초의 소속 상태 등의 상황이 이뤄지고 있다면 이 역시 원할한 교육이 이뤄질 상황이 아닌 것이다.
이에 교육을 진행하는 교사는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이런 결핍 욕구를 충분히 충족하는 상황인지 이해하고, 만약 그렇지 못하다면 도움을 제공하거나 다른 제안을 통해 결핍 욕구를 충족한 상태에서 교육을 진행, 자기발전과 능력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교사가 결핍 학생이나 집안 사정이 가난한 학생, 혹은 자존감이 부족하고, 또래들과 소속되지 못하는 학생들을 돌보고 이들에게 도움을 줘야 하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결핍 욕구를 충족하지 못한 대상에게 해당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하며, 이때 비로소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학생도 교육을 받는 환경에서 자기발전이 가능해진다.
참고자료
정천석(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한경대학교 공개강의
http://www.kocw.net/home/cview.do?cid=6871eb7037d9edd4
권중동,김동배(2005).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슨의 성격발달...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교육적시사점, 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심리학 2....
[2021 교육심리학4공통] 1.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2021 교육심리학] 1.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매슬...
(교육심리학, 공통)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 및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의 동기위계설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