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입니다)핵심기본간호술 핵심술기 19개 총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자료입니다)핵심기본간호술 핵심술기 19개 총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손위생
2. 구강간호
3. 기관절개관 관리
4. 멸균장갑(착용하기, 벗기)
5. 침상세발
6. 회음부 간호
7. 보행(보행기, 목발)
8. 멸균영역 유지하기
9. ROM 관절범위 운동
10. 전자체온계를 이용한 체온 측정
11. 혈압측정하기
12. 맥박 측정
13. 호흡 측정
14. 기관내 관리
15. 목욕
16. 발간호
17. 마스크
18. 체위
19. 가운입기

본문내용

테터와 함께 장갑에 있는 드레싱을 버린후 대상자에게 산소 공급하며 물품 준비한다.
4. 멸균 장갑을 착용한다
5. 산소 포화도가 92%미만이면 과산소화 시킨다. 기관 절개관 간호를 하는 동안 산소포화도가 저하되면, 산소기구를 기관절개관 위에 느슨하게 대준다
6. 튜브의 바깥 면을 잡고 잠금을 풀고 잘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내관을 제거한다.
7. 내관을 생리식염수에 담궈 분비물을 묽게 한다.
8. 외관 위의 기관 절개관 칼라, t튜브, 또는 호흡기 산소장치를 교체한다.
9. 산소 포화도 저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빨리 내관을 꺼내어 작은 솔로 내관 안, 밖의 분비물을 제거한다.
10. 잘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생리 식염수를 부어가며 내관을 헹군다.
11. 내관을 삽입하고, 자금장치로 잠근다.
12. 호흡기나 산소기구를 다시 부착한다.
일회용 내관이 있는 기관 절개관 간호
1. 내관을 꺼내어 새 캐뉼라로 교체한 후 잠근후 쓴 캐뉼라는 버린다.
2. 호흡기나 산소기구를 부착한다.
3. 기관 절개관 스토마는 생리 식염수를 적신 면봉으로 원형을 그리면서 5~10cm내지 주변까지 소독하고 외관 표면은 4*4거즈로 가볍게 두드리며 말린다
기관 절개관 고정 방법
1. 장갑 착용 후 기관 절개관을 잡고 있도록 하고 사용한 끈을 제거한다.
2. 기관 절개관 구멍에 한쪽 끝을 넣고 양 끝이 같아지게 당긴다.
3. 끈의 양쪽 끝을 머리 뒤로 목을 돌려서 다른 쪽 구멍 쪽으로 당겨 끈의 한 쪽 끝을 그 구멍에 넣는다.
4. 끈을 느슨하게 당긴다. 이중 옭매듭으로 끝을 묶고 1~2개의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여유를 둔다.
5. 새 끈과 기관 절개관 밑에 새 거즈를 대준다.
6. 보조자에게 기관 절개관을 안전하게 잡고 있도록 하거나 새 고정 장치를 할 때 까 사용하던 고정 장치는 그대로 둔다
기관절개관 고정장치 사용법
1. 대상자의 목 아래에 끈을 놓고 잘 맞는지 확인한다.
2. 기관절개관 구멍으로 끈의 좁은 끝을 넣고 양 끝이 같아지게 당겨 훅과 고리에 고정한다.
3. 손가락 1~2개가 들어갈 정도의 여유를 확인한다.
4. 편안한 자세로 호흡 상태를 사정한다.
5. 장갑을 벗고 손을 씻는다.
6. 생리식염수는 4시간 사용금지이므로 뚜껑을 교체한 후 기록을 한다.
목욕
1. 손을 씻고 장갑을 낀 후 대상자의 피부와 다른 요소들을 사정하고 배뇨할 기회를 준다.
2. 목욕가운을 덮어준 후 윗 이불과 같이 내려서 윗 이불을 제거해준다.
3. 수건은 벙어리장갑 모양으로 낀다.
4. 눈부터 안에서 밖으로 닦는다. 얼굴전체와 귀를 닦는다.
5. 환의를 벗긴다. 정맥주사가 있을 경우 없는 쪽부터 벗긴다. 팔 겨드랑이를 닦아주고 손은 아래 곡반을 냅두고 담가준 후 닦아준다. 반대편 손도 똑같이 한다.
6. 목욕 가운을 내려 가슴 배를 닦아 준다. 필요시 보습제를 발라준다
7. 다리를 아래서 위로 닦아준다. 필요시 물을 갈아 준다
8. 대상자의 체위를 엎드리거나 측위를 취하게 하여 등과 엉덩이를 닦아준다.
9. 회음부를 닦는데 가능하면 환자가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한다
10. 무의식 환자일 경우 새 수건을 사용하여 따뜻한 물로 안쪽 눈구석에서 바깥쪽 눈구석으로 닦는다. 만약 처방되었다면 안약이나 안 연고를 주입한다.
대상자가 깜박거리는 반사가 없다면 눈을 감은 채로 유지하고 안대를 덮어준다.
비교 분석
간호사의 먼 쪽부터 씻는데 모스비에서는 가까운 쪽을 먼저 씻고 반대편으로 가서 씻었다
환의를 입혀주는 것은 나오지 않았고 만약 입혀준다면 정맥주사가 놓여진 곳부터 입혔다
회음부 간호할 때 하나의 수건으로 끝내는 것은 위생에 좋지 않다
가슴을 씻겨 줄 때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스크린을 쳐준다.
발을 씻겨 줄 때 당뇨병이 있는 환자이면 담그면 안 된다.
발 간호
1. 장갑을 끼고 따뜻한 물을 담아서 발을 담근 후 한 쪽 발만 뺀 후 수건을 이용해 닦아준다. 2. 필요시 거칠고 굳은 부위는 문지른다.
3. 발톱 관리도 해준다. 이때 발톱을 일자로 다듬으며 발톱의 구석은 다듬지 않는다.
4. 닦아준 발은 말리고 반대편 발도 똑같이 해준다. 향기 없는 로션을 발라준다
*베인부분 닦고 완전히 건조한 후 의사에게 보고한다. 부드러운 항생제 적용
꼭끼는 양말류 피하도록 교육하기. 이물질등 거친 면에 매일 신발을 살펴볼 것을 교육.
마스크
1. 모자와 가운을 착용 후 마스크를 착용한다.
2. 코, 입, 턱이 모두 가려지도록 마스크를 쓰고 콧등을 눌러 가장자리의 띠를 구부린다.
3. 귀 위쪽으로 위쪽 끈을 먼저 묶고, 아래 끈은 목 쪽으로 편하게 묶는다.
4. 벗을 때는 아래쪽 끈을 먼저 풀고 나서 위쪽 끈을 푼다.
체위
- fowler\'s position
베개를 한 채로 침상 윗부분을 약 45도 각도로 높이고 팔과 손을 밑과 허리에 베개로 지지해줌. 무릎 밑과 발목 아래에는 작은 베게나 롤로 지지 족저 굴곡을 예방하기 위해 발바닥을 지지 하고 마지막으로 이불로 덮어준다.
- lateral position
대상자를 옆으로 돌리고 나서 베개로 머리를 지지, 등 아래에 얇은 이불을 사용하여 지지함. 어깨와 골반을 앞으로 내밀어 등 뒤의 베게에 기대도록 한다. 반 정도 굽힌 다리 사이에 베게로 지지함. 발바닥도 모래주머니를 이용하여 지지함.
- sim\'s position
머리, 굽힌 위팔, 굽힌 윗다리 아래에 베개를 한 개씩 두고 발바닥도 베개로 지지해주었다. 한방향의 발은 일자로 피고 팔을 뒤쪽으로 빼었으며, 다른 방향의 반 정도 굽힌 발과 팔은 머리 위쪽으로 ㄴ모양을 하였다.
- prone position
머리아래에 낮은 베개, 복부, 발가락을 들어올리기 위해 아랫다리 부분에 베개로 지지하여 발을 들어준다. 대상자가 편안한지, 피부 상태등을 사정하고 이불을 덮어준다.
가운입기
1. 가운을 편하게 잡고 입는다.
2. 목 끈과 허리끈을 묶는다.
3. 간호 후에 장갑을 제거 후 마스크 제거 후 오염된 바깥쪽에 손이 닿지 않게 하면서 목 끈과 허리끈을 제거한다.
4. 오염된 바깥쪽이 안쪽으로 가도록 말아서 일회용은 오염물수거함에 폐기하고, 일회용이 아니면 격리세탁물 수거함에 넣는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2.08.30
  • 저작시기2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0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