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수혈요법,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2.수술전/후 간호
3. 기관내 흡인, 산소포화도 측정 및 심전도 모니터 적용
1) 기관(trachea)의 구조, 기능, 기관절개술의 목적, 합병증, 간호
2) 흡인(suction)의 종류, 주의사항, 관련사항
3) 산소포화도(pulse oximeter)의 원리, 의의, 그림
4) 심전도 모니터(EKG monitor): 사진, 적용, wave명, 해석, 환자 적용원칙
2.수술전/후 간호
3. 기관내 흡인, 산소포화도 측정 및 심전도 모니터 적용
1) 기관(trachea)의 구조, 기능, 기관절개술의 목적, 합병증, 간호
2) 흡인(suction)의 종류, 주의사항, 관련사항
3) 산소포화도(pulse oximeter)의 원리, 의의, 그림
4) 심전도 모니터(EKG monitor): 사진, 적용, wave명, 해석, 환자 적용원칙
본문내용
)통하지 않고도 직접 기관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는 수술이다.
기관절개술의 목적
1. 기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2. 기침을 할 수 없는 대상자의 기관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3. 기관 내 삽관을 대신하여 실시한다.
4. 양압 인공호흡기 사용시 무의식 환자가 분비물에 질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5. 장기간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환자에서 경구 섭취나 의사소통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기관절개술의 합병증
1. 초기 합병증- 기관튜브(캐뉼라) 막힘: 시술 당일에 가장 흔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예방을 위해 시술 당일 이비인후과 의사가 기관튜브를 1회 교체한다. 숨쉬는 소리가 거칠어지거나 숨쉬기 힘들어 할 경우 바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기관튜브 빠짐: 기도가 좁은 아이의 경우 매우 위험할 수 있는데, 끈으로 확실히 묶어 놓아야 한다.- 시술과 관련된 드문 합병증: 기도 주변으로 공기가 새어 폐 주변에 쌓여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고 매우 위험할 때도 있다(기흉, 피하기종). 출혈이 지속되어 기도를 누르는 경우에도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다. 기도 주변의 신경 손상으로 성대마비(목소리 나빠짐)가 생길 수도 있다.2. 후기 합병증 (수 개월 이상 지난 후 생기는 합병증)- 기관튜브 주변의 군살이 자라거나 구멍이 좁아질 수 있다. 드물게 기관연골이 약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기관절개술의 간호
- 수술 후 chest X-ray 검사하여 기관으로 캐뉼라가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하고 ABGA로 혈중 산소농도를 확인하여 수술 후 캐뉼라를 통해 공기가 잘 들어가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 환자가 수술실에서 돌아오면 반좌위를 취해 주고 가습기를 틀어준다.
-> 호흡기 기도의 점막이 건조되거나 분비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 자주 기관지 분비물을 흡인해 준다. 의식이 있다면 반좌위 또는 좌위를 취하도록 하고 무의식 상태인 경우 얼굴을 마주보는 측위를 취한다. 적절한 압력( 성인: 110~150mmHg )으로 흡인을 최소 10초 이내로 한다. 분비물이 진한 점액성일 경우 생리식염수 3~5cc 주입하여 가습시킨다.
- 침상가에 여분의 기관지관, 소독된 겸자, 앰브백, 흡인기, 주사기, 가아제 등을 준비한다. 기관지관이 갑자기 빠지면 새 기관지관을 삽입할 때까지 질식을 방지하기 위해 소독된 겸자로 기관절개부를 벌린다.
- 기관지관 커프는 출혈 우려가 있는 처음 24시간 동안은 공기를 2~6cc 넣어 부풀렸다가 매 1~2시간마다 5~10분 동안 공기를 뺀다. 공기를 뺀후 커프 위에 고여 있는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흡인해 준다. -> 커프를 팽창시키는 것은 절개부위의 출혈시 혈액이 기관지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인공호흡기를 연결할 때 공기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커프를 수축시키는 것은 커프의 지속적인 팽창으로 인한 기관지 점막의 부종이나 궤양을 막기 위함이다.
- 기관절개 부위는 적어도 1일 1회 소독하고 Y가아제를 교환하며 기관지관의 고정끈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풀리지 않도록 묶는다.
- 환자와 가족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주며 기관지관의 입구를 손가락으로 막으면 말을 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수술 후에도 대개는 정상적인 식이와 대화가 가능하다.
- 한달에 한번 새 튜브로 교환한다.
흡인(suction)의 종류
- 구강인두/비강인두 흡인법 : 구강, 비강, 기도에서 분비물 제거.
- 구강 및 비강기관 흡인법 : 폐분비물이 있는 대상자가 기침 할 수 없고 인공기도를 삽입하지 않았을 때 필요하며, 비강인두 흡인보다 카테터 끝이 기관 안쪽으로 더 깊이 들어감.
- 기관절개 흡인 :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분비물 제거와 기도 개방성 유지.
흡인의 주의사항 및 관련사항
- 무균술 적용.
- 빈번한 흡인은 기도점막을 손상시키므로 분비물이 축적되었거나 비정상적 호흡음이 들릴때만 시행.
- 적절한 압력으로 흡인
벽장치
성인 : 110~150mmHg
소아 : 95~100mmHg
이동식 장치
성인 : 10~15mmHg
소아 : 8~10mmHg
- 적절한 카테터의 삽입 길이 : 10~12.5cm, 지름은 관의 1/2
- 카테터의 관 :
성인 : 10~14Fr
아동 : 8~10Fr
- 산소 공급을 저하시키므로 흡인 시간제한. ( 1회 10~15초 이내 )
- 카테터 삽입 동안에는 흡인하지 않음.( 기관지 점막손상 예방, 저산소증 예방 )
- 8시간 마다 suction catheter 및 용액 교체
산소포화도(pulse oximeter)의 원리와 의의
=SpO₂ 적혈구 중 헤모글로빈과 산소가 실제 결합하고 있는 비율.
- 정상범위 95~100%
저산소증 의심 <90%
- 혈액 내 산소포화도를 모니터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비침습적, 경피적 기계장치.
- 적외선을 방출하여, 헤모글로빈에 의해 흡수된 빛의 양을 반대편 감자기에서 감지함.
- 적용부위 : 귓불, 손가락, 발가락, 코
심전도 모니터(EKG monitor)
- EKG(ElectroCardiGram) : 심장의 전기적 흥분에 대한 시간적 변동을 파악해 그 활동 전류를 체표면으로부터 기록한 것으로 생체의 여러 가지 병적 변화를 반영하는 실시간 정보원이 된다.
EKG monitor의 대상자 적용 원칙
-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심전도 이상(주로 부정맥)을 실시간으로 장시간 연속 감시한다.
- CPR 후 shock 환자 등 중증환자, chest pain, dyspnea, consciousness disorder, dizziness 등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원칙적으로 심전도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부정맥 환자에게는 24시간
홀터 심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EKG monitor의 wave명과 해석
- P wave :: 심방의 탈분극과 수축을 반영 -> 심방 비대 시 이상.
- QRS complex :: 심실의 탈분극(심실 수축 시작)을 반영.
-> 심실 비대 시 이상.
- ST segment :: 심실의 재분극을 반영 .
-> ST segment가 정상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절박한 문제가 있음을 의미.
- T wave :: 심실 재분극의 끝을 의미.
- PR interval :: 방실 전도 장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해서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는 수술이다.
기관절개술의 목적
1. 기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2. 기침을 할 수 없는 대상자의 기관내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3. 기관 내 삽관을 대신하여 실시한다.
4. 양압 인공호흡기 사용시 무의식 환자가 분비물에 질식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5. 장기간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환자에서 경구 섭취나 의사소통을 허용하기 위함이다.
기관절개술의 합병증
1. 초기 합병증- 기관튜브(캐뉼라) 막힘: 시술 당일에 가장 흔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예방을 위해 시술 당일 이비인후과 의사가 기관튜브를 1회 교체한다. 숨쉬는 소리가 거칠어지거나 숨쉬기 힘들어 할 경우 바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기관튜브 빠짐: 기도가 좁은 아이의 경우 매우 위험할 수 있는데, 끈으로 확실히 묶어 놓아야 한다.- 시술과 관련된 드문 합병증: 기도 주변으로 공기가 새어 폐 주변에 쌓여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고 매우 위험할 때도 있다(기흉, 피하기종). 출혈이 지속되어 기도를 누르는 경우에도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다. 기도 주변의 신경 손상으로 성대마비(목소리 나빠짐)가 생길 수도 있다.2. 후기 합병증 (수 개월 이상 지난 후 생기는 합병증)- 기관튜브 주변의 군살이 자라거나 구멍이 좁아질 수 있다. 드물게 기관연골이 약해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기관절개술의 간호
- 수술 후 chest X-ray 검사하여 기관으로 캐뉼라가 제대로 들어갔는지 확인하고 ABGA로 혈중 산소농도를 확인하여 수술 후 캐뉼라를 통해 공기가 잘 들어가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 환자가 수술실에서 돌아오면 반좌위를 취해 주고 가습기를 틀어준다.
-> 호흡기 기도의 점막이 건조되거나 분비물의 점도가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 자주 기관지 분비물을 흡인해 준다. 의식이 있다면 반좌위 또는 좌위를 취하도록 하고 무의식 상태인 경우 얼굴을 마주보는 측위를 취한다. 적절한 압력( 성인: 110~150mmHg )으로 흡인을 최소 10초 이내로 한다. 분비물이 진한 점액성일 경우 생리식염수 3~5cc 주입하여 가습시킨다.
- 침상가에 여분의 기관지관, 소독된 겸자, 앰브백, 흡인기, 주사기, 가아제 등을 준비한다. 기관지관이 갑자기 빠지면 새 기관지관을 삽입할 때까지 질식을 방지하기 위해 소독된 겸자로 기관절개부를 벌린다.
- 기관지관 커프는 출혈 우려가 있는 처음 24시간 동안은 공기를 2~6cc 넣어 부풀렸다가 매 1~2시간마다 5~10분 동안 공기를 뺀다. 공기를 뺀후 커프 위에 고여 있는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해 흡인해 준다. -> 커프를 팽창시키는 것은 절개부위의 출혈시 혈액이 기관지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인공호흡기를 연결할 때 공기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커프를 수축시키는 것은 커프의 지속적인 팽창으로 인한 기관지 점막의 부종이나 궤양을 막기 위함이다.
- 기관절개 부위는 적어도 1일 1회 소독하고 Y가아제를 교환하며 기관지관의 고정끈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풀리지 않도록 묶는다.
- 환자와 가족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주며 기관지관의 입구를 손가락으로 막으면 말을 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수술 후에도 대개는 정상적인 식이와 대화가 가능하다.
- 한달에 한번 새 튜브로 교환한다.
흡인(suction)의 종류
- 구강인두/비강인두 흡인법 : 구강, 비강, 기도에서 분비물 제거.
- 구강 및 비강기관 흡인법 : 폐분비물이 있는 대상자가 기침 할 수 없고 인공기도를 삽입하지 않았을 때 필요하며, 비강인두 흡인보다 카테터 끝이 기관 안쪽으로 더 깊이 들어감.
- 기관절개 흡인 : 기관절개관을 삽입한 대상자의 분비물 제거와 기도 개방성 유지.
흡인의 주의사항 및 관련사항
- 무균술 적용.
- 빈번한 흡인은 기도점막을 손상시키므로 분비물이 축적되었거나 비정상적 호흡음이 들릴때만 시행.
- 적절한 압력으로 흡인
벽장치
성인 : 110~150mmHg
소아 : 95~100mmHg
이동식 장치
성인 : 10~15mmHg
소아 : 8~10mmHg
- 적절한 카테터의 삽입 길이 : 10~12.5cm, 지름은 관의 1/2
- 카테터의 관 :
성인 : 10~14Fr
아동 : 8~10Fr
- 산소 공급을 저하시키므로 흡인 시간제한. ( 1회 10~15초 이내 )
- 카테터 삽입 동안에는 흡인하지 않음.( 기관지 점막손상 예방, 저산소증 예방 )
- 8시간 마다 suction catheter 및 용액 교체
산소포화도(pulse oximeter)의 원리와 의의
=SpO₂ 적혈구 중 헤모글로빈과 산소가 실제 결합하고 있는 비율.
- 정상범위 95~100%
저산소증 의심 <90%
- 혈액 내 산소포화도를 모니터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비침습적, 경피적 기계장치.
- 적외선을 방출하여, 헤모글로빈에 의해 흡수된 빛의 양을 반대편 감자기에서 감지함.
- 적용부위 : 귓불, 손가락, 발가락, 코
심전도 모니터(EKG monitor)
- EKG(ElectroCardiGram) : 심장의 전기적 흥분에 대한 시간적 변동을 파악해 그 활동 전류를 체표면으로부터 기록한 것으로 생체의 여러 가지 병적 변화를 반영하는 실시간 정보원이 된다.
EKG monitor의 대상자 적용 원칙
- 중증환자를 대상으로 심전도 이상(주로 부정맥)을 실시간으로 장시간 연속 감시한다.
- CPR 후 shock 환자 등 중증환자, chest pain, dyspnea, consciousness disorder, dizziness 등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원칙적으로 심전도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부정맥 환자에게는 24시간
홀터 심전도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EKG monitor의 wave명과 해석
- P wave :: 심방의 탈분극과 수축을 반영 -> 심방 비대 시 이상.
- QRS complex :: 심실의 탈분극(심실 수축 시작)을 반영.
-> 심실 비대 시 이상.
- ST segment :: 심실의 재분극을 반영 .
-> ST segment가 정상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절박한 문제가 있음을 의미.
- T wave :: 심실 재분극의 끝을 의미.
- PR interval :: 방실 전도 장애.
추천자료
카네기 인간관계론을 읽고 핵심만 뽑아 발표용으로 만듦 - 상대방을 설득하는 12가지 방법, ...
응용 역학 기본 핵심 이론 정리 2장 단면의 성질 (기본 문제 포함)
응용 역학 기본 핵심 이론 정리 10장 부정정 구조물 (기본 문제 풀이 포함)
[간호학]기본간호 요약
[간호학]아동을 위한 기본간호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기본이해,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의의,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핵...
2011년 2학기 기본권의기초이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기본권의기초이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가상사설망][VPN][사설망]가상사설망(VPN)의 정의, 가상사설망(VPN)의 기본요건, 주요기능, ...
2013년 2학기 기본권의기초이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품질경영] TQM 사례발표 - TQM의 정의, 발전과정, 핵심요소, 실행과 성공조건, 이점, 사례분...
[심리치료와 상담] 심리치료와 상담의 기본요소,내담자, 심리치료자(심리치료자의 동기와 자...
2016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법학과 통치의기본구조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