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치료 및 검사와 관련된 일반적 개념
2.일반 위생과 간호
3.안전
4. 요 검사물
5. 투약
6.영양공급과 관련된 처치
7.배설과 관련된 처치
2.일반 위생과 간호
3.안전
4. 요 검사물
5. 투약
6.영양공급과 관련된 처치
7.배설과 관련된 처치
본문내용
위관이 들어간 후 공기를 주입한 주사기
위관을 윤활하게 할 수용성 윤활제
위관에 표시하거나 아동의 빰에 위관을 부착시키기 위한 종이 테이프나 비알러지성 테이프
위관이 위내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청진기
처방 우유
*과정
영아는 아무리 작아도 산발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튜브를 잡아 당길수 있으므로 미이라 억제를 하면 통제하기 쉽다. 미숙아는 억제하니 않아도 되지만 필요하다면 작은 수건을 가슴을 가로질러 접은 후 어깨밑에 고정하면 충분하다. 호흡곤란을 방지할는 간호가 필요하다.
포유시 신체적 접촉을 위해 가능하면 영아를 안고 수유하는 것이 좋으나 그것이 불가능하면 머리와 가슴을 약간 상승시킨 상태에서 앙와위나 우측위를 취한다.
6개월 이전의 영아는 대부분 코로 호흡하므로 입으로 삽입하면 고통이 적고 빠는 것을 자극할수 있다.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는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삽입길이를 정한다.
*위관영야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아동을 앙와위로 눕히고 머리를 약간 굴곡시킨다.
2 삽입할 길이를 측정하고 테이프로 표시해 둔다.
3 멸균된 물이나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위관을 입이나 코를 통하여 테이프로 표시된 지점까지 삽입한다.
4 위관의 위치를 확인한다.
소량의 공기를 (미숙아는 0.5cc 큰 아동은 5cc)위관 안으로 밀어 넣으면서 청진기를 복부
에 대고 공기가 들어가는 소리를 듣는다.
5 테이프를 이용하여 튜브를 뺨에 고정시킨다.
6 실내온도 정도로 데워진 처방 우유를 주입한다.
유입속도는 미숙아나 아주 어린 영아의 경우 5~10분에 5cc, 6개월 이후의 영아나 아동은 1분에 10cc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여 구토나 역류를 방지한 다.
7 주입후에는 멸균된 물을 통과시켜 위관의 처방우유를 깨끗이 씻어내며(작은 위관은 1~2cc, 큰 위관은 5cc정도), 유치 카테터는 마개를 씌워서 공기가 들어가거나 내용물이 빠쪄 나오지 않게 한다.
8 역류나 흡인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포유 후에는 아동을 적어도 1시간 정도 오른쪽으로 눕히거나 복위로 눕혀 둔다.
9 위 내 잔유물의 형태와 양 처방 우유의 형태와 양을 기록한다.
*위루 영양
장기간 튜브로 영양을 공금을 해야 하는 아동에게 이용된다.
장기간 위루 영양을 하는 아동을 위해 최근에 개발된 피부수준 위루 장치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작고 유연한 실리콘으로 된 장치는 복부에서 약간 돌출되어 외모도 손상되지 않고 편안하여 아동이 쉽게 움직일수 있으며 간호하기 쉽고 물에 담글수고 있다 근위부 끝에는 장금장치가 있어서 역류를 감소시키고 잠글 필요가 없다. 그러나 피부 수준위루장치는 설치주위를 잘선택해야 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 장금장치 막히기 쉬워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자주 트림을 시켜야 한다. 영양을 공급하는 동안 아동이 움직이면 위루장치에서 튜브가 쉽게 분리될수 있으므로 아동을 가만히 있게 한다.
7.배설과 관련된 처치
*관장
아동에게는 등장성용액을 사용하는데 주입량에 따라 고무튜브가 달린 주사기와 관장통과 관장백을 사용한다. 여아나 어린 아동은 용액이 주입된 후 그것을 잘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잠시 동안 엉덩이를 들어주어야 한다. 관장을 아동이 변기를 엉덩이 밑에 바치고 누워있는 동안에 시행하며 머리와 등은 베개로 지지한다.
*장루 설치술
영아의 경우에는 괴사성 결장염과 밀페항문이며 나이든 아도은 염증성 장질환 특히 크론병 원위부 요관이나 방광의 결손으로 인한 요도루 설치술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단순하고 직접적인 언어가 효과적이며 예를 들어주고 장루를 설치한 아동의 그림을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머니를 달지 않은 결장루설치술 영아의 피부간호는 기저귀를 찬 아기의 간호와 같다.
위관을 윤활하게 할 수용성 윤활제
위관에 표시하거나 아동의 빰에 위관을 부착시키기 위한 종이 테이프나 비알러지성 테이프
위관이 위내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청진기
처방 우유
*과정
영아는 아무리 작아도 산발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튜브를 잡아 당길수 있으므로 미이라 억제를 하면 통제하기 쉽다. 미숙아는 억제하니 않아도 되지만 필요하다면 작은 수건을 가슴을 가로질러 접은 후 어깨밑에 고정하면 충분하다. 호흡곤란을 방지할는 간호가 필요하다.
포유시 신체적 접촉을 위해 가능하면 영아를 안고 수유하는 것이 좋으나 그것이 불가능하면 머리와 가슴을 약간 상승시킨 상태에서 앙와위나 우측위를 취한다.
6개월 이전의 영아는 대부분 코로 호흡하므로 입으로 삽입하면 고통이 적고 빠는 것을 자극할수 있다.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는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삽입길이를 정한다.
*위관영야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아동을 앙와위로 눕히고 머리를 약간 굴곡시킨다.
2 삽입할 길이를 측정하고 테이프로 표시해 둔다.
3 멸균된 물이나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위관을 입이나 코를 통하여 테이프로 표시된 지점까지 삽입한다.
4 위관의 위치를 확인한다.
소량의 공기를 (미숙아는 0.5cc 큰 아동은 5cc)위관 안으로 밀어 넣으면서 청진기를 복부
에 대고 공기가 들어가는 소리를 듣는다.
5 테이프를 이용하여 튜브를 뺨에 고정시킨다.
6 실내온도 정도로 데워진 처방 우유를 주입한다.
유입속도는 미숙아나 아주 어린 영아의 경우 5~10분에 5cc, 6개월 이후의 영아나 아동은 1분에 10cc를 넘지 않도록 조절하여 구토나 역류를 방지한 다.
7 주입후에는 멸균된 물을 통과시켜 위관의 처방우유를 깨끗이 씻어내며(작은 위관은 1~2cc, 큰 위관은 5cc정도), 유치 카테터는 마개를 씌워서 공기가 들어가거나 내용물이 빠쪄 나오지 않게 한다.
8 역류나 흡인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포유 후에는 아동을 적어도 1시간 정도 오른쪽으로 눕히거나 복위로 눕혀 둔다.
9 위 내 잔유물의 형태와 양 처방 우유의 형태와 양을 기록한다.
*위루 영양
장기간 튜브로 영양을 공금을 해야 하는 아동에게 이용된다.
장기간 위루 영양을 하는 아동을 위해 최근에 개발된 피부수준 위루 장치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작고 유연한 실리콘으로 된 장치는 복부에서 약간 돌출되어 외모도 손상되지 않고 편안하여 아동이 쉽게 움직일수 있으며 간호하기 쉽고 물에 담글수고 있다 근위부 끝에는 장금장치가 있어서 역류를 감소시키고 잠글 필요가 없다. 그러나 피부 수준위루장치는 설치주위를 잘선택해야 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 또 장금장치 막히기 쉬워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자주 트림을 시켜야 한다. 영양을 공급하는 동안 아동이 움직이면 위루장치에서 튜브가 쉽게 분리될수 있으므로 아동을 가만히 있게 한다.
7.배설과 관련된 처치
*관장
아동에게는 등장성용액을 사용하는데 주입량에 따라 고무튜브가 달린 주사기와 관장통과 관장백을 사용한다. 여아나 어린 아동은 용액이 주입된 후 그것을 잘 보유할 수 없기 때문에 잠시 동안 엉덩이를 들어주어야 한다. 관장을 아동이 변기를 엉덩이 밑에 바치고 누워있는 동안에 시행하며 머리와 등은 베개로 지지한다.
*장루 설치술
영아의 경우에는 괴사성 결장염과 밀페항문이며 나이든 아도은 염증성 장질환 특히 크론병 원위부 요관이나 방광의 결손으로 인한 요도루 설치술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단순하고 직접적인 언어가 효과적이며 예를 들어주고 장루를 설치한 아동의 그림을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머니를 달지 않은 결장루설치술 영아의 피부간호는 기저귀를 찬 아기의 간호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