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기본간호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배뇨 돕기

▣ 배뇨 돕기

▣ 체위

▣ 억제대의 사용

▣ 감염관리와 무균술

▣ 소독과 멸균

▣ 무균술

본문내용


①외과적 무균술이 요구되는 사항;수술,분만, 도뇨관 삽입, 주사 준비, 멸균물품 다룰 때
②무균적 물품 다룰 때 주의 사항;
-사용 직전에 꺼내고 /한 번 꺼낸 것은 다시 넣지 않는다/거즈통은 거즈를 꺼낸 후 바로 닫는다/ 다룰 때 말하거나 웃지 않는다/소독 forcep을 사용하여 꺼낸다/소독물품을 미리 펴 놓아야 할 경우엔 멸균포로 덮어 놓는다/펴 놓은 물품위로 손을 가져 가지 않는다
③외과적 손씻기; 손이 팔꿈치보다 높이 올라가도록/ 솔을 이용하여 원형 동작으로 14분 정도 씻는다/ 씻고 난후에도 손을 허리위 눈 앞에 둔다
④.외과적 무균술의 원리와 실제
-모든 물품은 멸균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멸균된 거즈에 습기가 스며들었을 때는 오염된 것으로 본다
-시야에 보이지 않는 부분/허리 아래로 내려간 부분은 오염된 것으로 본다
-가운의 앞면 허리 아래나, 뒷면, 소독포의 바깥 외면은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개봉 흔적이 있거나 멸균 유효 기간이 지난 것은 오염된 것으로 본다
-멸균표시지의 색변화가 불분명한 경우 오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소독포를 폈을 때 가장자리의 늘어진 부분이나 가장자리 2.5CM은 오염된 것으로 본다
-멸균 용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냈으면 다시 집어 넣어서는 안된다
-공기중에 장시간 노출 된 것은 오염된 것으로 본다
-멸균 물품끼리,멸균하지 않은 물품끼리 접촉이 가능하다
-피부는 멸균할 수 없으므로 오염된 것으로 본다
-외과적 무균술을 유지하기 위해 성실하고 경계심이 있어야 하며 정직해야 한다
-수술실에서 소독가운을 입은 사람끼리 통과할 때는 서로 등을 향하게 대고 지나간다
-가운의 뒤 끈은 순회간호사가 묶어준다
⑤이동섭자(감자)사용시 주의사항
-오염 방지를 위해 하나씩만 꽂고/용기에서 섭자를 꺼낼 때는 용기 가장자리에 닿지 않게 수직으로 꺼낸다
-섭자의 끝은 항상 아래를 향하게 하며/허리 밑으로 내려 가지 않는다
-섭자 끼리 서로 닿지 않도록 소독 솜을 주고 받으며 매일 소독한다
⑥뚜껑 달린 소독용액 다룰 때 주의 사항
-필요할 때만 열고 빨리 닫으며/ 따를 때는 조금(1~2cc)따라 버리고 사용한다
-통에서 꺼낸 물건은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다시 넣지 않는다
-뚜껑을 열어 뚜껑 안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허리 높이 위에서 든다
-뚜껑을 바닥에 내려 놓을 필요가 있으면 뚜껑을 뒤집어 뚜껑 안쪽이 위를 향하게 내려 놓는다
-뚜껑의 테두리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고 주기적으로 소독하도록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2.23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45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