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력했던 행동들이 오히려 과도한 우월감으로 인해 나의 삶 자체를 더 피곤하게 만들기도 한다. 정신은 끊임없이 움직이는데 그 속에서 성장의 끝이 어디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대답을 하려면 열등감이 삶의 목표 추구를 위한 동력으로써의 역할을 어디까지 할 수 있으며, 언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냐는 것과 연관될 수 있으며, 우리가 우월에 대한 염원이 뜨거울수록 자신의 힘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찾기 위해 목표는 더 높게 설정하게 된다.
과도하게 높은 목표 설정으로 인한 실패는 오히려 극심한 열등감에 빠지게 만들 수 있으며, 삶의 전 과정에서 끊임없이 추구할 수 있는 목표이나 영원히 도달하지 못하는 목표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3. 결론
아들러 이론에 따르면 열등감 자체가 고통스러운 감정이라는 관점이나 인간의 삶 속에서 해가 되는 요소로써 제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개인의 부족함을 이해하고 자아에 대한 선명한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열등감도 개인의 삶 속의 한 부분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여야한다는 것이다. 완전한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열등감이 요구되며 이는 우리의 삶과 분리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자아실현의 과정 속에서 과한 보상을 추구하면서 우월감 콤플렉스로 나타날 수도 있다. 열등감과 우월감 모두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때 우리의 삶 속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단순히 우월감을 성취하기 위해 타인이 목표가 되는 삶은 결코 채워질 수 없는 것으로 이 과정은 오히려 자기의 삶에서 멀어지게 되고 삶의 에너지가 외부로 향하게 되어 진정한 성장을 이룰 수 없게 된다.
우리의 삶은 희극적인 요소와 비극적인 요소가 모두 있어야 삶 그 속에서 매력을 느낄 수 있으므로 자신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자아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이성숙. \"아들러 개인심리학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열등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광주
http://www.riss.kr/link?id=T14038785
2) 서수정.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열등감 개념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울산
http://www.riss.kr/link?id=T15677999
과도하게 높은 목표 설정으로 인한 실패는 오히려 극심한 열등감에 빠지게 만들 수 있으며, 삶의 전 과정에서 끊임없이 추구할 수 있는 목표이나 영원히 도달하지 못하는 목표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3. 결론
아들러 이론에 따르면 열등감 자체가 고통스러운 감정이라는 관점이나 인간의 삶 속에서 해가 되는 요소로써 제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개인의 부족함을 이해하고 자아에 대한 선명한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열등감도 개인의 삶 속의 한 부분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여야한다는 것이다. 완전한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열등감이 요구되며 이는 우리의 삶과 분리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한 자아실현의 과정 속에서 과한 보상을 추구하면서 우월감 콤플렉스로 나타날 수도 있다. 열등감과 우월감 모두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때 우리의 삶 속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단순히 우월감을 성취하기 위해 타인이 목표가 되는 삶은 결코 채워질 수 없는 것으로 이 과정은 오히려 자기의 삶에서 멀어지게 되고 삶의 에너지가 외부로 향하게 되어 진정한 성장을 이룰 수 없게 된다.
우리의 삶은 희극적인 요소와 비극적인 요소가 모두 있어야 삶 그 속에서 매력을 느낄 수 있으므로 자신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모두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자아 성장이 가능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이성숙. \"아들러 개인심리학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열등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국내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광주
http://www.riss.kr/link?id=T14038785
2) 서수정. \"아들러 개인심리학의 열등감 개념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울산
http://www.riss.kr/link?id=T1567799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