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관의 특징과 과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목차
1. 서론
2. 본론
(1) 후기 현대철학의 인간 이해
(2) 과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
(1) 후기 현대철학의 인간 이해
(2) 과학적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고찰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니라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제2단계는 전조작기로 2~7세 정도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지만,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집단독백(collective monologue)을 하다가 점차 상호소통적 언어로 발전하면서 사회적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조작기의 아동들은 한 가지 측면에서만 사물을 바라보기 때문에 같은 양의 물을 담아두더라도 담긴 컵의 모양이 다르다면 서로 다른 양이라고 직관적으로 판단한다.
제3단계는 7~11세의 구체적 조작기이다. 이제 아동들은 구체적 사물에 한정적이지만 사고활동을 내면화하고 전조작기의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사회화, 객관화된 사고를 할 수 있다. 또 논리적 사고가 발달하면서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보존 개념을 이해하면서 서로 다른 모양의 컵에 담긴 물의 양이 같다는 것을 알고, 가역적·연역적 사고·인과적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이시기에는 구체적 사물 없이 추상적 사고를 하기는 어렵다.
제4단계 형식적 조작기는 11세 이후를 말하는 마지막 발달단계로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며 논리적 추론, 판단, 분석이 가능하다. 발달 단계의 후기로 갈수록 문제해결과정에서 가설을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하게 되며 현실과 상상 사이에서 가설-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모든 사람들이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에게는 남들과 다른 특별함이 있다는 식의 자아중심성을 보인다.
(2) 교육적 시사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의 첫 번째 시사점은 아동의 인지발달수준을 고려하여 교육을 진행해야한다는 것이다. 대강의 연령 구분에 따라 발달단계를 제시하고 있지만,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르면 같은 연령의 아동이라도 인지발달의 수준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시행할 때에는 대상 아동이 가지고 있는 사고능력의 수준에 따라 알맞은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 번째 시사점은 개인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조작·구성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육의 주체는 학습자인 아동이며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아동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교육 방법으로는 아동 스스로 통찰하는 발견, 탐구학습이 있다.
세 번째 시사점은 아동이 내면의 인지적 통합 과정을 통해 다른 발달 단계로 이행한다는 관점에서 비롯된다. 인지적 통합 과정을 위해서는 아동들이 정과 반에 해당하는 두 가지 관점을 경험하고 두 가지 관점을 통합하여 새로운 관점을 창조적·능동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아동이 다양한 의견과 관점을 접할 수 있도록 또래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3. 결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교육에 있어서 주체, 방법, 구성 등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면서 기존의 자극-반응의 피동적 존재로서 인간 개념을 벗어나 능동적 인식 주체로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 심리적 이해를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고 심리학과 아동교육에 있어서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개인의 발달에 집중하여 아동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영향력이나 또래, 교사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발달 차이를 상대적으로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아제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여 인지발달의 이해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특히 아동의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강조한 비고츠키의 이론을 받아들여 피아제의 이론을 수정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현재의 교육론에 있어서 교사 중심의 교육방법이 아니라 학습자·아동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는 피아제의 이론은 현대 교육·심리 발전의 토대라고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삼복.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에 대한 이론적 비평과 교육적 제안.\" 神學과 宣敎 21.- (1996): 255-268.
http://www.riss.kr/link?id=A100387302
은은숙. \"피아제 발달이론의 논리적 정당화와 교육적 함의.\" 국내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대구
http://www.riss.kr/link?id=T12699480
이해경(Lee Hae-Gyung),권오영(Kwon Oh-Young),and 이양(Lee Yang). \"인지발달에 대한 삐아제 이론과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 사회과학연구 20.1 (2002): 5-18.
http://www.riss.kr/link?id=A101876695
제2단계는 전조작기로 2~7세 정도까지를 말한다. 이 시기의 아동들은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지만, 자기중심적으로 사고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지 않고 집단독백(collective monologue)을 하다가 점차 상호소통적 언어로 발전하면서 사회적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조작기의 아동들은 한 가지 측면에서만 사물을 바라보기 때문에 같은 양의 물을 담아두더라도 담긴 컵의 모양이 다르다면 서로 다른 양이라고 직관적으로 판단한다.
제3단계는 7~11세의 구체적 조작기이다. 이제 아동들은 구체적 사물에 한정적이지만 사고활동을 내면화하고 전조작기의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사회화, 객관화된 사고를 할 수 있다. 또 논리적 사고가 발달하면서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보존 개념을 이해하면서 서로 다른 모양의 컵에 담긴 물의 양이 같다는 것을 알고, 가역적·연역적 사고·인과적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이시기에는 구체적 사물 없이 추상적 사고를 하기는 어렵다.
제4단계 형식적 조작기는 11세 이후를 말하는 마지막 발달단계로 추상적 사고가 가능하며 논리적 추론, 판단, 분석이 가능하다. 발달 단계의 후기로 갈수록 문제해결과정에서 가설을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하게 되며 현실과 상상 사이에서 가설-연역적 사고가 가능하다.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모든 사람들이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에게는 남들과 다른 특별함이 있다는 식의 자아중심성을 보인다.
(2) 교육적 시사점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의 첫 번째 시사점은 아동의 인지발달수준을 고려하여 교육을 진행해야한다는 것이다. 대강의 연령 구분에 따라 발달단계를 제시하고 있지만,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르면 같은 연령의 아동이라도 인지발달의 수준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을 시행할 때에는 대상 아동이 가지고 있는 사고능력의 수준에 따라 알맞은 교육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 번째 시사점은 개인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조작·구성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육의 주체는 학습자인 아동이며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아동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교육 방법으로는 아동 스스로 통찰하는 발견, 탐구학습이 있다.
세 번째 시사점은 아동이 내면의 인지적 통합 과정을 통해 다른 발달 단계로 이행한다는 관점에서 비롯된다. 인지적 통합 과정을 위해서는 아동들이 정과 반에 해당하는 두 가지 관점을 경험하고 두 가지 관점을 통합하여 새로운 관점을 창조적·능동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이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아동이 다양한 의견과 관점을 접할 수 있도록 또래 간의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다.
3. 결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교육에 있어서 주체, 방법, 구성 등에 대한 질문에 대답하면서 기존의 자극-반응의 피동적 존재로서 인간 개념을 벗어나 능동적 인식 주체로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 심리적 이해를 발전시키는 기반이 되고 심리학과 아동교육에 있어서 큰 영향력을 미쳤다.
그러나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개인의 발달에 집중하여 아동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영향력이나 또래, 교사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발달 차이를 상대적으로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아제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여 인지발달의 이해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특히 아동의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강조한 비고츠키의 이론을 받아들여 피아제의 이론을 수정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처럼 현재의 교육론에 있어서 교사 중심의 교육방법이 아니라 학습자·아동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는 피아제의 이론은 현대 교육·심리 발전의 토대라고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삼복.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에 대한 이론적 비평과 교육적 제안.\" 神學과 宣敎 21.- (1996): 255-268.
http://www.riss.kr/link?id=A100387302
은은숙. \"피아제 발달이론의 논리적 정당화와 교육적 함의.\" 국내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대구
http://www.riss.kr/link?id=T12699480
이해경(Lee Hae-Gyung),권오영(Kwon Oh-Young),and 이양(Lee Yang). \"인지발달에 대한 삐아제 이론과 비고츠키 이론의 비교.\" 사회과학연구 20.1 (2002): 5-18.
http://www.riss.kr/link?id=A101876695
추천자료
인간과교육)1.후기현대철학적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있는 인간관 특징, 과학적인간관 ...
인간과교육1 )후기 현대 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인간과교육]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과학적 인...
인간과교육 ) 후기 현대 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하...
인간과교육 202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방송통신대 인간과교육 중간과제물)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
인간과교육 2021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종...
인간과교육 2021] 1.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설명...
2021학년도 [인간과교육]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