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청소년 권리·참여 증진 정책
(2)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3) 청소년 자립과 보호지원 강화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청소년 권리·참여 증진 정책
(2) 청소년 주도의 활동 활성화
(3) 청소년 자립과 보호지원 강화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다양한 방면에서 청소년 정책을 펼침으로써 청소년들의 사회·문화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자기주도적 활동을 통한 미래 성장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 학교 밖 청소년, 가출청소년, 비행청소년과 사회적으로 소외된 청소년들의 사회적응과 재적응을 돕기 위해 사회적·경제적 지원 기반을 마련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지역사회 및 관련 부처와 연계하여 위기 청소년에 대한 조기 대응 및 일탈 예방을 위한 체계 마련에 힘써오고 있다.
그러나 2020년 팬데믹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여전히 관련 부처 간 협업 부실, 사회 인식의 부재 등이 겹치면서 위기 청소년에 대한 대처 능력에 대한 비판이 여전한 것이 사실이다. 우선, 학교 등교가 불가능한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자녀들의 신체적·정신적 위기 상황에 대응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팬데믹 사태 이후 전세계적으로 가정 폭력이 증가하였다는 뉴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내에서는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에 대한 조기 발견 및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조기대응의 어려움은 인력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어왔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위기 청소년 돌봄을 위한 인력의 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비대면 수업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이 확대될 수 밖에 없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요구된다. 수 많은 더미정보 사이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조합하는 능력은 단순히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다루는 기술과는 다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10년대 이후 가짜뉴스의 확산과 딥페이크, AI기술의 발전 등 급변하는 디지털 기술 환경 속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가장 필수적인 능력이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비판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ㅇ요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이 미래의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발히 활동하기 위해서는 국제적 시각에서 시민윤리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청소년들은 앞으로 다인종·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갈 수 밖에 없으며, 필연적으로 젠더·인종·문화에 대한 차별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권리를 쟁취할 수 있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젠더·인종·문화를 배려할 수 있는 시민윤리가 요구된다. 이는 청소년들이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본분과 역할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자연·사회환경에 대한 책임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윤리·인성함양 프로그램이 지금보다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여성가족부. \"청소년 백서\". (2020)
김애숙. \"청소년건전육성을 위한 청소년정책 효과에 관한 인식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0. 인천
http://www.riss.kr/link?id=T14528700
문성호,박지원,한지연,and 정한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청소년활동 정책의 혁신전략 및 중점과제.\" 청소년학연구 28.5 (2021): 327-356.
http://www.riss.kr/link?id=A107458427
그러나 2020년 팬데믹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여전히 관련 부처 간 협업 부실, 사회 인식의 부재 등이 겹치면서 위기 청소년에 대한 대처 능력에 대한 비판이 여전한 것이 사실이다. 우선, 학교 등교가 불가능한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자녀들의 신체적·정신적 위기 상황에 대응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팬데믹 사태 이후 전세계적으로 가정 폭력이 증가하였다는 뉴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내에서는 위기 상황에 놓인 청소년에 대한 조기 발견 및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조기대응의 어려움은 인력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어왔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위기 청소년 돌봄을 위한 인력의 확대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비대면 수업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이 확대될 수 밖에 없는 사회적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요구된다. 수 많은 더미정보 사이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조합하는 능력은 단순히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브라우저를 다루는 기술과는 다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2010년대 이후 가짜뉴스의 확산과 딥페이크, AI기술의 발전 등 급변하는 디지털 기술 환경 속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는 가장 필수적인 능력이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비판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ㅇ요하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이 미래의 국제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발히 활동하기 위해서는 국제적 시각에서 시민윤리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청소년들은 앞으로 다인종·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갈 수 밖에 없으며, 필연적으로 젠더·인종·문화에 대한 차별을 극복하고 스스로의 권리를 쟁취할 수 있어야 하며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젠더·인종·문화를 배려할 수 있는 시민윤리가 요구된다. 이는 청소년들이 국제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본분과 역할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자연·사회환경에 대한 책임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윤리·인성함양 프로그램이 지금보다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여성가족부. \"청소년 백서\". (2020)
김애숙. \"청소년건전육성을 위한 청소년정책 효과에 관한 인식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0. 인천
http://www.riss.kr/link?id=T14528700
문성호,박지원,한지연,and 정한별.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청소년활동 정책의 혁신전략 및 중점과제.\" 청소년학연구 28.5 (2021): 327-356.
http://www.riss.kr/link?id=A10745842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