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경제의이해 ) 1 다음 문장의 맞음 또는 틀림을 답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a) 플랫폼을 서로 다른 종류의 사용자가 상호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때, 플랫폼 경제는 2010년대 이후의 새로운 현상이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랫폼경제의이해 ) 1 다음 문장의 맞음 또는 틀림을 답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a) 플랫폼을 서로 다른 종류의 사용자가 상호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때, 플랫폼 경제는 2010년대 이후의 새로운 현상이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플랫폼경제의이해
1. 다음 문장의 맞음 또는 틀림을 답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총 12점, 각 3점)
(a) 플랫폼을 “서로 다른 종류의 사용자가 상호 활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정의할 때, 플랫폼 경제는 2010년대 이후의 새로운 현상이다.
답: 맞음/ 틀림
이유:
(b) 인터넷의 발달은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고 평가해야하는 비용을 높였다. 이는 플랫폼의 필요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답: 맞음 / 틀림
이유:
(c) 플랫폼의 가격 구조는 매 거래마다 요금을 받는 회원제 요금과 전체 서비스에 대한 구독 요금을 받는 사용량 연동 요금제가 대표적이다. 이 두 요금제는 서로 배타적이어서 함께 사용할 수 없다.
답: 맞음 / 틀림
이유:
(d) 양의 피드백은 성장에만 영향을 주고 실패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답: 맞음 / 틀림
이유:

2. 다음 그래프는 A면(왼쪽)과 B면(오른쪽)의 양면 시장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6점)
(a) A면(왼쪽) 시장에서 가격을 에서 으로 낮추면 수요량은 증가 아니면 감소하는 지 답하시오. (1점)
답: 증가 / 감소
(b) A면(왼쪽) 시장에서 가격을 에서 으로 낮출 때 A면 시장에서의 수입이 늘어날 수 있는 조건을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2점)
답:
(c) B면(오른쪽) 시장에서 가격을 에서 으로 높일 때 B면 시장에서의 수입이 늘어날 수 있는 이유를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힌트: B면 시장의 수요곡선이 에서 으로 이동하는 이유도 함께 설명하시오.) (3점)
답:

3. 다음그래프와 연관된 질문에 모두 답하시오. (총 12점)
(a) 위 그래프처럼 가격 p가 주어졌을 때, 소비자의 수 는 안정적인 균형이 아니지만 은 안정적인 균형일 수 있음을 설명하시오. (6점)
답:
(b)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이 가격을 으로 낮추면(즉, ), 어떠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 지 임계 질량의 소비자 수, 이윤, 시소 원칙의 개념을 이용해 설명하시오. (6점)
답:

본문내용

에, 문제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에서 로 가격이 오르더라도 수요는 오히려 에서 로 증가할 수 있다. 교차하는 소비자 그룹 중 이 가격으로 인해 수혜를 받는 그룹이 생기고, 또 간접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플랫폼 경제는 일종의 독점 형태로 움직이므로 가격 결정력이 플랫폼 기업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면시장에서는 가격과 수요가 모두 증가할 수 있으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격과 수요를 곱한 값인 수입 역시 증가하게 된다.
3. 문제 3.
사용하는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3-1.
위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가격 지불용의(WTP)에 따라 판단한 가격을, 가로축은 소비자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플랫폼 기업은 소비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간접 네트워크 효과가 발동하기 좋으므로, 소비자가 가격을 지불할 용의 역시 늘어날 것이다. 따라서 일정 수준까지 소비자의 수가 늘어날수록 가격 지불용의에 따라 판단되는 가격은 늘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가 안정적인 균형점이 되지 못하는 주요한 이유가 된다. 소비자의 지불용의가 계속해서 늘어나는 이상, 서비스로 유입되는 소비자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 도달한 이후로도 가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소비자의 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게 된다.
그러나 지불용의는 계속해서 증가하지는 않는다. 소비자의 수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소비자의 지불용의는 감소 추세로 돌아선다. 이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소비자의 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늘어서면서, 플랫폼 사업의 가능성을 본 후발 주자가 진입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선택할 만한 대안이 생기므로, 한 플랫폼 기업에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또 한 플랫폼에 다수의 소비자가 모이면서, 소비자의 정보처리비용은 이제 감소하게 된다. 한 플랫폼에서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처리를 돕는 데에 큰 장점이 있는 플랫폼의 가격 역시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같은 가격이더라도 는 안정적인 균형점이 될 수 있다.
3-2.
만약 가격을 현재 책정한 것보다 아래로 책정한다면, 소비자의 수가 늘어날 때 지불용의가 있는 수준까지 소비자 수가 늘어나는 기간이 훨씬 짧아질 것이다. 그 후에는 가격 이상으로 지불용의가 있으므로, 소비자의 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동일한 가격으로 수렴하는 지점, 즉 소비자의 지불용의가 줄어들어 지불하는 가격과 일치하는 지점까지 도달하는 기간은 훨씬 길어지고, 소비자의 수는 훨씬 많아진다. 따라서 플랫폼 경제는 가격을 낮출 경우 시소 효과로 인해 네트워크 효과를 훨씬 달성하기 쉬워지며, 그만큼 초창기에 이윤을 거두지 못하더라도 결론적으로는 높은 이윤을 거둘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쿠팡 등 많은 기업들이 낮은 가격으로 서비스를 지속하는 것은 이러한 경향 때문이다.
4. 참고자료
조대근. \"온라인검색광고시장의 양면성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서울(url: http://www.riss.kr/link?id=T14507610)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3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