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국의 반도체 굴기
2. 반도체 공급망 개편과 칩4 동맹
3. 칩4 동맹에 따른 한국의 입장
2. 반도체 공급망 개편과 칩4 동맹
3. 칩4 동맹에 따른 한국의 입장
본문내용
기도 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이 섣불리 미국의 제안을 거부하고 중국과 반도체 협력을 맺기에도 무리가 있다. 그 이유는 반도체 산업에 있어서 미국이 갖는 지위가 매우 강력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반도체 종주국으로 반도체 설계, 제조, 장비 등 반도체 각 분야에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과의 관계가 나빠질 경우, 한국은 반도체 생산 자체가 불가능하다. 이에 한국 정부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어 정부는 공식적으로 “국익에 최대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결정하고자 한다.”라고 성명을 내놓았다.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이 칩4 동맹에 참여할 때 중국으로부터의 보복 공세가 예상되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D램 메모리 반도체는 한국과 미국 기업이 9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회사들은 대만과 일본이다. 특히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한국, 미국, 일본 3개국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거의 100%에 육박한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보아 중국이 칩4 동맹국을 외면하고 세계 시장에서 반도체를 원활하게 공급받기는 쉽지 않은 실정이라 한국이 칩4 동맹에 동참한다고 하더라도 한국에 대한 강력한 보복은 쉽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