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연극의 필요
2. 교육연극의 목적
3. 교육연극의 단계별 적용
2. 교육연극의 목적
3. 교육연극의 단계별 적용
본문내용
한 단계 더 함양될 수 있다. 만약 한 조가 흥부의 형제애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개과천선에만 초점을 맞추어 흥부가 놀부에게 마음의 문을 닫으면서 끝나는 표현을 보여 주었다면, 그 조는 놀부의 만행에도 불구하고 놀부를 다시 품어 주는 흥부의 마음을 잘 표현하는 다른 조의 표현 활동을 보며 새로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4) 판단 단계: 발표물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참가자가 흥부와 놀부를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표현 활동에 대한 미적인 감상이 이루어지는 미적 경험의 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단계가 가장 마지막 단계이므로, 지도자는 설정 단계에서 제시되었던 ‘흥부와 놀부의 주제를 정확히 파악하기’라는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성찰할 필요가 있다.
4) 판단 단계: 발표물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참가자가 흥부와 놀부를 제대로 이해하고 표현했는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표현 활동에 대한 미적인 감상이 이루어지는 미적 경험의 단계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단계가 가장 마지막 단계이므로, 지도자는 설정 단계에서 제시되었던 ‘흥부와 놀부의 주제를 정확히 파악하기’라는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성찰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동화구연의 이론과 실제
[역사교육] 역사과 수업에서 창의성 실현방안
[역사교육론] 미술자료와 문학작품 활용학습
[동화교육] 문자언어 활동과 동화교육 - 창의적인 문자언어 활동, 읽기 활동, 쓰기 활동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B형]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
[방통대 유아교육과 4학년 교육심리학 공통]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
학교폭력예방및학생의이해 기말] 1. 학교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요인별로 분석하고, 그 결과 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