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과정보사회 ) 1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역할과 두 방식의 기능적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터넷과정보사회 ) 1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역할과 두 방식의 기능적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역할과 두 방식의 기능적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시오.
2. 컴퓨터를 구성하는 입력, 출력, 처리, 기억, 보조기억 장치의 역할을 각각 서술하고 각 장치에 포함되는 대표 기기 1개를 선택하여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져도 기록된 데이터들이 소멸되지 않는다. 이를 비휘발성 메모리라고 한다. 오직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주는 것만 가능한 장치이다. ROM은 데이터를 저장한 후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를 시스템에 기억시키고 변화시키면 안 되는 BIOS같은 주요 데이터는 이 ROM에 저장된다. ROM은 먼저 한 번 데이터를 저장한다면 수정을 할 수 없지만, ROM의 종류에 다라 데이터를 다시 쓸 수 있다. PROM은 1번 다시쓰기가 가능하고, EPROM은 무한으로 가능하다.
보조기억장치는 다른 용어로는 외부 기억장치라고 하며, 장점은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물리적인 디스크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의 기억장치로, 주기억 장치보다는 느리지만 전원을 끄더라도 데이터가 사라지지지 않고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는 중앙처리장치인 CPU와 정보를 직접적으로 교환할 수 없기 때문에 먼저 주기억 장치로 옮겨진 다음에 처리된다. 그리하여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리고 가격이 주기억장치보다 저렴하다. 저장 용량이 크지만 처리속도가 느리고 중앙처리장치와 직접적인 데이터 교환이 불가피하다. 대표적인 보조기억장치로는 (HDD)하드디스크와 SSD(Solid State Driver)가 있다. 하드디스크는 물리적으로 디스크를 고속 회전시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디스크에 물리적으로 저장을 하기 때문에 충격에 약하고, 소음이 다소 발생한다. 가장 대중적인 보조 기억 장치이나 HDD에 비해 크기가 작고 처리속도가 빠른 SSD가 나오면서 최근 HDD 사용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키워드

  • 가격4,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9.02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