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권리 관점에서 현황 및 문제점 등 작성
나.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
출처 및 참고문헌
나. 향후 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분은 많으나 개선이 되지 않는다. 그러한 부분에 있어서 정치적인 이용이 적은 편인데다가 정치권에서는 큰 관심을 주지 않고 있어서 배당도 적게 되고 개선도 미비하다고밖에 보이지 않는다.
사람을 위한 일을 행해야 하는 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미비하고 모자란 부분이 너무 많이 느껴지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물론 부족 부분을 채워 나가야 되는 것은 사실이나 그러한 부분까지 신경을 못 쓰고 있는 것이 보인다는 것이다.
우리는 많은 부분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장애인 복지, 장애인 시설, 장애인의 이동수단과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시설 등의 구축도 많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부분에서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우리는 장애인들을 위해서 또 그들의 아픔이나 그들의 현실에 공감해주기 위해서 노력하기 보다는 그들을 오히려 우리의 사회에서 아픈 부분처럼 보이기 싫어하는 것처럼 밀어내고 그들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끔 만들어가고 있다.
그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생각과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된다고 본고의 필자는 말하고 싶다. 이러한 부분에서 개선 역시 필요하다. 아직 모자란 부분이 많고 모자란 부분에서의 개선점을 인식해나가는 것 역시 그들을 돕고 그들이 보다 좋은 삶을 살게 해줄 수 있는 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필자 역시도 많은 정보를 알지 못하고 있었고 해당 정보를 보면서 다양하게 새로 배우는 것들이 늘어났다. 아직까지도 장애인의 처우 개선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 정책이나 사안이 아직도 많은 부분에 있어서 채워야 할 부분이 많다는 것 등이다.
이제는 우리가 먼저 나서서 그들을 위해 이야기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보다 좋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그들이 더욱 사람다운 대접을 받을 수 있게끔 해야된다는 것이다. 본고의 필자는 이쯤에서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장애인에 대해서 안타까운 점을 많이 보게 되었고 인터넷 등에서는 아직도 장애인을 차별하는 발언 등을 함부로 하고 그들에 대해서 호도하는 시선이 많다는 것도 깨달을 수 있었다. 과거 유명한 말을 하고 싶다. ‘국격은 거리에 나온 장애인의 수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진향희, <\'쌀집 아저씨\' 김영희 PD \"양심냉장고, 모두 반대했었다\">, 매일경제, 2009-07-09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09/07/374845/
사람을 위한 일을 행해야 하는 데도 불구하고 아직도 미비하고 모자란 부분이 너무 많이 느껴지는 것은 안타까운 현실이다. 물론 부족 부분을 채워 나가야 되는 것은 사실이나 그러한 부분까지 신경을 못 쓰고 있는 것이 보인다는 것이다.
우리는 많은 부분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장애인 복지, 장애인 시설, 장애인의 이동수단과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환경시설 등의 구축도 많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그러나 그러한 부분에서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우리는 장애인들을 위해서 또 그들의 아픔이나 그들의 현실에 공감해주기 위해서 노력하기 보다는 그들을 오히려 우리의 사회에서 아픈 부분처럼 보이기 싫어하는 것처럼 밀어내고 그들이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끔 만들어가고 있다.
그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생각과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된다고 본고의 필자는 말하고 싶다. 이러한 부분에서 개선 역시 필요하다. 아직 모자란 부분이 많고 모자란 부분에서의 개선점을 인식해나가는 것 역시 그들을 돕고 그들이 보다 좋은 삶을 살게 해줄 수 있는 시발점이라고 생각한다.
필자 역시도 많은 정보를 알지 못하고 있었고 해당 정보를 보면서 다양하게 새로 배우는 것들이 늘어났다. 아직까지도 장애인의 처우 개선이 많이 필요하다는 것.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 정책이나 사안이 아직도 많은 부분에 있어서 채워야 할 부분이 많다는 것 등이다.
이제는 우리가 먼저 나서서 그들을 위해 이야기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보다 좋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 그들이 더욱 사람다운 대접을 받을 수 있게끔 해야된다는 것이다. 본고의 필자는 이쯤에서 글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장애인에 대해서 안타까운 점을 많이 보게 되었고 인터넷 등에서는 아직도 장애인을 차별하는 발언 등을 함부로 하고 그들에 대해서 호도하는 시선이 많다는 것도 깨달을 수 있었다. 과거 유명한 말을 하고 싶다. ‘국격은 거리에 나온 장애인의 수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진향희, <\'쌀집 아저씨\' 김영희 PD \"양심냉장고, 모두 반대했었다\">, 매일경제, 2009-07-09 https://www.mk.co.kr/news/culture/view/2009/07/374845/
추천자료
(방송통신대 장애인복지론 출석수업대체과제물)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의...
(장애인복지론, 공통)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
(장애인복지론, 공통)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
장애인복지론 2022학년도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
[2022 장애인복지론][탈시설 선정]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
[장애인복지론 3학년]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
장애인복지론3) 장애인과 관련된 최근 이슈(장애등급제 폐지, 탈시설, 장애인차별, 장애인이...
[장애인복지론] 1. 장애개념에 대한 의료적모델과 사회적모델의 시각을 비교하고 본인의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