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사진가, 광고사진가, 다큐멘터리사진가(보도사진가), 과학사진가, 취미사진가 중 2개 분야의 사진가를 각각 1명씩 고르고, 그의 작품에 관해 쓰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술사진가, 광고사진가, 다큐멘터리사진가(보도사진가), 과학사진가, 취미사진가 중 2개 분야의 사진가를 각각 1명씩 고르고, 그의 작품에 관해 쓰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큐멘터리 작가 ‘신디황’
2. 예술사진작가 ‘버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론을 계승하며 미술은 이와 관련지어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미술은 사회적 요인을 고려해야 하며 이것은 간단하게 결정되는 부분은 아니며 변증법적으로 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내용을 바탕으로 버긴은 사회적 형식주의, 사회적 리얼리즘을 선호하였으며 재현적인 부분이 세부적인 텍스트에 어떻게 지각되는가에 중심을 두었다. 이를 통해 작품의 형태가 내면적인 요소에 반대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았으며 작품 속 다양한 요소들의 전체를 이야기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 속에서 1970년대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작품 속에서 사진에 기반을 둔 작품 활동으로 점점 변화하였으며, 1980년대 중반에는 필름과 사진, 지역 삭제 등으로부터 이미지 재결합과 재편, 그리고 색을 덮어씌우면서 사진적 공간과 서술문의 통합을 방해하는 작품인 사진 앗상블라주를 제작하였다. 이런 작품의 변화는 ‘미술이론 종말론’의 마지막 문장에서도 보여 진다. 시각예술의 연구는 대중 매체 사회의 통합된 체제를 반영하는 범위로의 발전으로 최근 절정기를 맞이한 모더니즘 시기가 지나간 미술가와 미학은 이제 마지막에 있으며 우리가 현재 처해 있는 상황인 포스트 모던 시대 속에서 미술이론의 종말은 일반의 목표와 동일선에 있다고 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자신의 사진예술을 정의하기 위해 모더니즘 미술 중심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였으며. 러시아 형식주의 속에서의 텍스트를 통해 동시에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작품 활동을 하였다.
일상 속 여러 이미지들과 연관된 텍스트 안에 숨겨진 이데올로기인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인 암호를 통해 실전적 재현하는 사진 예술을 창작하였으며, 이런 버긴의 사진 예술 이론은 개념 미술과 사진 예술의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었다는 의미가 있으며 사진 예술을 단순한 재현의 예술과 수단이 아닌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표현하는 매체로 인식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사진작가 버긴의 초기작업(1968~76년):그 이론적 근거에 대한 비평, 최병길,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2016
*참고문헌
-한·중 다큐멘터리 사진의 기호화된 장면 미학 연구-한국계 미국 사진작가 신디 황의 작품<혼혈>과 중국 사진작가 강건의 작품<주인>을 중심으로, 오호 외 1인, 연기예술연구 21권, 2021
- 사진작가 버긴의 초기작업(1968~76년):그 이론적 근거에 대한 비평, 최병길, 기초조형학연구 제17권, 2016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9.05
  • 저작시기202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3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