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표에 의한 관리법
2) 조직혁신의 13가지 원칙
2) 조직혁신의 13가지 원칙
본문내용
만
고객과 접촉하는 현장으로부터 멀기 때문에 그들과의 불일치가 커지기 때문이다.
8) 권력은 빼앗겨야 얻는다.
◎ 프랑스의 대형수퍼마켓 체인인 Carrefour에서는 매장의 각 코너담당자가 구매, 구인, 판매결정을 하고, 앞으로는 할인판매 결정까지를 맡기려 한다.
◎ 왜 권력을 주는가? 권력을 주면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지시를 받은 일’을 하는 것보다‘스스로 하기로 한 일’을 하는 것이
훨씬 동기화가 되기 때문이다.
◎ 한 사람에 의해 지배되는 수직조직에서는 지배의 쾌감은 있지만, 비능률의
쓰라림으로 돌아온다.
◎ 미래사회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지식재벌이 되려면 권력을 내주어 창조적
조직활동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 일본 교세라기업의 도성사장은“내가 경영원칙을 몰랐기에 우리는 더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다”
9) 회사의 종업원은 재산이 아니다.
◎ 관료조직의 특징은 실제 일하는 팔다리는 짧고 몸뚱이만 큰 기형이다.
key는 많은데 노 젖는 사람이 없는 배도 그렇다.
싸우는 자는 적고 영관급 지휘자만 많은 군대도 그렇다.
◎ 재산은 관리를 잘해야 한다. 굴리고 투자하고 보살펴야 늘어난다.
그러나 회사의 종업원은 재산이 아니다.
감싸고 주무려고 하지말고 그냥 내버려 둔다고 생각하면 된다.
■ 日本 노비아 화장품사의 3S는 Slim, Suntan, No Smoking 이다.
살찐 사람, 백색피부, 골초는 休暇를 많이 받아 健康하고 날씬해지라는 것이다.
◎ 이 회사에서는 사원들이 테니스, 스키, 스쿠버다이빙 하는데 드는 비용의
1/3을 대준다.
◎ 가오(花王)그룹사원도 출퇴근이 자유이며 관리자가 없다.
■ 美國의 3M社에는 15% 法則이 있다.
◎ 사원들의 근무시간 중 15%를 자유시간으로 쓰라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종업원으로부터 최대의 것을 우려낼 것인가를 궁리하던 시대는
가버렸다.‘무(無)관리의 관리’가 최선의 인사전략이다.
10) 손실이 이익이다.
◎ 지금은 최대가 아니지만, 그 당시 스티븐 스필버그는‘쥬라기 공원’에
사상 최대의 비용을 썼다. 역시 이 영화는 사상 최대의 수익을 올렸다.
■ Input을 줄이려는 전략에서 Output을 늘리려는 풍토로 혁신되어야 한다.
11) 실패가 성공이다.
◎ 실패한 기업들의 세일즈맨들이 실패의 노하우를 쌓아 가는 동안 성공한 기업의
세일즈맨은 벙어리가 되어 간다.
12) 정보와 지식은 소비해야 생산된다.
◎ 종래의 경영은 정보관리에 초점을 두고 타 회사의 기밀을 빼내다가 보관하고
타 부서에 정보를 주지 않고 꼭꼭 숨겨 놓는 것이 일이었다.
정보는 우리를 시간, 장소, 사람으로부터 해방시켜준다.
◎ 새로운 정보는 자꾸만 흘려야 상호교류되면서 상승작용을 통해 고급지식,
실용지식으로 변한다.
◎ 하급자가 상급자만큼 정보를 알고 있으면 상급자만큼 일을 할 수 있다.
◎ 오늘날 과거의 정보, 남이 만든 정보지식에만 의존하다가는 뒷북만 친다.
13) 조직혁신은 유행하는‘오늘의 요리’가 아니다.
◎ 1901년 미국 씨에틀에 설립한 Nordstrom수퍼에서 피아니스트를 고용하여
가계에서 클래식을 연주하게 했더니 손님이 몰렸다.
◎ 이 소문을 들은 경쟁사들이 흉내를 냈는데 실패했다.
남의 것을 그대로 복사했지만 클래식 음악을 들어줄 손님의 수준이 달랐기
때문이다.
◎ 조직의 혁신도 요리법 처럼 일정한 메뉴와 공식이 있다고 착각하면 안 된다.
각자의 입맛에 맞는 요리법을 개발해야 한다.
◎ 유행되는 음식을 그대로 수입해다 먹는 요리가 체질에 맞을리가 없다
◎ 남산의 소나무가 병들었다고 해서 LA의 야자수로 메꿀 수 없지 않은가?
■ 조직혁신은‘나의 혁신’이지‘남의 혁신’이 아니다.
고객과 접촉하는 현장으로부터 멀기 때문에 그들과의 불일치가 커지기 때문이다.
8) 권력은 빼앗겨야 얻는다.
◎ 프랑스의 대형수퍼마켓 체인인 Carrefour에서는 매장의 각 코너담당자가 구매, 구인, 판매결정을 하고, 앞으로는 할인판매 결정까지를 맡기려 한다.
◎ 왜 권력을 주는가? 권력을 주면 더 빨리 더 효율적으로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지시를 받은 일’을 하는 것보다‘스스로 하기로 한 일’을 하는 것이
훨씬 동기화가 되기 때문이다.
◎ 한 사람에 의해 지배되는 수직조직에서는 지배의 쾌감은 있지만, 비능률의
쓰라림으로 돌아온다.
◎ 미래사회에서 권력을 장악하여 지식재벌이 되려면 권력을 내주어 창조적
조직활동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 일본 교세라기업의 도성사장은“내가 경영원칙을 몰랐기에 우리는 더 많은
이익을 올릴 수 있다”
9) 회사의 종업원은 재산이 아니다.
◎ 관료조직의 특징은 실제 일하는 팔다리는 짧고 몸뚱이만 큰 기형이다.
key는 많은데 노 젖는 사람이 없는 배도 그렇다.
싸우는 자는 적고 영관급 지휘자만 많은 군대도 그렇다.
◎ 재산은 관리를 잘해야 한다. 굴리고 투자하고 보살펴야 늘어난다.
그러나 회사의 종업원은 재산이 아니다.
감싸고 주무려고 하지말고 그냥 내버려 둔다고 생각하면 된다.
■ 日本 노비아 화장품사의 3S는 Slim, Suntan, No Smoking 이다.
살찐 사람, 백색피부, 골초는 休暇를 많이 받아 健康하고 날씬해지라는 것이다.
◎ 이 회사에서는 사원들이 테니스, 스키, 스쿠버다이빙 하는데 드는 비용의
1/3을 대준다.
◎ 가오(花王)그룹사원도 출퇴근이 자유이며 관리자가 없다.
■ 美國의 3M社에는 15% 法則이 있다.
◎ 사원들의 근무시간 중 15%를 자유시간으로 쓰라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종업원으로부터 최대의 것을 우려낼 것인가를 궁리하던 시대는
가버렸다.‘무(無)관리의 관리’가 최선의 인사전략이다.
10) 손실이 이익이다.
◎ 지금은 최대가 아니지만, 그 당시 스티븐 스필버그는‘쥬라기 공원’에
사상 최대의 비용을 썼다. 역시 이 영화는 사상 최대의 수익을 올렸다.
■ Input을 줄이려는 전략에서 Output을 늘리려는 풍토로 혁신되어야 한다.
11) 실패가 성공이다.
◎ 실패한 기업들의 세일즈맨들이 실패의 노하우를 쌓아 가는 동안 성공한 기업의
세일즈맨은 벙어리가 되어 간다.
12) 정보와 지식은 소비해야 생산된다.
◎ 종래의 경영은 정보관리에 초점을 두고 타 회사의 기밀을 빼내다가 보관하고
타 부서에 정보를 주지 않고 꼭꼭 숨겨 놓는 것이 일이었다.
정보는 우리를 시간, 장소, 사람으로부터 해방시켜준다.
◎ 새로운 정보는 자꾸만 흘려야 상호교류되면서 상승작용을 통해 고급지식,
실용지식으로 변한다.
◎ 하급자가 상급자만큼 정보를 알고 있으면 상급자만큼 일을 할 수 있다.
◎ 오늘날 과거의 정보, 남이 만든 정보지식에만 의존하다가는 뒷북만 친다.
13) 조직혁신은 유행하는‘오늘의 요리’가 아니다.
◎ 1901년 미국 씨에틀에 설립한 Nordstrom수퍼에서 피아니스트를 고용하여
가계에서 클래식을 연주하게 했더니 손님이 몰렸다.
◎ 이 소문을 들은 경쟁사들이 흉내를 냈는데 실패했다.
남의 것을 그대로 복사했지만 클래식 음악을 들어줄 손님의 수준이 달랐기
때문이다.
◎ 조직의 혁신도 요리법 처럼 일정한 메뉴와 공식이 있다고 착각하면 안 된다.
각자의 입맛에 맞는 요리법을 개발해야 한다.
◎ 유행되는 음식을 그대로 수입해다 먹는 요리가 체질에 맞을리가 없다
◎ 남산의 소나무가 병들었다고 해서 LA의 야자수로 메꿀 수 없지 않은가?
■ 조직혁신은‘나의 혁신’이지‘남의 혁신’이 아니다.
추천자료
TQM(Total Quality Management)의 개념 및 주요원칙
목표관리MBO
조직목표와 조직유효성
[조직관리][조직구조]조직 관리와 조직 구조 사례 연구(조직화의 정의와 단계, 조직관리 이론...
임금 본질, 임금 원칙, 임금 결정요인, 임금 지급형태, 임금과 생산성의 관련성, 임금과 노동...
[관리][정부정보관리][저작권정보관리][학교종합정보관리][경영정보관리][신용정보관리]정보...
[인사행정][인사행정 유럽 사례][인사행정 제도]인사행정의 정의, 인사행정의 성격, 인사행정...
전략적간호관리 기말] 2020년 1학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전략적간호관리 기말시험 온라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