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노 지즈코 집에서 혼자 죽기를 권하다 서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에노 지즈코 집에서 혼자 죽기를 권하다 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역시 싱글은 외로워?
3. 내가 죽으면 시신은 누가 처리해주지?
4. 시설에서 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
5. 혼자 죽음을 준비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6. 살아 있는 동안 고립되지 않는다면 고독사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본문내용

% 이상의 노인이 간병 보험의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한다. 간병이 필요하다는 인정만 받으면 케어 매니저(우리나라의 경우 요양보호사)가 일주일에 두 번이라도 방문 간병을 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고독사’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노후의 생활과 간병제도에 관한 생각은 이 책의 후반부 ‘치매’에 대한 생각에서도 반복된다. 치매 환자 700만 명 시대, 치매의 경우에도 시설이 대안은 아니다. 혼자 사는 치매 환자의 상태가 오히려 더 좋다. 사회보장 시스템, 그리고 가족의 각오와 배려가 있다면 치매여도 충분히 혼자 살수 있다고 말한다.
내가 원하는 것은 치매를 두려워하는 사회가 아니라 치매에 걸려도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다. 혼자 치매에 걸리지 않으려고 아득바득 노력할 정도라면 그 에너지를 ‘안심하고 치매에 걸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썼으면 좋겠다.(144)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모두가 중도 장애인이 되어가는 과정이다. 그 중도 장애 안에 불편한 몸뿐만 아니라 불편한 머리와 마음,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존재한다면 치매 케어가 가야할 방향을 장애인 케어와 똑같다.(144-145)
누가 걸릴지 알 수 없다는 것, 이것이 치매의 가장 큰 공포다. 이러한 현실에서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누구나 언젠가 늙고 병든다는 사실부터 받아들여야 한다. 그래서 치매를 이상 징후가 아니라 노화의 한 모습으로 인정해야 한다. 그들도 생각하고 느끼는 우리와 똑같이 생의 한 단계를 밟아가는 사람들일 뿐이다. 저자는 그래서 ‘치매를 방지하는 사회’가 아니라 ‘치매를 대비하는 사회’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9.08
  • 저작시기202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3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