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월트디즈니 기업소개
(1) 기업개요
(2) 기업철학
2. 월트디즈니 사업분야
(1) 엔터테인먼트 사업
(2) 테마파크 사업
3. 코로나 이후 경쟁환경분석
4. 디즈니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디즈니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1) 내부마케팅
(2) 서비스 마케팅
(3)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4) 리마인드 마케팅
(5) 브랜드 마케팅
(6) 토탈 마케팅
(7) 글로벌 마케팅
- 중국진출전략
6. 향후전략 방향제시
(1) 기업개요
(2) 기업철학
2. 월트디즈니 사업분야
(1) 엔터테인먼트 사업
(2) 테마파크 사업
3. 코로나 이후 경쟁환경분석
4. 디즈니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디즈니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1) 내부마케팅
(2) 서비스 마케팅
(3)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4) 리마인드 마케팅
(5) 브랜드 마케팅
(6) 토탈 마케팅
(7) 글로벌 마케팅
- 중국진출전략
6. 향후전략 방향제시
본문내용
and 를 강화하는 Monolithic Brand 구조와 각각의 사업영역에 맞는 Family Brand 를 강화하는 Independent Brand 구조를 병용하는 브랜드 구조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Corporate Brand 강화전략은 새롭게 발전된 시장에서 기존의 브랜드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약간의 변형을 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창업주의 이름인 “Disney”는 만화영화 제작사의 회사명에서 놀이공원 및 TV 쇼 등 새로운 시장에까지 확장하여 일관되게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시장과 새로운 시장사이의 비용절감과 “어린이”를 소비대상으로 하는 브랜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또한 개별 브랜드 전략은 기존 제품범주 내에서 새로 나타나는 시장에 완전히 새로운 브랜드 네임을 사용하여 진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의 좋은 점은 기존 브랜드와 새로운 브랜드의 이미지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우선 발전된 시장에서 기존 브랜드의 이미지와 다른 브랜드가 적합할 때 이러한 새로운 브랜드는 기존 시장내 본래의 브랜드 이미지를 보호하면서 새로운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전의 디즈니사는 폭력과 성에 대한 주제의 영화를 제작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디즈니라는 브랜드 네임과는 별도로 새로운 브랜드를 개발하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고 결과적으로 디즈니의 제 2의 브랜드인 “Touchstone Pictures”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친숙한 “Touchstone Pictures” 가 Disney 사의 제 2 브랜드임을 아는 사람은 흔치 않다. 그 만큼 Disney 사는 새로운 성인 및 청소년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영화제작을 위하여 개별 브랜드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디즈니” 브랜드를 보호하고 새로운 시장에 접근한 것이다.
(6) 토탈 마케팅
디즈니 사업의 특징 중 하나로 토탈 마케팅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캐릭터, 비디오, 테마파크, 애니메이션 등의 각 사업 부문들을 하나로 엮어 강한 시너지 효과를 유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영화나 TV 프로그램이 대박이나면, 사람들은 디즈니랜드를 찾게되고, 디즈니랜드의 매출이 오른다. 그리고 디즈니랜드를 찾은 사람들은 또 캐릭터 상품등을 사게되고, 캐릭터 상품을 가지면서 디즈니에 인지와 애착이 강해지게 되고, 그러면 또 TV 프로그램이나 영화가 대박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각 부문들은 이렇게 선순환을 통해 강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7) 글로벌 마케팅
- 중국진출전략
디즈니는 37억 달러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상하이 푸동지구에 세워진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테마면적은 약 3.9㎢로 매직킹덤, 앱콧, 애니멀킹덤 이렇게 3개 사이트로 구성되어있다. 중국내에서 600명 이상의 인력을 고용하여 25개 이상의 도시에서 다양한 머천다이징 상품을 판매중이며, 어린이를 위해서 상하이 영어학습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6. 향후전략 방향제시
디즈니가 주력하고 있는 ‘디즈니+’가 한국 도입 전인 것을 고려하더라도, ‘디즈니+’에 대한 인지도는 넷플릭스보다 낮다. 그러므로 ‘디즈니+’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을 활용한 동영상 광고로 대중들이 ‘디즈니+’에 대해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평소에 디즈니 마니아, 디즈니를 좋아한다고 얘기했던 한국의 인플루언서에게 유료광고 혹은 협찬을 통해 적극적인 PR을 해서 경쟁사보다 인지도와 매출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디즈니는 협업할 수 있는 영화제작사를 소유하고 있기에 협업을 통한 디즈니 독점 영화 혹은 스핀오프 등 디즈니만이 제작할 수 있는 작품을 강점으로 내세워 동영상 광고 혹은 협찬을 통해 OTT 부문에서 독보적인 1위로 올라섰으면 한다.
(6) 토탈 마케팅
디즈니 사업의 특징 중 하나로 토탈 마케팅을 들 수 있다. 이렇게 캐릭터, 비디오, 테마파크, 애니메이션 등의 각 사업 부문들을 하나로 엮어 강한 시너지 효과를 유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영화나 TV 프로그램이 대박이나면, 사람들은 디즈니랜드를 찾게되고, 디즈니랜드의 매출이 오른다. 그리고 디즈니랜드를 찾은 사람들은 또 캐릭터 상품등을 사게되고, 캐릭터 상품을 가지면서 디즈니에 인지와 애착이 강해지게 되고, 그러면 또 TV 프로그램이나 영화가 대박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각 부문들은 이렇게 선순환을 통해 강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7) 글로벌 마케팅
- 중국진출전략
디즈니는 37억 달러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상하이 푸동지구에 세워진 상하이 디즈니랜드의 테마면적은 약 3.9㎢로 매직킹덤, 앱콧, 애니멀킹덤 이렇게 3개 사이트로 구성되어있다. 중국내에서 600명 이상의 인력을 고용하여 25개 이상의 도시에서 다양한 머천다이징 상품을 판매중이며, 어린이를 위해서 상하이 영어학습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6. 향후전략 방향제시
디즈니가 주력하고 있는 ‘디즈니+’가 한국 도입 전인 것을 고려하더라도, ‘디즈니+’에 대한 인지도는 넷플릭스보다 낮다. 그러므로 ‘디즈니+’에서 볼 수 있는 작품을 활용한 동영상 광고로 대중들이 ‘디즈니+’에 대해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평소에 디즈니 마니아, 디즈니를 좋아한다고 얘기했던 한국의 인플루언서에게 유료광고 혹은 협찬을 통해 적극적인 PR을 해서 경쟁사보다 인지도와 매출을 올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디즈니는 협업할 수 있는 영화제작사를 소유하고 있기에 협업을 통한 디즈니 독점 영화 혹은 스핀오프 등 디즈니만이 제작할 수 있는 작품을 강점으로 내세워 동영상 광고 혹은 협찬을 통해 OTT 부문에서 독보적인 1위로 올라섰으면 한다.
추천자료
에버랜드의 브랜드 가치
관광브랜드 분석(에버랜드)
월트디즈니 인터넷 마케팅
[국제마케팅]쿠쿠홈시스의 글로벌 시장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전략 분석
디즈니랜드실패,디즈니랜드마케팅전략,유로디즈니랜드,도쿄디즈니랜드,디지니랜드
디즈니랜드 마케팅보고서 - 디즈니랜드 성공요인과 SWOT분석및 마케팅전략 사례분석과 디즈니...
에버랜드 기업 경영전략 사례연구와 SWOT분석 및 미래방향제시
삼성전자 경영전략과 마케팅사례분석 및 삼성전자 기업경쟁우위와 SWOT분석과 삼성전자 미래...
에버랜드 경영전략과 마케팅사례연구 및 에버랜드 SWOT분석과 기업분석 및 에버랜드 향후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