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1
교재에서 설명되지 않은 ‘린(Lean)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관해 관련 다른 문헌의 자료를 찾아 조사.
문2
다음 질문 2개를 각각 5~10줄 분량으로 명확하게 답하라.
(a) 짝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b) 결함 테스팅과 검증 테스팅의 차이는 무엇인가?
문1.
1. 린 소프트웨어의 정의
2. 린 개발방법의 특징
3. 린 개발 방법의 진행
4. 린 개발 방법의 7가지 개발 원칙
5. 린 개발 방법의 7가지 원칙
문2.
(a) 짝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b) 결함 테스팅과 검증 테스팅의 차이는 무엇인가?
출처 및 참고문헌
교재에서 설명되지 않은 ‘린(Lean)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에 관해 관련 다른 문헌의 자료를 찾아 조사.
문2
다음 질문 2개를 각각 5~10줄 분량으로 명확하게 답하라.
(a) 짝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b) 결함 테스팅과 검증 테스팅의 차이는 무엇인가?
문1.
1. 린 소프트웨어의 정의
2. 린 개발방법의 특징
3. 린 개발 방법의 진행
4. 린 개발 방법의 7가지 개발 원칙
5. 린 개발 방법의 7가지 원칙
문2.
(a) 짝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b) 결함 테스팅과 검증 테스팅의 차이는 무엇인가?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 작 프로그래밍이란 작업을 배분하여 각 프로그래머가 작업한 이후에 통합하는 것이 아니라 2인 이상의 프로그래머가 한 조가 되어 같은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을 의미함. 짝 프로그래밍은 동료와 함께 나란히 앉아 코드를 작성하기 때문에 동료 프로그래밍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한 명은 운전자의 역할을 또 다른 한 명은 내비게이터의 역할을 맡아 프로그래밍을 하게 됨. 짝 프로그래밍은 네비게이터가 과제의 목표와 방향을 잡고 진행되기 때문에 촘촘한 그물망처럼 프로그램을 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드라이버와 네비게이터가 서로 소통하며 일을 진행하기 때문에 품질, 기술 공유 및 전파, 소통 향상에 효과가 있는 방법이라 소개됨.
(b) 결함 테스팅과 검증 테스팅의 차이는 무엇인가? - 결함 테스팅이란 소규모 코드에서 결함을 찾고자 하는 것으로 부정확한 계산이나 데이터 상의 오류 등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임. 즉, 좁은 의미에서 테스트를 의미함. 반면 검증 테스트는 주요 시스템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주어진 요구 명세의 민족을 보이는 인수 테스트와 같은 고수준의 테스트를 의미함. 예를 들어 검증 테스트는 초반에 목표한 목표치에 현재 완성된 프로그래밍이 충족하는지에 대해 테스트를 하는 것이라면, 결함 테스팅이란 소규모의 코드를 실행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지를 보는 것이라 할 수 있음.
6. 출처 및 참고문헌
린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인코덤,
http://www.incodom.kr/sp.home
양민경, 애자일 방법론 2: 린스타트업, HR블렌틴, 2018.06.20.
https://hrbulletin.net/organizational-culture/%EC%95%A0%EC%9E%90%EC%9D%BC-%EB%B0%A9%EB%B2%95%EB%A1%A0-%E2%91%A1-%EB%A6%B0%EC%8A%A4%ED%83%80%ED%8A%B8%EC%97%85lean-startup/
Fast campus, 정말 가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있나요?-린스타트업과 애자일의 조합, 소프트웨어 개발 이야기, 2017년 05월 26일
https://media.fastcampus.co.kr/knowledge/lean-startup-agile-software-programming/
나희경, 이희우. (2016).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적용: 한국 ‘카닥’사례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5), 29-43.
(b) 결함 테스팅과 검증 테스팅의 차이는 무엇인가? - 결함 테스팅이란 소규모 코드에서 결함을 찾고자 하는 것으로 부정확한 계산이나 데이터 상의 오류 등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임. 즉, 좁은 의미에서 테스트를 의미함. 반면 검증 테스트는 주요 시스템의 기능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주어진 요구 명세의 민족을 보이는 인수 테스트와 같은 고수준의 테스트를 의미함. 예를 들어 검증 테스트는 초반에 목표한 목표치에 현재 완성된 프로그래밍이 충족하는지에 대해 테스트를 하는 것이라면, 결함 테스팅이란 소규모의 코드를 실행하는데 있어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지를 보는 것이라 할 수 있음.
6. 출처 및 참고문헌
린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인코덤,
http://www.incodom.kr/sp.home
양민경, 애자일 방법론 2: 린스타트업, HR블렌틴, 2018.06.20.
https://hrbulletin.net/organizational-culture/%EC%95%A0%EC%9E%90%EC%9D%BC-%EB%B0%A9%EB%B2%95%EB%A1%A0-%E2%91%A1-%EB%A6%B0%EC%8A%A4%ED%83%80%ED%8A%B8%EC%97%85lean-startup/
Fast campus, 정말 가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있나요?-린스타트업과 애자일의 조합, 소프트웨어 개발 이야기, 2017년 05월 26일
https://media.fastcampus.co.kr/knowledge/lean-startup-agile-software-programming/
나희경, 이희우. (2016). 린 스타트업 방법론의 적용: 한국 ‘카닥’사례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1(5), 29-4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