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형(linearity)
2. 전류
3. 선형 소자의 전류-전압 식
4. 다이오드
5. 시정수(time constant)
6. 미분방정식 푸는 법
2. 전류
3. 선형 소자의 전류-전압 식
4. 다이오드
5. 시정수(time constant)
6. 미분방정식 푸는 법
본문내용
됨
- 근사화를 통해서 0.7V에서 on/off가 되는 수직의 그래프로 표현이 가능
※근사화를 하는 이유 : 비선형 회로를 선형화하는 작업을 통해서 모델링을 하면, 원래 비선형 소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서 계산해야 하지만 모델링을 하면 머릿속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 회로에서 다이오드가 있을 경우, 2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생각하는데, 먼저 순방향일 경우는 다이오드 앙옆의 노드의 전압 차이가 0.7V라 가정하고 풀고, 역방향일 경우에는 다이오드 부분이 open이라 생각하고 푼다.
- 간단한 회로로 푸는 방법 설명
1) 근사화 하지 않고 푸는 법
->
초월 함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푸는 방법이 복잡해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2) 근사화해서 푸는 법
다이오드 양옆의 노드의 전압 차이가 0.7V라 가정
=10V, Ω 대입
I=4.65mA
5. 시정수(time constant)
- RC 회로가 시간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
- 회로에서 커패시터에 전하가 충전될 때 일정 시간 동안 얼마만큼 충전이 되었냐는 정리할수 있는 단위
6. 미분방정식 푸는 법
- 미분방정식 다이렉트로 풀기
- 라플라스 변환
- 직관적으로
- 근사화를 통해서 0.7V에서 on/off가 되는 수직의 그래프로 표현이 가능
※근사화를 하는 이유 : 비선형 회로를 선형화하는 작업을 통해서 모델링을 하면, 원래 비선형 소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서 계산해야 하지만 모델링을 하면 머릿속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 회로에서 다이오드가 있을 경우, 2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생각하는데, 먼저 순방향일 경우는 다이오드 앙옆의 노드의 전압 차이가 0.7V라 가정하고 풀고, 역방향일 경우에는 다이오드 부분이 open이라 생각하고 푼다.
- 간단한 회로로 푸는 방법 설명
1) 근사화 하지 않고 푸는 법
->
초월 함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푸는 방법이 복잡해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편하다.
2) 근사화해서 푸는 법
다이오드 양옆의 노드의 전압 차이가 0.7V라 가정
=10V, Ω 대입
I=4.65mA
5. 시정수(time constant)
- RC 회로가 시간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나타내는 지표
-
- 회로에서 커패시터에 전하가 충전될 때 일정 시간 동안 얼마만큼 충전이 되었냐는 정리할수 있는 단위
6. 미분방정식 푸는 법
- 미분방정식 다이렉트로 풀기
- 라플라스 변환
- 직관적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