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Simone Martini & Lippo Memmi와 그들의 Annunciation
2) Sandro Botticelli와 그의 Annunciation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Simone Martini & Lippo Memmi와 그들의 Annunciation
2) Sandro Botticelli와 그의 Annunciation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맞은편에 있는 마리아는 책을 읽다가 갑자기 찾아온 천사 쪽으로 몸을 돌리며, 천사의 말을 듣고는 두 팔을 내밀어 부끄러운 듯이 손사래를 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때의 마리아의 몸짓과 표정에서 진지하고 엄숙한 두려움이 느껴진다.
3. 결론
각 작품을 서양화의 시대적 상황으로 볼 때, Simone Martini & Lippo Memmi는 15세기 르네상스 양식으로 넘어가기 전 약 3세기 동안 중세 건축 양식의 중심이 되었던 ‘후기 고딕시대’를 기본으로 하였고, Sandro Botticelli는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 시대’라는 점에서 다르다.
Simone Martini & Lippo Memmi의 Annunciation의 표현기법으로 보면, 금빛 배경과 부자연스러운 자세에서 수직적이고 직선적인 느낌을 주는 고딕 양식을 가지고 있지만, 사물의 실제 형상과 공간을 고려하여 원근법을 사용하고, 채색을 조금 더함으로서 독특한 그들만의 시에나화풍을 느낄 수 있고, Sandro Botticelli의 Annunciation에서는 신비주의적인 요소와 더불어 신체의 과장된 곡선미, 풍만한 느낌과 비교적 풍부한 색감을 바탕으로 장식화한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시모네 마르티니 [Simone Martini],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미술대사전(인명편), 리포 멤미 Lippo Memmi,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1998.
서양미술사, 에른스트 곰브리치, 예경, 2017.06.30.
산드로 보티첼리 [Sandro Botticelli],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3. 결론
각 작품을 서양화의 시대적 상황으로 볼 때, Simone Martini & Lippo Memmi는 15세기 르네상스 양식으로 넘어가기 전 약 3세기 동안 중세 건축 양식의 중심이 되었던 ‘후기 고딕시대’를 기본으로 하였고, Sandro Botticelli는 이탈리아 ‘초기 르네상스 시대’라는 점에서 다르다.
Simone Martini & Lippo Memmi의 Annunciation의 표현기법으로 보면, 금빛 배경과 부자연스러운 자세에서 수직적이고 직선적인 느낌을 주는 고딕 양식을 가지고 있지만, 사물의 실제 형상과 공간을 고려하여 원근법을 사용하고, 채색을 조금 더함으로서 독특한 그들만의 시에나화풍을 느낄 수 있고, Sandro Botticelli의 Annunciation에서는 신비주의적인 요소와 더불어 신체의 과장된 곡선미, 풍만한 느낌과 비교적 풍부한 색감을 바탕으로 장식화한 표현기법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시모네 마르티니 [Simone Martini],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미술대사전(인명편), 리포 멤미 Lippo Memmi,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1998.
서양미술사, 에른스트 곰브리치, 예경, 2017.06.30.
산드로 보티첼리 [Sandro Botticelli],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