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5세 이상 노인(부모님, 가족, 본인을 포함하여도 무관함)을 대상으로 이들(혹은 본인)의 삶의 경로와 노후준비에 관해 서술하고, 이들(혹은 본인)의 노후가 늙은이, 어르신, 엑티브 시니어, 선배시민 중 어디에 속하는지 논하시오(분량 A4 용지 3장 이상 제출하시오) (30점 만점)
1. 65세 이상 노인의 인적사항과 이들의 삶의 경로와 노후준비 서술(10점)
2. 늙은이, 어르신, 엑티브 시니어, 선배시민 개념 설명(10점)
①늙은이 ②어르신 ③엑티브 시니어 ④선배시민
3. 인터뷰 대상이 4개의 노인 개념 중 어디에 가까운지 논의하시오(10점).
4. 참고문헌
1. 65세 이상 노인의 인적사항과 이들의 삶의 경로와 노후준비 서술(10점)
2. 늙은이, 어르신, 엑티브 시니어, 선배시민 개념 설명(10점)
①늙은이 ②어르신 ③엑티브 시니어 ④선배시민
3. 인터뷰 대상이 4개의 노인 개념 중 어디에 가까운지 논의하시오(10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아니라 변화를 추구하는 존재이다.” 상동 p46.
3. 인터뷰 대상이 4개의 노인 개념 중 어디에 가까운지 논의하시오.
인터뷰 대상의 현재 모습을 늙은이, 어르신, 엑티브 시니어, 선배시민의 개념에 비추어 볼 때, 인터뷰 대상이 명확하게 어디에 속한다고 단언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 이 네 개념 중에서 가장 가능성이 낮아 보이는 개념부터 다시 살펴보면서, 하나씩 배제해 나가는 방식으로 인터뷰 대상이 어떤 개념에 더 가까운지 분석해 나갔다.
먼저 선배시민은 자신과 이웃을 넘어서서 국가공동체의 시민들의 삶에 관심을 갖고, 선배의 지혜와 책임을 다하려는 시민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인터뷰 대상의 삶의 경로에서 공동체에 대한 관심은 보이지 않고, 개인의 삶의 안정성에 집중하여 살아가는 것이 확인되므로, 인터뷰 대상을 선배시민으로 보기는 어렵다.
엑티브 시니어는 경제력과 학력, 그리고 능력이 있는 노인으로, 성공한 노화, 생산적 노화, 활동적 노화의 개념에 해당한다. 액티브 시니어는 자신의 여가, 취미, 자기계발에만 관심을 가지며, 공동체의 문제나 타인에 대해 무관심할 수 있다. 인터뷰 대상의 경우 공동체나 타인의 문제에 무관하다는 공통점 외에는 엑티브 시니어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인터뷰 대상에게 여가나 취미 활동은 부재하고, 자기계발에도 관심이 없으며, 성공이라고 말할 만큼 경제력을 확보한 상태도 아니다. 따라서 인터뷰 대상은 엑티브 시니어가 말할 수도는 없다.
어르신을 지혜와 존경, 현자라는 개념에서 보면, 인터뷰 대상은 다양한 경험을 하며 가장으로서 한 가정을 무탈하게 이끌어 왔다는 의미에서 지혜와 존경의 대상으로서 어르신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노인이라는 말을 대신하여 인터뷰 대상을 좀 더 높여 부르는 상징적 의미에 그친다는 생각이 든다. 인터뷰 대상자 또한 연령을 떠나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경제활동만 하고 있으므로, 연령층화이론과 역할이론에서 말하는 노년층에 해당하는 일정한 역할을 하는 존재라고 보기는 어렵다.
늙은이는 늙고 병들고 경제력이 없어 인간다운 삶을 하지 못해 돌봄의 대상이 되는 존재이다. 인터뷰 대상은 일을 계속 하지 않으면 기본적인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제적 상태에 있다. 특히 만성질환을 겪고 있는 부인의 의료비까지 고려하면, 저임금 노동이라도 마다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인터뷰 대상에게 주어질 수 있는 일자리는 경비원 같은 체력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단순노동직이다. 이런 일자리도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마저도 잃어버리면, 인터뷰 대상 또한 스스로 책임을 질 수 없는 노인이 되어 사회의 돌봄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터뷰 대상은 노인의 네 개념 중에서 늙은이 개념이 현재로서는 가장 가까워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4. 참고문헌
유범상·문병기(2017). 사회복지정책론.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
원영희(1996). 시사기획=점점 벼랑 끝으로 몰리는 노인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53015
유범상·유해숙·이현숙·고상진·정영정·김정효(2017). 선배시민대학 실천론 개발보고서. 한국노인복지관협회.
성미애·이현숙, 2019, 노인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선권, 2012, 「사회노년학 이론의 갈래, 추세, 정책적 함의」,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2, 172-200.
Cottrell, L. S., Jr., 1942, \"The adjustment of the individual to his age and sex rol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 617-620.
3. 인터뷰 대상이 4개의 노인 개념 중 어디에 가까운지 논의하시오.
인터뷰 대상의 현재 모습을 늙은이, 어르신, 엑티브 시니어, 선배시민의 개념에 비추어 볼 때, 인터뷰 대상이 명확하게 어디에 속한다고 단언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 이 네 개념 중에서 가장 가능성이 낮아 보이는 개념부터 다시 살펴보면서, 하나씩 배제해 나가는 방식으로 인터뷰 대상이 어떤 개념에 더 가까운지 분석해 나갔다.
먼저 선배시민은 자신과 이웃을 넘어서서 국가공동체의 시민들의 삶에 관심을 갖고, 선배의 지혜와 책임을 다하려는 시민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인터뷰 대상의 삶의 경로에서 공동체에 대한 관심은 보이지 않고, 개인의 삶의 안정성에 집중하여 살아가는 것이 확인되므로, 인터뷰 대상을 선배시민으로 보기는 어렵다.
엑티브 시니어는 경제력과 학력, 그리고 능력이 있는 노인으로, 성공한 노화, 생산적 노화, 활동적 노화의 개념에 해당한다. 액티브 시니어는 자신의 여가, 취미, 자기계발에만 관심을 가지며, 공동체의 문제나 타인에 대해 무관심할 수 있다. 인터뷰 대상의 경우 공동체나 타인의 문제에 무관하다는 공통점 외에는 엑티브 시니어와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인터뷰 대상에게 여가나 취미 활동은 부재하고, 자기계발에도 관심이 없으며, 성공이라고 말할 만큼 경제력을 확보한 상태도 아니다. 따라서 인터뷰 대상은 엑티브 시니어가 말할 수도는 없다.
어르신을 지혜와 존경, 현자라는 개념에서 보면, 인터뷰 대상은 다양한 경험을 하며 가장으로서 한 가정을 무탈하게 이끌어 왔다는 의미에서 지혜와 존경의 대상으로서 어르신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노인이라는 말을 대신하여 인터뷰 대상을 좀 더 높여 부르는 상징적 의미에 그친다는 생각이 든다. 인터뷰 대상자 또한 연령을 떠나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경제활동만 하고 있으므로, 연령층화이론과 역할이론에서 말하는 노년층에 해당하는 일정한 역할을 하는 존재라고 보기는 어렵다.
늙은이는 늙고 병들고 경제력이 없어 인간다운 삶을 하지 못해 돌봄의 대상이 되는 존재이다. 인터뷰 대상은 일을 계속 하지 않으면 기본적인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제적 상태에 있다. 특히 만성질환을 겪고 있는 부인의 의료비까지 고려하면, 저임금 노동이라도 마다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인터뷰 대상에게 주어질 수 있는 일자리는 경비원 같은 체력이 크게 필요하지 않은 단순노동직이다. 이런 일자리도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마저도 잃어버리면, 인터뷰 대상 또한 스스로 책임을 질 수 없는 노인이 되어 사회의 돌봄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인터뷰 대상은 노인의 네 개념 중에서 늙은이 개념이 현재로서는 가장 가까워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4. 참고문헌
유범상·문병기(2017). 사회복지정책론.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
원영희(1996). 시사기획=점점 벼랑 끝으로 몰리는 노인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53015
유범상·유해숙·이현숙·고상진·정영정·김정효(2017). 선배시민대학 실천론 개발보고서. 한국노인복지관협회.
성미애·이현숙, 2019, 노인복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선권, 2012, 「사회노년학 이론의 갈래, 추세, 정책적 함의」,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2, 172-200.
Cottrell, L. S., Jr., 1942, \"The adjustment of the individual to his age and sex rol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 617-6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