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외부문이 존재하지 않는 어떤 폐쇄경제의 거시경제상황이 다음과 같다(Y는 국민소득, i는 이자율).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총 10점)
? 소비함수: C=100+0.5(Y-T) ? 조세: T=100
? 투자함수: I=300-50i ? 정부지출: G=100
? 화폐수요: (Md/P)=0.5Y-50i ? 물가수준: P=1
? 화폐공급: Ms=250
(1) IS 곡선과 LM 곡선의 식을 각각 도출하라.(5점)
(2) 균형국민소득과 균형이자율은 얼마인가?(5점)
2.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운 변동환율제도에서 1) 확장적 재정정책을 시행한 경우와 2) 확장적 통화정책을 시행한 경우 나타나는 효과를 IS-LM-BP 모형을 통해 각각 그림으로 설명하시오.(총 10점)
(1)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운 변동환율제도에서 확장적 재정정책
(2)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운 변동환율제도에서 확장적 통화정책
3. 폐쇄경제의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이용하여, 초기 경제가 완전고용상태인 상황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을 시행한 경우의 장단기 균형에 대한 효과를 그림을 통해 설명하시오.(총 10점)
4. 참고문헌
? 소비함수: C=100+0.5(Y-T) ? 조세: T=100
? 투자함수: I=300-50i ? 정부지출: G=100
? 화폐수요: (Md/P)=0.5Y-50i ? 물가수준: P=1
? 화폐공급: Ms=250
(1) IS 곡선과 LM 곡선의 식을 각각 도출하라.(5점)
(2) 균형국민소득과 균형이자율은 얼마인가?(5점)
2.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운 변동환율제도에서 1) 확장적 재정정책을 시행한 경우와 2) 확장적 통화정책을 시행한 경우 나타나는 효과를 IS-LM-BP 모형을 통해 각각 그림으로 설명하시오.(총 10점)
(1)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운 변동환율제도에서 확장적 재정정책
(2)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운 변동환율제도에서 확장적 통화정책
3. 폐쇄경제의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이용하여, 초기 경제가 완전고용상태인 상황에서 확장적 재정정책을 시행한 경우의 장단기 균형에 대한 효과를 그림을 통해 설명하시오.(총 10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총공급곡선이고, SAS는 우상향의 단기 총공급곡선이며, AD는 우하향의 총수요곡선이다.
총수요곡선과 장기 총공급곡선이 만나는 점 E에서 경제의 장기균형이 이루어진다. 장기에서는 명목임금과 생산물가격의 신축성과 물가에 대한 완전정보로 총공급곡선이 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에서 수직이므로 균형국민소득은 완전고용 국민소득 와 일치한다. 또한 점 E에서 총수요곡선과 장기 총공급곡선이 만나므로 생산물시장·화폐시장·노동시장은 E에서 동시에 균형을 이룬다. 또한 E는 현재 실제 물가가 예상물가와 일치하여 장기균형이면서 단기균형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거시경제충격이 총수요곡선이나 단기 총공급곡선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면 단기균형은 장기균형과 달라질 수 있다.
정부가 확장적 재정정책을 통해 정부지출을 에서 ′로 증가시키면, 그림3의 (a)처럼 IS곡선은 우측이동하고 총수요는 완전고용 국민소득 보다 높은 까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총수요곡선은 점 G를 지나 우측이동한다. 이제 원래의 물가수준 에서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하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물가는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노동시장에서는 그림(b)처럼 노동수요곡선이 상방이동하여 점 F를 지날 때까지 이동하지만, 단기에서 명목임금이 경직적이므로 노동공급곡선은 수평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고용량은 에서 으로 증가하고 생산량은 그림(d)처럼 에서 으로 증가한다.
물가 상승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생산물시장에서는 그림(c)처럼 균형점이 E에서 F로 단기 총공급곡선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경제 내의 통화량이 일정한 상황에서 물가 상승(→)에 따라 실질잔고가 감소( → )하므로, 그림(a)처럼 LM 곡선은 소폭 상방이동하면서 F가 단기균형점이 된다.
그러나 단기균형점 F에서는 국민소득이 완전고용 국민소득 보다 높으므로 노동시장에는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명목임금이 신축적이면 노동자는 물가 상승을 감안하여 임금상승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그림(b)처럼 노동공급곡선은 상방이동한다. 이에 따라 명목임금은 물가상승률만큼 까지 상승하고, 고용량은 원래 수준인 로 감소한다. 이때 그림(c)의 생산물시장에서는 명목임금의 상승으로 단기 총공급곡선이 상방이동하면서, 경제의 균형은 총수요곡선 AD\'과 장기 총공급곡선 LAS가 만나는 점 E′로 이동한다. 그 결과 국민소득은 원래의 완전고용 국민소득 수준으로 돌아간다. 그 과정에서 물가는 까지 상승하면서, 그림(a)의 LM 곡선은 총수요수준이 완전고용 국민소득 와 일치하는 LM()까지 상방이동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확장적 재정정책에 의해 단기적으로는 소득과 고용이 증가하고 이자율과 물가는 상승한다. 소득의 증가로 소비도 증가하나 구축효과에 의해 이자율 상승으로 투자는 감소한다. 그러나 장기에서는 명목임금이 신축적이므로 명목임금과 물가는 동일 비율로 상승하지만, 소득과 고용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4. 참고문헌
박강우, 김경수(2016), 거시경제학,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경환, 김종석 옮김(2021), 맨큐의 경제학 9판, CENGAGE.
총수요곡선과 장기 총공급곡선이 만나는 점 E에서 경제의 장기균형이 이루어진다. 장기에서는 명목임금과 생산물가격의 신축성과 물가에 대한 완전정보로 총공급곡선이 완전고용 국민소득수준에서 수직이므로 균형국민소득은 완전고용 국민소득 와 일치한다. 또한 점 E에서 총수요곡선과 장기 총공급곡선이 만나므로 생산물시장·화폐시장·노동시장은 E에서 동시에 균형을 이룬다. 또한 E는 현재 실제 물가가 예상물가와 일치하여 장기균형이면서 단기균형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거시경제충격이 총수요곡선이나 단기 총공급곡선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면 단기균형은 장기균형과 달라질 수 있다.
정부가 확장적 재정정책을 통해 정부지출을 에서 ′로 증가시키면, 그림3의 (a)처럼 IS곡선은 우측이동하고 총수요는 완전고용 국민소득 보다 높은 까지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총수요곡선은 점 G를 지나 우측이동한다. 이제 원래의 물가수준 에서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하므로 시간이 지나면서 물가는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노동시장에서는 그림(b)처럼 노동수요곡선이 상방이동하여 점 F를 지날 때까지 이동하지만, 단기에서 명목임금이 경직적이므로 노동공급곡선은 수평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고용량은 에서 으로 증가하고 생산량은 그림(d)처럼 에서 으로 증가한다.
물가 상승으로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생산물시장에서는 그림(c)처럼 균형점이 E에서 F로 단기 총공급곡선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경제 내의 통화량이 일정한 상황에서 물가 상승(→)에 따라 실질잔고가 감소( → )하므로, 그림(a)처럼 LM 곡선은 소폭 상방이동하면서 F가 단기균형점이 된다.
그러나 단기균형점 F에서는 국민소득이 완전고용 국민소득 보다 높으므로 노동시장에는 초과수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명목임금이 신축적이면 노동자는 물가 상승을 감안하여 임금상승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그림(b)처럼 노동공급곡선은 상방이동한다. 이에 따라 명목임금은 물가상승률만큼 까지 상승하고, 고용량은 원래 수준인 로 감소한다. 이때 그림(c)의 생산물시장에서는 명목임금의 상승으로 단기 총공급곡선이 상방이동하면서, 경제의 균형은 총수요곡선 AD\'과 장기 총공급곡선 LAS가 만나는 점 E′로 이동한다. 그 결과 국민소득은 원래의 완전고용 국민소득 수준으로 돌아간다. 그 과정에서 물가는 까지 상승하면서, 그림(a)의 LM 곡선은 총수요수준이 완전고용 국민소득 와 일치하는 LM()까지 상방이동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확장적 재정정책에 의해 단기적으로는 소득과 고용이 증가하고 이자율과 물가는 상승한다. 소득의 증가로 소비도 증가하나 구축효과에 의해 이자율 상승으로 투자는 감소한다. 그러나 장기에서는 명목임금이 신축적이므로 명목임금과 물가는 동일 비율로 상승하지만, 소득과 고용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4. 참고문헌
박강우, 김경수(2016), 거시경제학,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경환, 김종석 옮김(2021), 맨큐의 경제학 9판, CENGAG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