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실습 A+] CRF 만성신부전 케이스, ESRD, 간호과정, 체액과다, 감염의 위험, 지식부족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실습 A+] CRF 만성신부전 케이스, ESRD, 간호과정, 체액과다, 감염의 위험, 지식부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진단검사
5. 임상증상
6. 치료와 간호

Ⅱ. 간호사례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활동과 휴식
4. 산소요구
5. 영양과 배설욕구
6. 안전과 안정욕구
7. 대상자 흐름도(경과기록) 작성
8. 진단검사
9. 약물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1.77 ▲
단기간 체중증가가 관찰됨.
1/6
1/15
90.7 kg
93.5 kg
I/O positive
(적은 소변 배출량이 관찰됨.)
Intake
Output
차이
1/6
1900
1650
+250
1/7
1650
1010
+640
1/8
1950
1450
+500
간호진단
소변 배출 감소와 관련된 체액과다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I/O negative를 유지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I/O 차이를 200cc 이내로 유지할 것이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①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한다.
② 매일 아침 공복 상태의 체중을 측정한다.
③ 6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④ 하지 피부 및 부종을 사정한다.
⑤ 하지 부종 완화 자세를 교육한다.
⑥ BUN, 크레아티닌, 전해질수치, 헤모글로빈 수치, 헤마토크릿을 모니터한다.
이론적 근거
① 배설량보다 섭취량이 많을 때, 과도한 수분이 조직에 남는다.
② 섭취와 배설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비교한다.
③ V/S을 측정하여 혈압과 맥박, 온도, 호흡의 변화를 확인하며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알 수 있다.
④ 체액이 조직간질에 고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부종을 형성하는 인자는 혈장교질 삼투압의 감소, 모세혈관 수압의 증가, 모세혈관 벽의 투과성 증가 등이다.
⑤ 누워서 다리를 올리고 쉴 경우, 400mL의 혈장량이 감소되므로 하지 부종이 감소된다.
⑥ 체내 전해질 수치를 비교해서 신기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① 매일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함.
Intake
Output
차이
1/8
1950
1450
+500
1/9
1700
1250
+450
1/10
2200
1430
+770
④ 하지 정강이 부분에 부종 사정함. (1+,1+)
간호평가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I/O negative를 유지할 것이다. (확인 못함.)
단기 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I/O 차이를 570cc 전후로 확인됨. (목표 달성 못함.)
#2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새살이 돋는지 가려워”
“긁고 싶어”
-대상자가 수술부위를 가려워하는 모습 관찰함
-1일 4회 복막투석 하는 모습 관찰함
-혈액검사 결과
참고범위
1/3
1/13
WBC
[4.0-10.0]E9L
:4.92
: 6.37
RBC
[4.2-5.7]E12L
:3.50▼
:3.29▼
Hb
[13.5-17.0]g/dL
:10.1▼
:9.7▼
Hct
[40-53]%
:32.9▼
;30▼
간호진단
복막투석 카테터 관리와 관련된 수술부위 감염의 위험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감염의 징후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POD 10일 이내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① 4시간마다 V/S을 측정한다.
② 카테터 삽입 부위를 매일 소독하고 관찰한다.
③ 현존하는 감염위험요인과 과거의 감염위험요인을 사정한다.
④ 혈액검사와 혈액배양검사 결과를 파악한다.
⑤ 약물 복용력을 사정한다.
⑥ 손 씻기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 후 환자는 스스로 할 수 있다.
이론적 근거
① V/S을 측정하여 혈압과 맥박, 온도, 호흡의 변화를 확인하며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알 수 있다. 37.7도 이상의 체온은 감염의 징후일 수 있다.
② 수술 부위를 감염으로부터 예방할 수 있고, 발적, 부기, 통증증가, 고름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③ 대상자의 감염위험요인을 파악해야 간호처치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다.
④ WBC의 정상범위[4.0-10.0]E9L을 초과하면 감염 위험도가 높다.
⑤ 항암제, 항종양제, 스테로이드 등 면역 저하와 관련된 약물을 복용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⑥ 손으로 균을 쉽게 옮길 수 있고, 카테터는 무균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④ 혈액검사 결과를 파악함.(RBC, Hb 감소: 출혈의심↑, Hct 감소: 수술부위 감염 증가↑
⑤ 약물 복용력을 사정함. (후릭스정, 딜라트렌정 12.5mg, 네프로정, 맥스디오정 160mg, 아토르바정 10mg, 아스피린 프로텍트정 100mg, 페브릭정 80mg)
⑥ 손씻기 교육하고서 대상자 스스로 WHO 6단계로 손씻기 할 수 있음.
간호평가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감염의 징후와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목표달성 확인 못함.)
단기목표 : 대상자는 POD 5일 이내에 WBC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함.(목표달성)
#3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병원에서 투석 몇 번 더 받다가 이제 집에서 기계로 투석하면 돼”
1일 4회 복막투석 함.
복막투석의 합병증에 대해 설명하지 못함.
복막투석도관 관리에 대한 중요성
을 인식하지 못함.
간호진단
복막투석 교육과 관련된 지식 부족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무균법을 지키며 복막투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복막투석의 합병증에 대해 말할 것이다.
간호중재에
대한 계획
①복막투석에 대한 지식수준을 파악한다.
② 대상자 및 보호자가 학습에 함께 참여하도록 지지한다.
③ 병원에서 제작한 투석 안내문을 제공한다.
④ 퇴원 후, 대상자가 집에서 스스로 투석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⑤ 복막투석 합병증에 대해 교육함.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지식수준에 알맞게 교육하기 위함이다.
② 환자의 치료에 가족의 관심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③ 정확한 투석에 대한 정보를 대상자에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④ 대상자에게 필요한 퇴원간호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⑤ 합병증을 알고 예방하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① 복막투석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복막염의 증상에 대해 설명하지 못함.
⑤ 복막투석의 합병증에 대해 교육함.
간호평가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무균법을 지키며 복막투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목표달성 하지 못함)
단기 목표 :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복막투석의 합병증으로 “발열, 복통”이라고 말했음. (목표 달성)
Ⅳ. 참고문헌
황옥남 외 9명, 『제7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2019), 148~169p
권소희 외 8명, 『핵심 건강사정』, 수문사(2019)
성미혜 외 4명,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2018)

키워드

CRF,   ESRD,   만성신부전,   투석,   감소,   증가,   검사
  • 가격4,9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22.09.19
  • 저작시기202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4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