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실습 A+] IDM,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 케이스, 간호진단 2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피부통합성장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실습 A+] IDM,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 케이스, 간호진단 2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피부통합성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 간호
2. 기저귀 피부염

Ⅱ. 간호 사례연구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병력
4.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다.
06:00
10:00
14:00
18:00
22:00
02:00
146-30-36.5
152-48-36.8
150-48-36.6
148-50-36.4
136-42-36.6
140-42-36.6
3. 저혈당증의 임상증상과 징후 그리고 행동변화에 대해 관찰한다.
⇒ 울음소리가 약하고 쳐져 보이며 표정을 찡그리는 것을 관찰함. 수유를 거부하는 모습이 관찰됨.
4. 대상자에게 조용하고 따뜻한 환경을 제공한다. (온도 : 24~26도, 습도 : 50~60%)
⇒ 1시간마다 온도와 습도를 확인하고, 대상자를 관찰하여 필요시 워머를 제공함.
5. 분유수유를 거부하는 요인 사정 결과
⇒ 배앓이로 인해 분유수유를 거부하는 것임을 확인함.
6. 분유수유를 거부하는 요인의 해결책을 사용하여 분유수유를 한다. (1회 90cc)
⇒ 분유수유 하는 도중에 틈을 두고, 트름을 시켜서 배 속의 가스를 배출하도록 한다. 또한, 젖병에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분유를 제조한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에 분유수유를 거부하지 않고 섭취했다. (거부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해결책을 마련함.)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정상 혈당 수치(50~90mg/dL)를 유지했다. (수유를 거부할 당시에는 48mg/dL로 수치가 하강했으나, 대상자가 수유에 적응하고서는 정상 수치를 유지하였음.)
(2) 장기간 기저귀 착용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기저귀 갈아주면서 보니까 밴드가 닿는 쪽에 피부가 빨갛고 진물이 약간 나왔더라고요.”
“애도 쓰라린지 자주 울고 보채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대상자는 현재 신생아로 장기간 기저귀를 착용 중임을 관찰함.
기저귀 부위의 피부가 습하고 붉어져 있으며 기저귀 자국이 생긴 것을 관찰함.
1/28 비판텐 연고 5% 30g을 발라줌.
기저귀 밴드가 닿는 허리에 진물이 관찰됨.
대상자는 평균적으로 하루에 대변 3회, 소변 6회 정도를 보는 것으로 관찰됨.
V/S
간호진단
장기간 기저귀 착용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간호목표
단기
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에 기저귀에 의한 진물이 호전된다.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피부 통합성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기저귀 교환 전후에 물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씻는다.
1시간마다 기저귀를 확인하고 새 기저귀로 갈아주면서 피부를 관찰하고 사정한다.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흡수성이 좋은 기저귀를 사용하여 피부가 습도에 노출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2시간마다 20분씩 기저귀를 벗기고 피부를 공기 중에 노출하며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목욕을 할 때, 중성비누와 물을 사용한다. (향료가 섞인 비누나 거친 수건은 피부에 자극을 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대변으로 인한 기저귀를 갈 때, 미온수의 물로 가볍게 헹구고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 새 기저귀로 교체한다. (알코올이 함유된 유아용 물티슈와 로션은 발진을 악화시켜 통증을 초래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발적이 심할 경우, 처방받은 연고나 크림을 발라준다.
보호자에게 손위생을 교육한다.
손씻기 방법, 언제 해야하는지
<이론적 근거>
미생물 전이를 막기 위함이다.
기저귀에 의한 발진, 진물 등을 사정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사정하기 위함이다.
대소변으로 인해 젖은 기저귀를 장시간 착용하면 피부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자극과 마찰이 커져 찰과상이 발생하며 세균의 증가를 초래하여 피부를 짓무르게 만들고 상하게 하기 때문이다.
기저귀피부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알코올이 함유된 물티슈나 로션은 발진을 악화시켜 통증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항진균제를 사용한 연고나 크림은 피부자극을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미생물 전이를 막기 위함이다.
간호중재
1. 기저귀 교환 전후에 물과 비누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씻는다.
2. 1시간마다 기저귀를 확인하고 새 기저귀로 갈아주면서 피부를 관찰하고 사정한다.
1/29 07:00
1/29 08:00
1/29 09:00
소변으로 인해 기저귀 교체함. 피부가 붉고 기저귀 자국이 남으며 허리 쪽에 진물이 남.
기저귀가 깨끗하고 대소변이 없으므로, 기저귀를 벗겨서 공기 중에 피부를 노출시킴.
기저귀 교체함. 허리 쪽에 진물이 보이지 않고 피부가 붉음.
3.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06:00
10:00
14:00
18:00
22:00
02:00
146-30-36.5
152-48-36.8
150-48-36.6
148-50-36.4
136-42-36.6
140-42-36.6
4. 초강력 흡수성 1회용 기저귀를 사용해서 습도에 의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한다.
5. 2시간마다 20분씩 기저귀를 벗기고 피부를 공기 중에 노출시켰다.
⇒ 피부 노출에 의한 저체온증을 예방하기 위해, 신생아실 온도(24~26도)와 습도(50~60%)를 균일하게 유지시켰음.
6. 하루 1회 목욕 시, 미온수와 중성비누만을 이용하여 목욕시켰다.
⇒ 목욕한 후,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새 기저귀를 착용시켰음.
7. 대변으로 인한 기저귀를 갈 때, 미온수의 물로 가볍게 헹구고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 새 기저귀로 교체했다. (알코올이 함유된 물티슈, 로션은 사용하지 않음.)
8. 1/29 07:00 밴드 부위 허리에 진물이 보여서 처방받은 비판텐 연고 5%를 발라주었다.
9. 보호자에게 손위생을 교육한다.
① 손씻기 6단계를 교육한 후, 교육자료를 제공한다.
② 손을 씻어야 하는 상황을 교육한다. (아기와 접촉하기 전후, 체액이나 분비물이 손에 닿은 경우)
간호평가
단기 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기저귀에 의한 진물이 호전되었다.
⇒ 대상자의 기저귀 착용 부위 피부를 사정한 결과 1/31 이후로, 진물이 보이지 않았음.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피부 통합성을 유지하지 못했다. (목표달성X)
⇒ 진물과 발진은 없어졌으나, 밴드 부위가 닿는 허리가 붉어보임.
Ⅲ. 참고문헌
박충선 외(2018), 아동건강간호학Ⅰ, 퍼시픽북스
박충선 외(2018), 아동건강간호학Ⅱ, 퍼시픽북스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2020), 여성건강간호학Ⅱ, 수문사

키워드

  • 가격5,9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2.09.19
  • 저작시기202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4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