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
원인 & 병태
진단
검사
치료
경과, 합병증
예방방법
생활가이드
식이요법
식생활 실천사항
당뇨병이 태아 및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
본론
GDM환자 사례 간호정보 조사
진단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EKG. 태아상태 측정, 당뇨기록,)
식이요법
치료
GDM환자 발생할 수 있는 간호과정
객관적 & 주관적
진단
목표
중재 & 근거
평가
결론
참고문헌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
원인 & 병태
진단
검사
치료
경과, 합병증
예방방법
생활가이드
식이요법
식생활 실천사항
당뇨병이 태아 및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
본론
GDM환자 사례 간호정보 조사
진단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EKG. 태아상태 측정, 당뇨기록,)
식이요법
치료
GDM환자 발생할 수 있는 간호과정
객관적 & 주관적
진단
목표
중재 & 근거
평가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4. DM 치료 기록
11/1 4pm 130
7pm 92
11/2 6Am 92
9Am121
11Am
2Pm
식이요법
11/1 ->저녁부터 DM (Reg)2000kcal
11/2 아침 NPO 점심 DM(Reg) ->NPO는 채혈 위해.
치료
약물치료 -(XT3GO)-> 글루오렌지(혈당강하제) 복용
조기이상 -> 식후 30분 후 운동
식이요법 -> 당뇨 식이
GDM환자 발생할 수 있는
간호과정 #1
주&객관적자료
(Subjective&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임신하면 먹고 싶고 소변을 자주 본다는 건 정상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가 산전관리 하던 중에 임신성 당뇨병이라고 해서 큰 병원 가보라고
해서 입원하게 됐어요.
urin 검사 glucose + 검출.
체중 증량
다식,다뇨,다갈 증상있다함
현재 임신 중 : 26+6wks
EDC : 1/28일
간호진단
(Nursing Dx.)
뇌 손상과 관련된 신체 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합병증 없이 임신을 유지 시킨다.
환자는 손상부위가 없다.
정상 혈당으로 돌아올 것이다.
정상 신생아를 분만 할 것이다.
자가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식이요법, 운동,인슐린)
간호중재&근거
(Nursing Intervention)
1.혈당치 하루 4번 측정 한다(아침,점심, 저녁, 취침 전)
.(저혈당,고혈당예방)
공복시 80~110mg/dl
식후 2시간 150~160mg/dl 유지시킴
2.영양사와 함께 식이요법에 대해 교육한다.
(탄수화물 50%, 지방 30%, 단백질 20%)->당뇨식이 준다
3.규칙적인 운동을 시킨다. (단, 고혈압 합병증시 중단)
4.활력징후를 매일 측정 한다.(생리적 징후 관찰)
5.GTT (당 내성 검사)를 한다.(1회/2주)->용량 조절위해
6.요 검사를 한다.(4회/1일)->혈당수준 측정(세균10만이 상시 ->항생제치료필요)
7.태아의 건강 상태를 알려 준다.(30~32주에 24시간 소변모아 에스트리올 측정 ,기형, 양수과다증, 사정)
8.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9.자가 관리 할 수 있도록 교육 한다.
주의 : 임부에서의 체중감소는 추천하지 않는 다 (산성증, 케톤혈증이 올 수 있다)
평가
(Evaluation)
정상 혈당으로 돌아 왔다.
자가 관리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정상 신생아가 분만 되었다.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산모의 분만 후 에도 신생아 상태 평가와 관리를 위해 협조해야 하며
상태가 안정될 때 까지 주의 깊은 관찰과 관리가 필요 할 것이며 모유 수유중 에 저혈당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유 전 우유나 스틱을 산모에게 먹일 수 있도록 한다. 산모로 하여금 자주 신생아실을 방문하여 모아 애착을 도모 하도록 도와 주여야 한다.
의료진은 당뇨 합병증 예방에 주의를 기울 여야 하며 정상 분만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참고 문헌
여성건강간호학 8단원 임신과 관련된 질환
영양과 식이(당뇨병식이)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간호중재
진단과 검사
해부&생리 요약집
11/1 4pm 130
7pm 92
11/2 6Am 92
9Am121
11Am
2Pm
식이요법
11/1 ->저녁부터 DM (Reg)2000kcal
11/2 아침 NPO 점심 DM(Reg) ->NPO는 채혈 위해.
치료
약물치료 -(XT3GO)-> 글루오렌지(혈당강하제) 복용
조기이상 -> 식후 30분 후 운동
식이요법 -> 당뇨 식이
GDM환자 발생할 수 있는
간호과정 #1
주&객관적자료
(Subjective&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Objective data
“임신하면 먹고 싶고 소변을 자주 본다는 건 정상적인 것으로 알고 있다가 산전관리 하던 중에 임신성 당뇨병이라고 해서 큰 병원 가보라고
해서 입원하게 됐어요.
urin 검사 glucose + 검출.
체중 증량
다식,다뇨,다갈 증상있다함
현재 임신 중 : 26+6wks
EDC : 1/28일
간호진단
(Nursing Dx.)
뇌 손상과 관련된 신체 손상 위험성
간호목표
(Goals-objectives)
합병증 없이 임신을 유지 시킨다.
환자는 손상부위가 없다.
정상 혈당으로 돌아올 것이다.
정상 신생아를 분만 할 것이다.
자가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식이요법, 운동,인슐린)
간호중재&근거
(Nursing Intervention)
1.혈당치 하루 4번 측정 한다(아침,점심, 저녁, 취침 전)
.(저혈당,고혈당예방)
공복시 80~110mg/dl
식후 2시간 150~160mg/dl 유지시킴
2.영양사와 함께 식이요법에 대해 교육한다.
(탄수화물 50%, 지방 30%, 단백질 20%)->당뇨식이 준다
3.규칙적인 운동을 시킨다. (단, 고혈압 합병증시 중단)
4.활력징후를 매일 측정 한다.(생리적 징후 관찰)
5.GTT (당 내성 검사)를 한다.(1회/2주)->용량 조절위해
6.요 검사를 한다.(4회/1일)->혈당수준 측정(세균10만이 상시 ->항생제치료필요)
7.태아의 건강 상태를 알려 준다.(30~32주에 24시간 소변모아 에스트리올 측정 ,기형, 양수과다증, 사정)
8.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9.자가 관리 할 수 있도록 교육 한다.
주의 : 임부에서의 체중감소는 추천하지 않는 다 (산성증, 케톤혈증이 올 수 있다)
평가
(Evaluation)
정상 혈당으로 돌아 왔다.
자가 관리에 대해 설명 할 수 있다.
정상 신생아가 분만 되었다.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산모의 분만 후 에도 신생아 상태 평가와 관리를 위해 협조해야 하며
상태가 안정될 때 까지 주의 깊은 관찰과 관리가 필요 할 것이며 모유 수유중 에 저혈당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유 전 우유나 스틱을 산모에게 먹일 수 있도록 한다. 산모로 하여금 자주 신생아실을 방문하여 모아 애착을 도모 하도록 도와 주여야 한다.
의료진은 당뇨 합병증 예방에 주의를 기울 여야 하며 정상 분만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참고 문헌
여성건강간호학 8단원 임신과 관련된 질환
영양과 식이(당뇨병식이)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간호중재
진단과 검사
해부&생리 요약집
키워드
추천자료
(NGO) 시민단체의 정의, 종류와 활동내용 및 시민단체 방문기 소감문 20편 수록 (시민단체-수...
유아를 위한 바람직한 식생활 및 식단 예
(지역사회영양학A형)우리 나라의 질병발생 패턴의 변화와 관련하여 지역사회에서 실시되는 영...
[건강보조식품][건강보조식품의 관리기준][본초][보기약][건강보조식품의 폐해]건강보조식품...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
[과제중심모델][위기개입모델]과제중심모델과 위기개입모델의 정의와 특징 및 적용 과정과 사...
(집단사회복지실천) 사회적목표모델 이론 및 사례적용 파워포인트 PPT자료
교정복지실천과 실천방법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권익옹호, 인권 및 권익옹호에 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
학습장애 상담 실천 사례보고서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및 정의, 특성
사회복지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윤리적 쟁점 및 갈등을 경험하게 됩니다. 실천과정에서...
집단 발달단계- 사회복지 실천기술,집단상담의 문제 상황,사회복지실천의 평가,브랜드마케팅,...
[[건강증진론4]]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식생활 실천인구비율 관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