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건강보조식품의 관리기준
1. 기본사항
2. 품질관리
1) 원료의 품질관리
2) 제품의 품질관리
Ⅱ. 건강보조식품의 정의
Ⅲ. 건강보조식품의 역사
Ⅳ. 건강보조식품의 분류
1. 정제어유 가공식품
1) 뱀장어유 가공식품
2)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및 도코헥사엔산(DHA) 함유식품
2. 로얄젤리 가공식품
3. 효모식품
4. 화분가공식품
5. 스쿠알렌 식품
6. 효소식품
7. 유산균식품
8. 클로렐라식품
1) 클로렐라 식품
2) 스피루리나 식품
9. 감마리놀렌산식품
10. 배아가공식품
1) 배아유식품
2) 배아식품
11. 대두레시틴 가공식품
12. 옥타코사놀식품
13. 알콕시글리세롤식품
14. 포도씨유식품
15. 식물추출물발효식품
16. 단백식품류
1) 단백질식품
2) 단백분해식품
3) 뮤코다당 단백식품
17. 엽록소함유식품
18. 버섯가공식품
19. 알로에식품
20. 매실추출물식품
21. 칼슘함유식품
22. 자라가공식품
23. 베타카로틴식품
24. 키토산가공식품
25. 프로폴리스식품
Ⅴ. 본초
1. 해표약(解表藥)[발표약(發表藥)]
2. 청열약(淸熱藥)
3. 사하약(瀉下藥)
4. 거풍습약
5.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6. 이수삼습약(利水·濕藥)
7. 온리약(溫裏藥)[거한약(祛寒藥)]
8. 보익약(補益藥)
9. 이기약(理氣藥)
10. 소식약(消食藥)
11.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이혈약(利血藥)]
12.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13. 안신진경약(安神鎭驚藥)
Ⅵ. 보기약
1. 감초
2. 대추(大棗)
3. 백출
4. 백편두
5. 산약(산약)
6. 인삼(인삼)
7. 황기
Ⅶ. 건강보조식품의 폐해
참고문헌
1. 기본사항
2. 품질관리
1) 원료의 품질관리
2) 제품의 품질관리
Ⅱ. 건강보조식품의 정의
Ⅲ. 건강보조식품의 역사
Ⅳ. 건강보조식품의 분류
1. 정제어유 가공식품
1) 뱀장어유 가공식품
2) 에이코사펜타엔산(EPA) 및 도코헥사엔산(DHA) 함유식품
2. 로얄젤리 가공식품
3. 효모식품
4. 화분가공식품
5. 스쿠알렌 식품
6. 효소식품
7. 유산균식품
8. 클로렐라식품
1) 클로렐라 식품
2) 스피루리나 식품
9. 감마리놀렌산식품
10. 배아가공식품
1) 배아유식품
2) 배아식품
11. 대두레시틴 가공식품
12. 옥타코사놀식품
13. 알콕시글리세롤식품
14. 포도씨유식품
15. 식물추출물발효식품
16. 단백식품류
1) 단백질식품
2) 단백분해식품
3) 뮤코다당 단백식품
17. 엽록소함유식품
18. 버섯가공식품
19. 알로에식품
20. 매실추출물식품
21. 칼슘함유식품
22. 자라가공식품
23. 베타카로틴식품
24. 키토산가공식품
25. 프로폴리스식품
Ⅴ. 본초
1. 해표약(解表藥)[발표약(發表藥)]
2. 청열약(淸熱藥)
3. 사하약(瀉下藥)
4. 거풍습약
5.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6. 이수삼습약(利水·濕藥)
7. 온리약(溫裏藥)[거한약(祛寒藥)]
8. 보익약(補益藥)
9. 이기약(理氣藥)
10. 소식약(消食藥)
11.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이혈약(利血藥)]
12.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
13. 안신진경약(安神鎭驚藥)
Ⅵ. 보기약
1. 감초
2. 대추(大棗)
3. 백출
4. 백편두
5. 산약(산약)
6. 인삼(인삼)
7. 황기
Ⅶ. 건강보조식품의 폐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불안에 사용된다.
[사용상의 주의]
이 약은 조습하여 상음하므로 음허에 의한 내열이나 진액휴모에 속한 조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4. 백편두
[성미] 甘, 微, 溫
[귀경] 脾, 胃
[효능] 보비지사 소서화습 화중해독
[임상응용]
비허설사 서습토사.
백편두는 감온하다. 보비나 자이하지 않고, 방향화습하나 조열치 않으며, 소서화습, 건비지사, 지대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비허유습의 식소연변이나 서습의 질병에 따른 토사, 번갈에 유효한 것이다. 또한 해독작용이 있어 주독, 복어독 및 여러 약독에 유효하다. 병후의 체허에 대하여 최초의 보제를 투여할 때 백편두가 더욱 적합한 것은 정기를 조양하고 꽉 막히는 병폐가 없기 때문이다.
[사용상의 주의]
음한이 왕성한 경우에는 쓰지않는 것이 좋다.
5. 산약(산약)
[성미] 甘, 平
[귀경] 脾, 肺, 腎
[효능] 익기양음, 보비폐신, 삽정지대
[임상응용]
비허식소 권태설사 폐허천해 신허유정 대하뇨빈 내열소갈.
산약은 김평으로 보기, 양음의 작용이 있다. 비폐의 기음을 보하고 경미한 수렴성의 효능이 있으므로 건비지사, 보신고정, 축뇨, 지대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비기허의 식소, 권태, 대변설사 혹은 연변, 비음허의 식소복만, 수족심열, 구갈설홍, 폐기음부족에서 온 해수, 허천, 신허에서 온 요산퇴연, 유정뇨빈 및 백대하 등에 적용된다. 소갈에 대해서도 보기양음, 지갈의 효능이 있다.
[사용상의 주의]
이약은 양음하며 습을 도우므로 습성하여 중초에 가득하거나 적체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6. 인삼(인삼)
[성미] 甘, 微苦, 微溫
[귀경] 肺, 脾
[임상응용]
기허욕탈 맥미욕절 비기부족 중기하함 폐허천해 기단핍력 실면건망 심계정충 혈허위왕 양위궁냉.
인삼은 감, 미고하고 미온하여 중화하는 성질이 있다. 생화의 워천인 비기와 전신의 기를 주관하게 하여 대보원기하는 효능을 발휘한다. 원기가 충족되면 익혈생진하고 안신하며 지혜가 생기므로 생진지갈 안신익지 하는 작용도 나타낸다. 따라서 허로내상에 대한 요약이 되고 기혈과 진핵의 부족에 사용하며 비기허에 의한 권태 무력 식욕 부진 구토 설사 폐기의 부족에 의한 기단 천초 맥허자한 심신이 불안하여 생기는 실면과 다몽 건망 및 진액이 소모되어 생기는 소갈증 등에 효과가 있다. 또 대변 구병 대출혈 및 대토사후에 원기 허쇠에 의해 허가 극심하여 욕탈하고 맥미하여 끊어질 듯한 증상에 매우 중요한 약이다.
[사용상의 주의]
정기가 허하지 아니한 실증과 열증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7. 황기
[성미] 肝, 微溫
[귀경] 脾肺
[효능] 보기 승양 생혈 행채 익위고표 탁창생기 이뇨소종 생진지갈.
[임상응용]
비기허약 중기하함 혈허발열 위황심계 실혈붕루 기허혈채 풍습 비통 반신불수 표허자한 기허수종 풍수오풍 내열소갈
환기는 가문하고 승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보기하고 승양하며 고표하여 지한하게 한다. 또한 보기하여 생혈생기하는 작용도 있고, 기승하면 물스스로가 내려간다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탁창생기 이수소종 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비폐의 기가 허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숨소리가 짧다. 말을 하기 싫다 힘이 없다 식용이 없다 변이 당이다 등의 증상과 기허하함에 의해 열이 나고 추위를 싫어한다. 오랜 설사로 탈항이 되고 자궁이 하수한다 기가 섭혈하지 못하여 붕루변혈이 있다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표가 허하여 든든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한 도한이 있고 기혈이 부족하여 창양이 내한하고 농이 있으나 터지지 않으며 터진 후에는 물근 농이 흐르고 오래도록 상고가 닫히지 않으며 기허하여 수습을 온화하지 못한 소변 분리 피부 소종에 쓰인다.
[사용상의 주의]
표실하고 사가 왕성한 창양의 초기나 또는 종기가 터진 후에도 열독이 그대로 왕성할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Ⅶ. 건강보조식품의 폐해
효능검증이나 구체적인 과학적인 규명작업 없이 기능성식품이 생산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능성 소재를 소량 첨가하여 마치 그 제품을 먹기만 하면 건강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인식되는 광고를 하고 있어, 소비자들은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 실제적으로 제품에 들어 있는 기능성 소재로 효과를 보려면 몇 백개씩 먹어야 하는 제품들도 있는 상황이다. 이러다 보니 기능성식품의 life cycle이 짧아지고, 새롭게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신제품들이 발 빠르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로, 기능성식품에 대한 법적인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법적으로는 현재 출시되고 있는 기능성식품은 일반식품으로 분류되고 있어, 효능 등의 광고를 못하도록 되어 있다. 건강보조식품은 24개 품목으로 지정돼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일반 기능성식품도 장기적인 차원에서 기준 설정의 작업을 거치는 것이 식품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는 식품업체의 의욕을 꺽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효능과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할 수 있는 기준설정의 과정을 밝아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몇 몇 업체에서 임상실험을 거친 식품들이 출시중이며 임상자료도 제시하고 있지만 실험 대상이 적고, 국가기관이 아닌 대학교 실험실에서 나온 data여서 신뢰도가 낮아 그 사실을 모두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식품업체가 기능성식품에서 장기적으로 소비자들의 신뢰와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노력을 더욱 강화해, 좀더 신뢰할 수 있는 식품을 출시해야 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 노완섭·허석현,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식품, 효일출판, 2000
◎ 뉴 라이프 출판부 저, 올바른 식생활, 건강보조식품이 나를 지킨다, 아름다운 사회, 2001
◎ 윤인모, 건강 보조 식품을 먹으면 건강해지나요?, 해일, 2000
◎ 이정수, 국민의 식생활과 건강보조식품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학술논문집, 대구산업정보대학, 1995
◎ 정종호·허갑범, 건강 보조 식품 알고 먹읍시다, 종문화사, 2003
◎ 채기수, 건강보조식품의 현황과 과제, 지역사회, 학술논문 제 3호, 한국지역사회연구소, 1993
◎ 최혜미 외, 21세기 영양과 건강 이야기, 라이프사이언스, 2002
[사용상의 주의]
이 약은 조습하여 상음하므로 음허에 의한 내열이나 진액휴모에 속한 조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4. 백편두
[성미] 甘, 微, 溫
[귀경] 脾, 胃
[효능] 보비지사 소서화습 화중해독
[임상응용]
비허설사 서습토사.
백편두는 감온하다. 보비나 자이하지 않고, 방향화습하나 조열치 않으며, 소서화습, 건비지사, 지대 작용이 있다. 그러므로 비허유습의 식소연변이나 서습의 질병에 따른 토사, 번갈에 유효한 것이다. 또한 해독작용이 있어 주독, 복어독 및 여러 약독에 유효하다. 병후의 체허에 대하여 최초의 보제를 투여할 때 백편두가 더욱 적합한 것은 정기를 조양하고 꽉 막히는 병폐가 없기 때문이다.
[사용상의 주의]
음한이 왕성한 경우에는 쓰지않는 것이 좋다.
5. 산약(산약)
[성미] 甘, 平
[귀경] 脾, 肺, 腎
[효능] 익기양음, 보비폐신, 삽정지대
[임상응용]
비허식소 권태설사 폐허천해 신허유정 대하뇨빈 내열소갈.
산약은 김평으로 보기, 양음의 작용이 있다. 비폐의 기음을 보하고 경미한 수렴성의 효능이 있으므로 건비지사, 보신고정, 축뇨, 지대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비기허의 식소, 권태, 대변설사 혹은 연변, 비음허의 식소복만, 수족심열, 구갈설홍, 폐기음부족에서 온 해수, 허천, 신허에서 온 요산퇴연, 유정뇨빈 및 백대하 등에 적용된다. 소갈에 대해서도 보기양음, 지갈의 효능이 있다.
[사용상의 주의]
이약은 양음하며 습을 도우므로 습성하여 중초에 가득하거나 적체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6. 인삼(인삼)
[성미] 甘, 微苦, 微溫
[귀경] 肺, 脾
[임상응용]
기허욕탈 맥미욕절 비기부족 중기하함 폐허천해 기단핍력 실면건망 심계정충 혈허위왕 양위궁냉.
인삼은 감, 미고하고 미온하여 중화하는 성질이 있다. 생화의 워천인 비기와 전신의 기를 주관하게 하여 대보원기하는 효능을 발휘한다. 원기가 충족되면 익혈생진하고 안신하며 지혜가 생기므로 생진지갈 안신익지 하는 작용도 나타낸다. 따라서 허로내상에 대한 요약이 되고 기혈과 진핵의 부족에 사용하며 비기허에 의한 권태 무력 식욕 부진 구토 설사 폐기의 부족에 의한 기단 천초 맥허자한 심신이 불안하여 생기는 실면과 다몽 건망 및 진액이 소모되어 생기는 소갈증 등에 효과가 있다. 또 대변 구병 대출혈 및 대토사후에 원기 허쇠에 의해 허가 극심하여 욕탈하고 맥미하여 끊어질 듯한 증상에 매우 중요한 약이다.
[사용상의 주의]
정기가 허하지 아니한 실증과 열증에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7. 황기
[성미] 肝, 微溫
[귀경] 脾肺
[효능] 보기 승양 생혈 행채 익위고표 탁창생기 이뇨소종 생진지갈.
[임상응용]
비기허약 중기하함 혈허발열 위황심계 실혈붕루 기허혈채 풍습 비통 반신불수 표허자한 기허수종 풍수오풍 내열소갈
환기는 가문하고 승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보기하고 승양하며 고표하여 지한하게 한다. 또한 보기하여 생혈생기하는 작용도 있고, 기승하면 물스스로가 내려간다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탁창생기 이수소종 하는 효과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비폐의 기가 허하여 머리가 어지럽고 숨소리가 짧다. 말을 하기 싫다 힘이 없다 식용이 없다 변이 당이다 등의 증상과 기허하함에 의해 열이 나고 추위를 싫어한다. 오랜 설사로 탈항이 되고 자궁이 하수한다 기가 섭혈하지 못하여 붕루변혈이 있다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표가 허하여 든든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한 도한이 있고 기혈이 부족하여 창양이 내한하고 농이 있으나 터지지 않으며 터진 후에는 물근 농이 흐르고 오래도록 상고가 닫히지 않으며 기허하여 수습을 온화하지 못한 소변 분리 피부 소종에 쓰인다.
[사용상의 주의]
표실하고 사가 왕성한 창양의 초기나 또는 종기가 터진 후에도 열독이 그대로 왕성할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Ⅶ. 건강보조식품의 폐해
효능검증이나 구체적인 과학적인 규명작업 없이 기능성식품이 생산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기능성 소재를 소량 첨가하여 마치 그 제품을 먹기만 하면 건강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처럼 인식되는 광고를 하고 있어, 소비자들은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할 것이다. 실제적으로 제품에 들어 있는 기능성 소재로 효과를 보려면 몇 백개씩 먹어야 하는 제품들도 있는 상황이다. 이러다 보니 기능성식품의 life cycle이 짧아지고, 새롭게 소비자들을 공략하는 신제품들이 발 빠르게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로, 기능성식품에 대한 법적인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법적으로는 현재 출시되고 있는 기능성식품은 일반식품으로 분류되고 있어, 효능 등의 광고를 못하도록 되어 있다. 건강보조식품은 24개 품목으로 지정돼 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일반 기능성식품도 장기적인 차원에서 기준 설정의 작업을 거치는 것이 식품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에서는 식품업체의 의욕을 꺽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효능과 안정성에 대한 의구심을 해소할 수 있는 기준설정의 과정을 밝아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몇 몇 업체에서 임상실험을 거친 식품들이 출시중이며 임상자료도 제시하고 있지만 실험 대상이 적고, 국가기관이 아닌 대학교 실험실에서 나온 data여서 신뢰도가 낮아 그 사실을 모두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식품업체가 기능성식품에서 장기적으로 소비자들의 신뢰와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노력을 더욱 강화해, 좀더 신뢰할 수 있는 식품을 출시해야 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 노완섭·허석현, 건강보조식품과 기능성식품, 효일출판, 2000
◎ 뉴 라이프 출판부 저, 올바른 식생활, 건강보조식품이 나를 지킨다, 아름다운 사회, 2001
◎ 윤인모, 건강 보조 식품을 먹으면 건강해지나요?, 해일, 2000
◎ 이정수, 국민의 식생활과 건강보조식품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학술논문집, 대구산업정보대학, 1995
◎ 정종호·허갑범, 건강 보조 식품 알고 먹읍시다, 종문화사, 2003
◎ 채기수, 건강보조식품의 현황과 과제, 지역사회, 학술논문 제 3호, 한국지역사회연구소, 1993
◎ 최혜미 외, 21세기 영양과 건강 이야기, 라이프사이언스, 2002
추천자료
식품선택과 건강
[가정학] 기능성 식품과 건강증진
식품, 영양, 건강에 관한 보고서
(지역사회영양학B형)우리나라 식생활과 식품·영양섭취 변화실태 및 문제점 등을 조사하고, 우...
우리나라 식생활과 식품영양섭취 변화실태 및 문제점 등을 상세히 조사하고, 우리나라 사람...
3학년)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체육 34~35쪽 / 6/7차시), 보건활동중심학습모형> Ⅰ. 건...
식품의 영양과 건강
식약청에서 분류하고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
식품과 건강 리포트
건강 기능성 식품 - 건강 기능성 소재의 종류와 기능
[아동건강교육] <지질(지방)> 기초 식품군의 이해 - 지질(지방)의 섭치와 지질의 기능 및 트...
[지역사회간호학] 식품과 건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