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개념과 구분
(2) 사회복지실천의 주요현장(1차 현장)
(2) 사회복지실천의 주요현장(1차 현장)
본문내용
활시설에서는 일상생활서비스뿐 아니라 상담, 정서 지원, 재활, 법률지원, 생활지도 등이 종합적으로 제공된다.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의 개인적인 욕구에 맞는 서비스 및 자원을 지역사회에서 연계하여 제공하기도 한다. 특히 의료서비스나 직업훈련, 교육서비스 등은 해당 시설에서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역사회 자원이나 전문가를 연계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복지 생활시설에는 아동, 청소년 및 장애인 생활시설 및 보호시설, 노인요양시설, 성폭력 및 가정폭력 피해여성쉼터, 모,부자복지시설, 공동생활가정 등 다양한 형태의 생활시설이 포함된다.
사회복지 생활시설 수는 총 9,148개소(보건복지부 관련 생활시설은 8,162개소), 종사자수는 총 136,608명(보건복지부 관할 시설 종사자는 132,451명)이다. 노인생활시설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장애인, 아동 생활시설 순이다. 이 외에도 노숙인, 정신요양, 결핵 및 한센인 생활시설이 있고 여성가족부에서 관할하는 한부모가족, 청소년 생활시설 등이 있다.
생활시설의 특성상 폐쇄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과거에는 지역사회와 분리되어 이용자의 인권이 무시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시설의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시설을 개방하고 개방적으로 운영하는 생활시설도 점차 늘어 가고 있다. 생활시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운영 방식으로 변화해야 하며 자원봉사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지역주민들과 시설 이용자들이 함께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든지, 생활시설의 공간을 지역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복지 생활시설 수는 총 9,148개소(보건복지부 관련 생활시설은 8,162개소), 종사자수는 총 136,608명(보건복지부 관할 시설 종사자는 132,451명)이다. 노인생활시설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장애인, 아동 생활시설 순이다. 이 외에도 노숙인, 정신요양, 결핵 및 한센인 생활시설이 있고 여성가족부에서 관할하는 한부모가족, 청소년 생활시설 등이 있다.
생활시설의 특성상 폐쇄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과거에는 지역사회와 분리되어 이용자의 인권이 무시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시설의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시설을 개방하고 개방적으로 운영하는 생활시설도 점차 늘어 가고 있다. 생활시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운영 방식으로 변화해야 하며 자원봉사자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지역주민들과 시설 이용자들이 함께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든지, 생활시설의 공간을 지역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