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장애교육] 자폐장애 관련 영화나 드라마 속 주인공의 행동특성을 우리나라에서 제시되고 있는 자폐성 장애에 대한 법적 정의 혹은 의학적 진단기준을 제시하여 비교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폐장애교육] 자폐장애 관련 영화나 드라마 속 주인공의 행동특성을 우리나라에서 제시되고 있는 자폐성 장애에 대한 법적 정의 혹은 의학적 진단기준을 제시하여 비교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폐장애에 대한 법적 정의 및 의학적 진단기준
2. 자폐장애와 관련된 영화 소개- <말아톤>
3. 영화 <말아톤>을 통해 살펴본 자폐장애의 행동 특성
4. 결론

본문내용

을 반복적으로 외칠 뿐이다. 이는 정상적인 주고 받기식의 대화의 실패를 잘 보여 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초원은 감정에 반응하는 부분이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정서적 상호작용이 부족함을 보여 준다. 어린 시절 병원에서 초원은 엄마가 아프다면 어떤 감정을 느낄지 질문을 받게 되는데, 그 어떤 답도 하지 못한다.
이 외에도 모르는 사람 앞에서 방귀를 뀌고도 아무렇지 않은 모습, 남인 양 동생에게 깍듯이 존댓말을 쓰는 모습, 음악만 나오면 무조건 막춤을 추는 등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초원의 직접적인 행동 외에도 초원의 엄마인 경숙이 초원이 달리기를 좋아서 하는 것인지 아니면 버려지기 싫어서 하는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을 통해서 초원이 좋고 싫음도 제대로 표현하는 못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병상에 누워 있는 엄마를 보고 눈시울이 붉어지는 초원의 모습을 보고 동생이 놀라는 것을 통해서도 그전까지도 이런 보편적인 감정, 정서적 상호 작용이 부족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4. 결론
지금까지 자폐장애에 대한 법적 정의 및 의학적 진단기준을 알아보고, 자폐장애와 관련된 영화 <말아톤>을 바탕으로 자폐장애에 대한 행동 특성을 살펴보았다. <말아톤>은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라 그런지 자폐장애 진단 기준에 나오는 여러 특성들을 잘 드러나 있었다. 자폐장애를 가진 주인공 초원의 행동 특성을 통해 자폐장애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훈훈한 이야기를 통해 자폐장애에 대한 편견을 조금이나마 없앨 수 있었던 기회였던 것 같다.
[참고문헌]
1. 법제처, 국가법렬정보센터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9E%A5%EC%95%A0%EC%9D%B8%EB%93%B1%EC%97%90%EB%8C%80%ED%95%9C%ED%8A%B9%EC%88%98%EA%B5%90%EC%9C%A1%EB%B2%95)
2. 박미라 기자, DSM-5 자폐증 진단방법 20년만에 수정, 메디칼업저버, 2014년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504)
3. 정윤철 감독, <말아톤>, 2005년
4. 참여연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육법 제정과 의의, 2007년
(https://www.peoplepower21.org/Welfare/66078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9.29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6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