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역사회영양학 2022년
1.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 ‘영양’부문의 ‘건강식생활실천율(초등학생(만 6세) 이상)(%)’ 지표의 정의는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되는가?
2. 2018년 기준치, 2030년 목표치, 2019년 및 2020년의 결과 수치를 각각 찾아 쓰고, 2019년과 2020년의 달성도(%)를 각각 계산하여 이를 달성/개선/유지/악화/평가불가 중 하나로 평가하시오.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
6. 참고문헌
1.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 ‘영양’부문의 ‘건강식생활실천율(초등학생(만 6세) 이상)(%)’ 지표의 정의는 무엇이며, 어떻게 계산되는가?
2. 2018년 기준치, 2030년 목표치, 2019년 및 2020년의 결과 수치를 각각 찾아 쓰고, 2019년과 2020년의 달성도(%)를 각각 계산하여 이를 달성/개선/유지/악화/평가불가 중 하나로 평가하시오.
3. 2020년의 결과를 성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성보다 12.2% 높았다. 이것은 2019년 여성과 남성의 건강한 식생활 실천율 차이인 10.%보다 높아진 것으로 남성이 코로나19 기간 동안 식습관에 변화를 크게 겪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여성과 남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가족의 식생활 환경과 식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공통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보인다.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연령별 2020년 결과
6 ~ 9세 : 47.3%
10 ~ 18세 : 37.9%
19 ~ 29세 : 40.1%
30 ~ 39세 : 39.5%
40 ~ 49세 : 51.2%
50 ~ 59세 : 48.2%
60 ~ 69세 : 43.1%
70세 이상 : 36.1% HP2030 목표치 : 50.6%
국민 건강증진계획(HP2030)의 영양 부분에 해당하는 건강 식생활 실천 지수는 지방 섭취량, 나트륨 섭취량, 청과 섭취량, 영양표시 항목에서 건강식을 실천한 대상자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처럼 연령별로 살펴보면 40 ~ 49세는 HP2030 목표를 달성하고 있었으나 그 외 연령은 HP2030 목표 미만이었다. 실천 수준은 40~49세가 51.2%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연령별 범위를 넓혀 살펴보면 40~59세가 60세 이상보다 건강한 식생활 실천 지수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어린 나이인 6~9세의 경우 47.3%로 그 이상 연령인 10~18세, 19~29세, 30~39세보다 건강한 식생활 실천지수가 크게 높았다.
이것은 40 ~ 49세 연령대가 다양한 식품을 선택하고 체내에서의 역할이 다른 여러 영양소를 균형 있게 섭취하며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가 많은 식생활을 충분히 먹는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6~9세의 경우 과일, 야채, 곡류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하며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는 등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주요 전략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60세 이상인 노년층의 경우 소화 기능이 저하되고 치아기능이 약해져 식욕이 떨어지기 쉬워 건강 식생활에 문제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영향이 위와 같은 건강 식생활 실천 지수를 나타나게 했을 것이다. 따라서 국민 건강증진계획(HP2030)의 영양 부분에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표시의 개념과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이 필요하도 노인 유형별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노인복지시설 등을 통해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
성별 : 남성
연령군 : 30 ~ 39세
수치 : 31.4%
이 건강 식생활 수치는 2020년 전체 수치보다 11.7% 낮았고 같은 전체 남성 수치보다도 5.8% 낮은 것이다. 그리고 같은 연령대의 여성에 비해 17%나 낮았고 모든 조사 남성 연령대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것이다.
6. 참고문헌
김동우 외(2021). 지역사회영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4. 2020년의 결과를 연령별로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연령별 2020년 결과
6 ~ 9세 : 47.3%
10 ~ 18세 : 37.9%
19 ~ 29세 : 40.1%
30 ~ 39세 : 39.5%
40 ~ 49세 : 51.2%
50 ~ 59세 : 48.2%
60 ~ 69세 : 43.1%
70세 이상 : 36.1% HP2030 목표치 : 50.6%
국민 건강증진계획(HP2030)의 영양 부분에 해당하는 건강 식생활 실천 지수는 지방 섭취량, 나트륨 섭취량, 청과 섭취량, 영양표시 항목에서 건강식을 실천한 대상자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처럼 연령별로 살펴보면 40 ~ 49세는 HP2030 목표를 달성하고 있었으나 그 외 연령은 HP2030 목표 미만이었다. 실천 수준은 40~49세가 51.2%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70세 이상에서 가장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연령별 범위를 넓혀 살펴보면 40~59세가 60세 이상보다 건강한 식생활 실천 지수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장 어린 나이인 6~9세의 경우 47.3%로 그 이상 연령인 10~18세, 19~29세, 30~39세보다 건강한 식생활 실천지수가 크게 높았다.
이것은 40 ~ 49세 연령대가 다양한 식품을 선택하고 체내에서의 역할이 다른 여러 영양소를 균형 있게 섭취하며 비타민, 무기질, 식이섬유가 많은 식생활을 충분히 먹는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6~9세의 경우 과일, 야채, 곡류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하며 아침식사를 거르지 않는 등 건강한 식습관을 위한 주요 전략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60세 이상인 노년층의 경우 소화 기능이 저하되고 치아기능이 약해져 식욕이 떨어지기 쉬워 건강 식생활에 문제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영향이 위와 같은 건강 식생활 실천 지수를 나타나게 했을 것이다. 따라서 국민 건강증진계획(HP2030)의 영양 부분에서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표시의 개념과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이 필요하도 노인 유형별 영양관리 프로그램을 노인복지시설 등을 통해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5. 2020년의 결과를 보고, 본인의 성별 및 연령군에 해당하는 수치를 찾아쓰시오
성별 : 남성
연령군 : 30 ~ 39세
수치 : 31.4%
이 건강 식생활 수치는 2020년 전체 수치보다 11.7% 낮았고 같은 전체 남성 수치보다도 5.8% 낮은 것이다. 그리고 같은 연령대의 여성에 비해 17%나 낮았고 모든 조사 남성 연령대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인 것이다.
6. 참고문헌
김동우 외(2021). 지역사회영양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보건복지부
키워드
지역사회영양학,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건강식생활실천율, 건강식생활실천율 지표의 정의, 영양부문, 2020년의 결과, 생활과학과, 지역사회영양학중간과제, 방송대지역사회영양학, 2022년지역사회영양학, 건강, 2020년, 결과, 식생활
추천자료
2021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기말시험 과제물(‘영양’부문의 성과지표 중 과일,채소)
(방송통신대 지역사회영양학 기말과제물)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 영양 부문...
지역사회영양학
지역사회영양 )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에서‘영양’부문의 성과지표 중 과일채소...
2022년 2학기 지역사회영양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부문)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지역사회영양학 중간과제물)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 영...
지역사회영양학 2022)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30)지역사회영양학 영양부문의 건강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