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2. 발산형 경계
3. 수렴형 경계
4. 보존형 경계
2. 발산형 경계
3. 수렴형 경계
4. 보존형 경계
본문내용
y)
- 동아프리카 열곡대(east Africa rift valley)
- 아이슬란드 열곡대(Iceland rift valley)
ㆍ해양: 해령(mid-ocean ridge)
- 대서양 중앙해령(mid-Atlantic ridge)
- 남극 중앙해령(south polar mid-ocean ridge)
ㆍ지진(천발지진)과 화산활동이 빈번
3. 수렴형 경계
ㆍ두 판이 서로 수렴하는 곳
ㆍ지각이 소멸하는 경계
ㆍ횡압력(transverse force) 작용
ㆍ대륙 vs 대륙 → 대륙 충돌대
- 지진(O), 화산활동(X)
- 습곡 산맥 형성
- 알프스-히말라야 산맥
ㆍ대륙 vs 해양 → 섭입대
- 지진(O), 화산활동(O)
- 화산호(volcanic arc) 형성
- 안데스 산맥, 일본 열도
ㆍ해양 vs 해양 → 섭입대
- 지진(O), 화산활동(O)
- 화산호(volcanic arc) 형성
- 필리핀 열도, 인도네시아
4. 보존형 경계
ㆍ두 판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
→ 두 판이 어긋나는 경계
ㆍ지각의 충돌과 소멸이 일어나지 않음
ㆍ주로 발산형 경계 사이에 존재 - [그림 10]
ㆍ변환단층(transform fault) 형성
ㆍ지진 발생, 화산은 발생하지 않음
- 동아프리카 열곡대(east Africa rift valley)
- 아이슬란드 열곡대(Iceland rift valley)
ㆍ해양: 해령(mid-ocean ridge)
- 대서양 중앙해령(mid-Atlantic ridge)
- 남극 중앙해령(south polar mid-ocean ridge)
ㆍ지진(천발지진)과 화산활동이 빈번
3. 수렴형 경계
ㆍ두 판이 서로 수렴하는 곳
ㆍ지각이 소멸하는 경계
ㆍ횡압력(transverse force) 작용
ㆍ대륙 vs 대륙 → 대륙 충돌대
- 지진(O), 화산활동(X)
- 습곡 산맥 형성
- 알프스-히말라야 산맥
ㆍ대륙 vs 해양 → 섭입대
- 지진(O), 화산활동(O)
- 화산호(volcanic arc) 형성
- 안데스 산맥, 일본 열도
ㆍ해양 vs 해양 → 섭입대
- 지진(O), 화산활동(O)
- 화산호(volcanic arc) 형성
- 필리핀 열도, 인도네시아
4. 보존형 경계
ㆍ두 판의 이동방향이 서로 반대
→ 두 판이 어긋나는 경계
ㆍ지각의 충돌과 소멸이 일어나지 않음
ㆍ주로 발산형 경계 사이에 존재 - [그림 10]
ㆍ변환단층(transform fault) 형성
ㆍ지진 발생, 화산은 발생하지 않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