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이동설에서 판구조론까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20세기 이전의 지구관
(1) 대서양 양쪽대륙의 해안선의 일치에 대한 이론들
(2) 많은 이론에 대한 반응

2. 대륙이동설의 등장(1910-1930)
(1) 대륙이동설의 탄생
(2) 대륙이동설의 증거

3. 잊혀진 대륙이동설 (1930-1950)
(1) 대륙이동설에 대한 비판
(2) 대륙이동설의 지지
(3) 베게너의 사망
(4) 맨틀대류설

4. 판구조론의 탄생 - 대륙이동설의 부활
(1) 해저확장설
(2) 판구조론

5. 맺음말

본문내용

발견은 중요하다.
그러나 대륙이 해양저를 가로지르며 지나가는 것이 아니고 대륙과 해양저가 모두 판의 형태이며 맨틀 위를 떠다닌다는 점에서 베게너의 이론에 잘못된 부분이 있다.
5. 맺음말
대단한 생각이나 이론일지라도 이를 증명해 줄 기술이나 과학적 진보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오랫동안 빛을 발하지 못하거나 오히려 많은 이들의 비난을 받아 사장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대륙이동설이 바로 이런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비판을 받았던 몇가지의 오류가 있었다고는 하나, 과학기술과 관측장비의 미발달 등 당시 과학수준을 고려한다면 당시의 과학적 정설을 뒤집고 ‘대륙이 이동한다’ 는 가설을 정립한 것만으로도 높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대륙이동설이 없었더라면 현대의 판구조론이 나타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참고문헌
지구의 이해, 최덕근 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지구시스템의 이해, 김경렬 외, 박학사, 2004
유레카 과학의 모험, 레슬리 앨런 호비츠 저, 박영준,이동수 역, 생각의 나무, 2006
베게너가 들려주는 대륙이동 이야기, 좌용주 저, 자음과 모음, 2005
가이아의 갑옷, 김동영 저, 성우, 200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12.16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