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역사 그리고 에도 막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역사 그리고 에도 막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도요토미 히데요시 가문의 몰락
2. 기독교 탄압과 키리시탄
3. 에도 막부의 쇄국정책
4. 일본의 개항
5. 막부 해체와 근대화

본문내용

매우 불리한 불평등 조약으로 조약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ㆍ일본에는 관세자주권이 없는 반면, 미국에는 그런 제한이 없다.
ㆍ미국인에 대한 치외법권을 인정한다.
- 미국인이 일본에서 범죄를 저질러도 일본의 법률로 심판할 수 없고 미국의 영사가 직접 판결한다.
- 일본인이 미국에서 범죄를 저지르면 미국 법에 따라 처벌을 받는다.
ㆍ미국에 대한 최혜국 대우를 한다.
- 일본이 미국 이외의 나라와 조약을 체결할 시 해당국에 미국과의 조약보다 더 좋은 조건으로 조약을 체결할 경우, 미국에도 그와 동등한 조약이 자동으로 체결한다.
5. 막부 해체와 근대화
1854년 미일 화친조약과 1858년 미일 수호 통상조약으로 인해 막부의 권위가 심각하게 손상되었다. 특히 1858년 체결된 미일 수호 통상조약이 제121대 천황인 고메이 덴노의 칙허 없이 독단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두고 일본 전국 사무라이들의 커다란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이에 도막파(천황파)와 에도 막부 세력 사이에서 전쟁이 발발하였는데 이 전쟁을 보신전쟁(戊辰戰爭)이라고 부른다. 이 전쟁에서 도막파(천황파)가 승리하며 메이지 유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때 발생한 메이지 유신은 일본 근현대사의 시초가 된다. 이로써 에도 시대 250년간 이어져 온 도쿠가와 막부가 막을 내리게 되었으며 1868년 1월 3일, 고메이 덴노를 중심으로 한 천황 체제가 복구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제국이 수립되었다. [그림 10]은 천황파(도막파)가 막부세력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후, 15대 쇼군인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메이지 천황에게 통치권을 반납한 대정봉환(大政奉還)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10.07
  • 저작시기202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6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