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통문제) 식물병원세균의 형태,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라. (24점)
2-A(학번끝자리 홀수번). 식물바이러스의 감염(침입)과 증식의 과정을 설명하라. (6점)
2-A(학번끝자리 홀수번). 식물바이러스의 감염(침입)과 증식의 과정을 설명하라. (6점)
본문내용
통해서 전염되는 것이다. 접목전염은 수박·오이·참되 등이 접목할 때 전염되는 것이며, 곤충전염은 진딧물·멸구류·매미충류·총채벌레·담배가루 등에 의한 전염이다. 또한, 토양전염은 병든 식물의 잔해 등의 바이러스가 뿌리와 접촉하여 전염되는 것으로 선충 및 유사균류가 포함되고, 이 밖에 꽃가루 및 새삼 등에 의한 전염이 있다.
그러면 식물바이러스의 방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즙액(접촉) 전염 바이러스 병은 오이모자이크, 담배모자이크, 수박모자이크 바이러스로 이병된 식물체 등은 토양에서 제거한 후에 소각한다. 둘째, 종자전염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무병지 채종 및 무병종자 사용을 수행한다. 셋째, 접목전염은 수박·오이·참외 등의 접목할 때 전염되는 것으로 접목도구를 소독하며, 넷째, 곤충전염은 벼줄무늬바이러스, 감자바이러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잔딧물·멸구류·매미충류·초재벌레·담배가루이 등의 전염해충에 대한 방제를 실시한다. 다섯째, 토양전염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병든 식물의 잔해 등의 바이러스가 뿌리와 접촉하여 전염되거나 선충 및 유사균류에 의해서 전염되는 것으로 이는 이병된 식물체 등을 토양에서 제거한 후에 소각한다.
[식물바이러스 전염경로]
※ 참고문헌
· 최재을 외 4인 공저,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18
· 김형무 외 공저,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 서울, 2008
· www.rda.go.kr
그러면 식물바이러스의 방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즙액(접촉) 전염 바이러스 병은 오이모자이크, 담배모자이크, 수박모자이크 바이러스로 이병된 식물체 등은 토양에서 제거한 후에 소각한다. 둘째, 종자전염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무병지 채종 및 무병종자 사용을 수행한다. 셋째, 접목전염은 수박·오이·참외 등의 접목할 때 전염되는 것으로 접목도구를 소독하며, 넷째, 곤충전염은 벼줄무늬바이러스, 감자바이러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잔딧물·멸구류·매미충류·초재벌레·담배가루이 등의 전염해충에 대한 방제를 실시한다. 다섯째, 토양전염은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 토마토모자이크바이러스에 의한 것으로 병든 식물의 잔해 등의 바이러스가 뿌리와 접촉하여 전염되거나 선충 및 유사균류에 의해서 전염되는 것으로 이는 이병된 식물체 등을 토양에서 제거한 후에 소각한다.
[식물바이러스 전염경로]
※ 참고문헌
· 최재을 외 4인 공저, 「식물의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서울, 2018
· 김형무 외 공저, 「신제 식물병리학」, 향문사 : 서울, 2008
· www.rda.go.kr
소개글